[이 여자가 사는 법] 재일동포 3세 김혜미자

한국서 종가집 맏며느리로 사는 '인권주부'

1953년 일본 교토 생, 재일동포 3세. 함경남도 안씨 가문의 맏며느리. 할아버지, 시할머니를 모시고 사는 주부. 위안부 할머니 문제에 지대한 관심을 갖고 있는 사람.

이것이 김 혜미자 (51ㆍ서울 동작구 사당동)씨를 만나러 가기 전 필자가 가지고 있던 그녀에 대한 정보의 전부였다. 결코 어울릴 수 없을 것 같은 이질적인 요소들. 도대체 어디서부터 이야기를 시작해야 할까.

“외국에서 태어나고 자라면 ‘뭔가 다르다’는 걸 느끼는 것 같아요. ‘내가 왜 여기 살고있지?’라는 의문이 마치 종교 문제처럼 느껴져요. 태어날 때부터 뭔가 다른 하나를 가지고 있는 거죠.”

그녀도 어릴 때는 여느 아이들과 다름없는 꿈 많은 소녀였다. “초등학교 6학년 때 TV에서 돈 없는 사람을 위해 일하는 인권변호사에 대한 이야기가 시리즈로 나온 적이 있었어요. 그걸 보면서 나도 저런 사람이 되어야지 하다가 중학교에 들어가면서 영어를 배우기 시작하니까 또 다른 게 보여요. 비행기를 타고 해외로 다니며 외국 이야기를 들려주는 여자가 있었어요. 그 일이 또 좋아보였죠. 마지막으로 교사가 되고 싶었지만 외국인 차별 때문에 어려웠어요.”


그 시대에 살았더라면 나도 그렇게 될 수 있었을 것

그러나 그녀는 결국 전혀 예상치 못한 인생 행로를 택했다. 그녀가 말했던 ‘뭔가 다른 것’때문이었다. 돌이켜보면 그녀가 가진 뭔가 다른 하나는 재일교포로서 3세를 낳고 기를 때까지 귀화하지 않고 살아온 부모의 피였던 것 같다.

어른이 된 뒤 그녀의 발길이 마지막 닿은 곳은 바로 자기 정체성을 확인하는 일이었기 때문이다. “내 뿌리가 뭔지, 늘 나의 내부에서 ‘다르다’고 하는 그것을 밝히는 근본적인 작업이 바로 내가 꼭 해야 할 일 같아서 한국으로 왔어요.”

80년대 초, 무작정 서울에 온 그녀는 서울대 언어연구소에서 한국어와 한국문화를 배우며 본격적으로 ‘자기 찾기’를 시작했다. 이 곳에서 지금의 남편을 만나기는 했지만, 정작 자기 찾기는 호락호락하지는 않았다. “사실 재일동포 1세들 고생 많이 했어요, 그런 역사적 사실들은 당연히 알고 있을 거라 생각했는 데 만나는 한국인들이 의외로 잘 모르고, 또 무관심하더라구요.”

그러던 그녀에게 위안부 할머니들의 문제는 자신의 정체성을 새롭게 돌아보게 만드는 계기가 됐다. “그 시대를 살았더라면 나도 그랬을 수 있잖아요. 위안부 할머니 문제는 처음에는 남편이 먼저 관심을 가졌던 문제였어요. 뭐든 그래요. 먼저 이끌어놓고 남편은 자기 일을 해야 하니까 제가 끝까지 하는 편이죠.

당시 우리 집 근처에 있는 진로도매센터에서 위안부 할머니들의 사진전이 있었어요. 관심이 있던 터라 그 곳을 찾게 됐죠. 그 다음에 할머니들의 간증회(설명회) 같은 것도 있었고요. 이 행사 저 행사 찾아다니면서 관계하는 분들을 만나게 되고, 또 자연스럽게 제가 도울 수 있는 작은 일들을 하게 됐죠. 수요 집회, ‘나눔의 집’도 그래서 알게 되었어요.”


“눈물 참 많이 흘렸어요”

처음 남편을 만났을 때는 종가집이 뭔지도 몰랐다. 남편에게서 단편적인 얘기를 들었지만 부딪치지 않고서는 실감을 할 수 없었다. 종가집 맏며느리로 살기가 그리 만만하지 않을 텐데, 도대체 그 일은 잘 하고 있는 것일까.

“매일 새벽 6시면 일어나서 아이들, 남편 식사를 챙겨요. 할아버지 할머니는 좀 늦게 일어나시니까 그 때 또 상을 차리고…. 남편과 사귈 때는 이런 상황을 짐작도 할 수 없었죠.”

처음에는 집안 어른들이 “넌 그것도 못하냐?”고 하시면 “네, 저 못해요.” 하고 말꼬리를 내렸다. 일제 때 독립운동하시다가 6.25 직전에 내려 온 김씨의 시조부모는 뼈 속까지 유교문화가 배인 분들. 철부지 맏며느리에게 온정을 베푸는 데에도 한계가 있을 수 밖에 없다.

“말도 익숙하지 않은데다 어른들 식사는 뭘 어떻게 해야 하는지 하나도 모르잖아요. 된장찌개 하면, 그냥 물에다 된장 풀면 되는 줄 알았는데 아니고 , 요리책 사 봤자 그림만 보고 아, 이렇게 저렇게 하는 거겠지 하지만 잘 안 되고, 처음엔 김치도 못 담고 정말 힘들었어요.

그런데 할머니, 할아버지 걱정하시는 거, 내가 고생하는 거는 내가 훌륭한 사람 되라는 거라 생각할 수밖에 없었어요. 그렇지 않으면 못 살아요. 누구라도. 그런데 이젠 제사에서 집안 대소사까지 다 해요. 훈련되는 거예요. 아유, 처음에는 정말 눈물 많이 났어요.”

그녀는 아직 멀었다고 손을 내젓지만 필자가 보기에는 이제는 어디 내어놓아도 손색이 없는 어엿한 종가집 맏며느리가 다 된 것 같다.

“할아버지 할머니와 같이 사니까 아이들에게는 어릴 때부터 할아버지께 이거 갖다 드려라 하고 여러가지 심부름을 시켰어요. 그리고 우리는 한 배에 타고 있다. 할아버지는 선장이고 아빠는 그 밑에서 일하고 있고, 엄마는 요리사고 너희들도 각자의 몫이 있는데, 우리는 한 배를 타고 있기 때문에 내릴 수가 없고 같이 가야 한다고 가르쳤어요.”

맏며느리로, 주부로, 엄마로 바쁘게 살면서도 그녀는 세상 돌아가는 데에는 늘 귀를 열어두고 있다. 매일 매일 신문이나 뉴스의 이야기들을 놓치지 않고 있다가 기회만 닿으면 찾아가 일거리를 만들었다.

지금은 위안부 할머니들 보상을 위한 수요 집회에 꼬박꼬박 참석하고, 할머니들이 머물고 있는 ‘나눔의 집’에서 의 자원봉사 활동을 힘닿는 데 까지 하고 있다.

“그전부터 관심 있었지만 제대로 못했어요. 어른들 모시고 있고, 아이들 어리니까 집에서 나올 수가 없었어요. 어른들 돌아가신 후니까 할 수 있어요. 한 3, 4년 정도 되요. 한번은 늘 ‘부창부수’(夫唱婦隨)를 가르치시는 어른께 우리 친구가 너무 그 말 좋아하니, 붓글씨로 좀 써주세요 했더니 정말 써주시는 거예요.

사실 저는 할아버지 좀 놀리고 싶어서 해 본 말이었는데.(웃음) 무려 10장이 넘게 정성을 들여 써주시는 거예요. 그걸 서랍 속에 감춰놓고 친구들 줬다고 둘러대느라 정말 혼났어요. 부창부수에 많이 화가 나서 그런 일도 했지만 지금은 좋은 것만 기억에 남아요.”

그렇다고 그녀에게 딱히 정해진 일은 없다. 집회가 없는 날도 그녀는 자신의 통역이나 번역이 필요하다고 하면 자비를 들여 정확한 시간에 나타난다. 누구나 할 수 있는 아주 작은 일을 성실하게 변함없이 하는 것도 중요하다고 여기기 때문이다.


소중한 것들과 소망하는것들

“수요 집회도 그렇고 개인적으로 얼마 전에는 일본 법조인들이 한국 노동탄압에 대한 조사를 위해 한국에 온 적이 있어 통역을 도와드렸어요. 그 외에도 집회에 견학 오는 교포나 일본인들을 도와주고 서류 같은 것도 문제가 되지 않도록 중간에서 도와드리고 해요. 처음 1년은 이런 활동들이 참 힘들었지만 많은 사람들을 만나며 한 시민으로서 내 손으로 내 시간을 내서 아주 조그마한 일이지만 열심히 하는 것이 아주 바람직한 일 같아요.”

더러는 자원봉사로 또 더러는 어느 한 쪽에 고용되어 통역을 하며 시시콜콜한 것까지 자비를 써서라도 챙기고 있는 그녀의 활동 무대는 이제 시조부모를 모시던 가정이란 공간 안에서 바깥 세계로 조금씩 확장되어가고 있다. 현재 그녀가 가장 관심을 기울이는 일은 무엇일까.

“제가 오늘 정말 말씀드리고 싶은 분은 일본에서부터 시작하여 세계적으로 문맹퇴치 운동을 하는 다카노 마사오씨예요. 신문에서 처음 보고 한국에 와 있는 그 분을 직접 찾아갔어요. 그 인연으로 몇 번 통역을 하면서 국가가 해야 할 일을 개인이, 그 누구도 모르는 곳에서 처음 시작했다는 사실에 놀랐어요.

내가 글자를 배우지 않았다면 살인자가 되었을 것이라는 그 분의 말씀을 들을 때는 강한 기운이 옆에서도 느껴질 정도예요. 올 4,5 월경에 다시 그분이 한국에 오실 거예요. 그전에 준비하고 많이 알리고 싶어요.”

그녀의 또 다른 소망은 소박한 민간 외교관이 되는 것이다. “조그만 개인의 일이지만 국가 대 국가의 이름으로 만나는 일들을 도우면서 한국과 일본이 우호적으로 문제를 해결하고 인간적으로 한 발 더 가까워질 수 있도록 해야겠다는 생각이 들어요.”

일본과의 관계 외에 요즘 그녀는 우리 사회의 반미 감정에도 관심을 갖고 있다. “의정부 여중생 사망사건과 관련해 미국이 하는 것을 보면 그냥 화가 나요. 자기 나라 사람들의 인권을 그토록 소중하게 여기는 사람들이 남의 나라 어린 여학생들의 목숨은 하찮게 여기는 것 같아 참 못마땅해요.

당연히 분노해야 할 것에 대해 분노하는 데, 이건 반미하고는 다르지 않아요?”이 땅의 많은 사람들과 조금도 다를 바 없는 생각. 그녀는 이미 대한민국, 서울에 살고 있는 안씨 가문의 맏며느리였다.

양은주 자유기고가

입력시간 2003/02/04 11:33


주간한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