조선 시대 명화·민화서 근대미술·백남준 아트까지 아날로그적 감성 듬뿍

우리나라 최초의 우표가 탄생한 1884년 이래 100여년을 넘어 현재에 이르기까지 우표는 시대를 반영하며 진화해 왔다.

그 과정에 예술작품을 소재로 한 우표도 다양하게 발전해 왔다. 그 흐름만해도 초기 고서화 중심에서 점차 시대를 풍미한 근대 작가들의 예술을 담고, 최근엔 백남준의 미술세계를 특화하는 등 다채롭고 광범위하다.

그러한 우표는 본래의 기능을 넘어 우리 문화를 국내외에 널리 알리는 메신저로, 문화의 산증인으로 그리고 그 자체 미학을 갖춘 작품으로 가치를 인정받고 있다. 나아가 우표의 경쟁력을 높이는데도 한몫 한다.

또 하나의 미술관 역할을 하고 있는 우표, 그리고 미술작품을 테마로 만든 국내 우표를 살펴봤다. (자료 제공 : 우정사업본부)

반 고흐의 해바라기를 넣은 가방, 모나리자가 그려진 티셔츠, 피카소 그림을 넣은 과자 포장지까지 명화를 모티프로 한 생활용품이 속속 등장하고 있다. 한 시대를 풍미한 이들 작품은 다시 다양한 소품으로 변해 사람들에게 즐거움을 선사한다.

명화를 접목한 생활용품 중 우표는 꽤 고전적인 아이템이다. 가로 세로 2센티미터의 앙증맞은 크기로 재탄생한 ‘우표 미술관’은 우표 특유의 아날로그적인 감성을 듬뿍 담고 있어 명화의 감동을 더해준다.

■ 명화시리즈

그림을 소재로 만든 우표 중 가장 오래된 것은 조선시대 그림을 주제로 한 ‘명화시리즈’다. 체신부에서는 우리나라의 명화를 국내외에 널리 소개하기 위하여 국립박물관에 보관중인 조선시대의 그림 중 9점을 골라서 1970년 8월부터 71년까지 3점씩 세 번으로 나누어 우표를 발행했다.

제 1집으로 조선시대 후기 화가 이인문 대표작 ‘강산무진도’, 겸재 정선 ‘강산 정양사’ 중기의 화가 김두량의 ‘월야산수도’ 등 3 종이 나온데 이어 제 6집까지 조선시대 중ㆍ후기 화가인 김홍도, 신윤복, 김득신의 풍속도와 심사정의 ‘맹호도’, 변상벽의 ‘묘작도’, 이재관의 ‘존가독서도’‘송하선인도’등이 선택됐다.

■ 한국미술 5천년 특별전

체신부에서는 1979년 5월 1일부터 1981년 6월 30일까지 미국 7대도시에서 개최하는 ‘한국미술 5천년전’을 맞이해 국보급 문화재 354점 중 30점을 선정해 여섯 차례로 나눠 한국미술 5천년 특별우표를 발행했다.

고화 중에는 1차로 79년 간송미술관에 소장돼 있는 신윤복의 ‘단오절’‘검무도’가 선보였고 이듬해에는 호암미술관에 소장돼 있는 김홍도의 ‘산수화’가 처음으로 공개된 후 우표로 발행됐다.

■ 민화시리즈

1980년대에는 민화시리즈가 5차례에 걸쳐 발행됐다.

체신부에서는 우리겨레의 미의식과 정감이 표현된 민중의 생활미술인 민화를 우표로 발행함으로써, 민족의 문화적 우수성을 국내외에 널리 알리고자 했다. 많은 민화 중 9종을 선정, 5회에 걸쳐 발행하기로 하고 제1집으로 연화도(蓮花圖: 연꽃이 활짝 핀 연당 풍경 묘사)와 작호도(鵲虎圖: 까치와 호랑이 그림)2종을 택했다.

2집에는 봉(鳳) 또는 수탉의 모습을 그린 주작도(朱雀圖), 임금의 용상(龍床) 뒤를 장식한 병풍그림인 일월곤륜도(日月崑崙圖)를 펴냈으며 3집에는 계수나무 아래 토끼 한 쌍을 그린 토구도(兎臼圖), 용을 그린 운룡도(雲龍圖)가 발행됐다.

4집 화조도와 송도에 이어 5집에는 십장생도(十長生圖)를 발행했다.

■ 민족 기록화 시리즈

82년부터 체신부는 조상의 위업과 역사적인 교훈을 소개하기 위해, 전승(戰勝)의 내용을 담은 민족 기록화 8점을 선정해 우표로 발행했다. 이들 우표는 우리나라에서 처음으로 시도되는 6도색 우표다. 제1집으로 서울미대 이종상 교수가 1975년 완성한 <광개토대왕의 영토 확장>과 박각순 화백이 1975년 완성한 <을지문덕 살수대첩>을 발행했다. (작품<을지문덕의 살수대첩>은 우표 발행 후 <연개소문의 사수싸움>으로 정정)

■ 근대미술시리즈

20세기 초 서양화가 도입되면서 근대화 과정을 거친 우리의 미술은, 일제시대에는 저항 민족미술로서 발자취를 남겼고, 해방 이후에는 세계로 진출하는 민족미술로서의 자리를 굳히게 되었다.

한국 근대미술의 특징은 우리의 전통적인 자연주의가 새롭게 전개되고, 실리적인 사상의 도입으로 관념으로부터의 탈피가 이루어진 점을 들수 있다.

체신부에서는 개회기 이후 현대에 이르는 근대시기의 작품들을 통해 우리 미술의 흐름을 소개하기 위해 이미 작고한 작가들의 유작들 중에서 골라 85년부터 89년까지 5년간 근대미술시리즈를 발행했다.

일찍이 야수파를 한국에 받아들이는데 선구자 역할을 한 서산 구본웅의 작품 ‘우인상’을 비롯해 이중섭의 ‘흰소’, 오지호의 ‘추경’, 국전에서 대통령상을 탄 박래현의 ‘노점’ 이봉상의 ‘소녀’ 등이 발행됐다.

■ 백남준의 예술세계

미술을 모티프로 한 우표 중 가장 최근 발행된 것은 2007년 발행된 <백남준의 예술세계> 시리즈다. 2006년 1월 뇌졸중으로 떠난 작가 백남준의 추모 1주년을 기리며 그의 작품 중 ‘TV부처(1974)’와 ‘다다익선(1986)’, ‘메가트론/매트릭스(1995)’, 그리고 ‘엄마(2006)’를 우표로 발행했다.

“브라운관이 캔버스를 대신할 것이다.”라는 유명한 말을 남긴 예술가 백남준은 실험정신과 도전정신, 열정과 용기로 비디오 아트라는 새로운 장르를 개척했고 음악가, 미술가, 행위예술가로서 끊임없이 새로운 도전을 통해 그만의 독특한 예술을 우리에게 선사해 주었다.


이윤주 기자 misslee@hk.co.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