중국서안비림명비전왕희지·구양순·안진경 등 대가의 작품 103건 탁본 125점 한국 나들이

서울에 찾아든 <중국서안비림명비전(中國西安碑林名碑展)>의 인기가 사그라들지 않고 있다.

한국의 서울역사박물관(관장 김우림)과 중국 서안비림박물관(관장 자오리광)이 공동으로 마련한 이 특별전은 920여년 역사의 중국 섬서성 서안시 소재 서안비림박물관의 세계적 명비를 선보이고 있다. 서안비림박물관은 1087년 중국 북송때 설립한 박물관으로 비석이 숲처럼 많아 ‘비림(碑林)’이라 불리는 세계적 명소.

왕희지와 구양순, 안진경 등 한국 서예계에도 큰 영향을 미친 명필대가들의 명비(名碑)가 가장 많은, 중국 최대 최고의 비석박물관으로 정평이 나 있다. 소장한 국보급 명비 134점을 비롯해 중국 역사상 진귀한 비석 3천5백여점중 정수를 추려 이번 한국 나들이에 약 103건 125점의 탁본으로 작품화, 공개 중이다.

행서와 예서, 해서 등 각 서체들에 대한 기본적인 이해를 돕는 해설문으로부터 전시 감상이 시작된다. 전체적으로 서예 애호가들뿐 아니라 문외한 누구라도 쉽고 편안하게 전시작들에 관심을 갖고 친해질 수 있도록 짜임새있게 구성되어 있다.

시대적으로는 진한ㆍ남북조 시대의 서예에서부터 수ㆍ당 시대, 송ㆍ원, 명ㆍ청ㆍ근대에 이르기까지 당대마다 중심을 이룬 서체와 변천사, 각 작품의 특징, 아름다움 등을 비문을 통해 친절하게 보여주고 있다.

특히 한때는 비석형 서예가 대유행을 이루면서 과다하게 성행하자, 왕이 이를 ‘사치’로 규정해 비석 제작을 금지한 시대도 거친다. 이 규제를 피하기위해 대신 빠져나가 발달한 것이 묘비 형태의 작품. 이번 전시장에서는 이 모든 형태의 다양한 명비를 만날 수 있다.

전시작 중 가장 큰 주목을 받고 있는 작품은 <석대효경비(石臺孝經碑)>로, 서안비림박물관 소장품중에서도 최고의 상징작이자 유명작품이다. 석대효경비는 당 현종의 정치이념이 담긴 대형 비석으로 ‘효’를 강조하는 내용을 담고 있다. 즉, 효의 정신을 통해 궁극적으로는 중앙집권적 체제를 더욱 공고히 다지고자 했던 현종의 의도가 실린 비문이다.

서예라는 예술적 측면에서도 크게 가치를 인정받는 작품이다. 당나라 시대는 예서가 쇠퇴하던 시기임에도 불구하고 현종은 유려한 예서체를 구사, 명필의 진면목을 드러낸다. 자신이 본문을 쓰고 직접 주해도 덧붙이는 등 남다른 특징을 갖추고 있다.

더불어, 구양순 해서체로 쓰인 당(唐)대의 <황보탄비(皇甫誕碑)>, 안진경 해서체의 특징을 한 눈에 보여주는 <안씨가묘비(顔氏家廟碑)>, 왕희지의 행서를 집자해서 만든 <집왕성교서비(集王聖敎序碑)>, 청(淸)대의 <임칙서 유화산시각석(林則徐 遊華山詩刻石)>, 중국 내 기독교의 유입 과정을 기록함으로써 중국과 페르시아 등 외교사적 사료로도 학자들의 주요 연구자료가 되고 있는 당(唐)대의 <대진경교유행중국비(大秦景敎流行中國碑)>등이 큰 관심을 받고 있다.

이외에도 사실상 전시된 모든 작품이 각 시대별로 변천된 모습을 보이며 뚜렷하게 대별되어 예술적 관점에서나 서예의 지식을 높이는 점에서나 매우 흥미롭다. 각 서체의 특징과 개성을 눈여겨 비교해보며 각 작품 고유의 가치와 특징을 음미해보는 것도 재미를 더한다.

한국과의 대외 교류를 말해주는 비문 또한 자리해 국내 사가(史家)들의 눈길을 받고 있다. <이훈부인왕씨묘지(李訓夫人王氏墓誌)>가 그 것. 중국의 외교관이었던 것으로 알려져 있는 이훈의 부인 왕 씨가 천보(天寶)초년에 대운사(大雲寺)의 신라의 승려로부터 불법(佛法)을 배웠다는 내용이 기록돼 있어 당시 중국과 신라간의 교류를 엿 볼 수 있게 한다.

중국서안비림명비전은 지난 1998년 연세대학교에서 처음 개최된 데 이어 이번에 10년만에 한국을 다시 방문한 전시회다. 유명한 전시니만큼 한자를 사용하는 문화권역인 일본 등 아시아의 여러 곳에서 전시회를 연 바 있지만, 역대 아시아 순회전 중 이번 서울전시회의 기획 및 구성이 가장 뛰어난 것으로 서안비림박물관측이 높이 평가한 것으로 알려진다.

실제로 평면의 탁본을 일일이 커다란 지지대에 붙인 뒤 실제 비석처럼 실물 크기로 세워 작은 ‘비림’으로 꾸몄다. 작품들의 배치구도와 동선 기획, 디자인 등에서 타 아시아권 국가의 국립고궁박물관에 못지않은 세련된 감각과 구성력을 발휘하고 있다.

특히 예술 장르중에서도 전문가나 한문세대외에는 자칫 따분해하거나 무관심하기 쉬운 서예 분야를 남녀노소를 불문, 어린이들에게도 자상하게 갖가지 시청각 자료를 활용해 이해를 돕는 등 학습효과과 서예인구 저변 확대에도 좋은 계기를 제공하고 있다.

작품 관람 후 마지막 순서인 체험전 코너도 인기를 끌고 있다. 멋진 서예체가 새겨진 비문을 직접 탁본해보는 코너는 물론, 전시내용과 관련된 다양한 정보를 해설하는 영상 및 오디오 자료가 함께 활용돼 이 체험형 프로그램 코너를 즐기는 관람객들의 열기가 더욱 뜨겁다. 특히 방학중인 자녀들과 함께 찾은 가족 단위 방문객들의 발길이 끊이지 않고 있다.

한켠엔 전시와 관련된 다양하고 재미있는 도구 및 책자, 소품 등 기념품점이 별도 판매부스로 마련돼 잔 재미를 보탠다. 마치 중국 현지의 박물관을 여행하는 느낌을 주는 이번 행사는 31일까지 진행된다.

석대효경비(石臺孝經碑), 황보탄비(皇甫誕碑), 안씨가묘비(顔氏家廟碑)(왼쪽부터)

■ 중국서안비림명비전의 대표작


■ 석대효경비(石臺孝經碑)

- 당(唐) 천보(天寶) 4년(745)에 제작. 예서(隸書). 높이 620cm, 너비 132cm. 당 현종(玄宗) 이 친히 서문과 주해(注解)를 짓고 글씨를 썼다. 비 아래 3층 계단식으로 된 사각형 받침이 있어 ‘석대효경(石臺孝經)’이라 부른다. 이 비의 서법은 단아하면서도 장엄하다. 평평하고 곧게 돌판에 새겼으나 삐침이 분명하다. 800여년의 시간이 흘렀지만, 여전히 밝고 깨끗하여 마치 옻칠한 듯이 보존 상태가 좋다.

■ 황보탄비(皇甫誕碑)

- 당(唐) 정관년간(貞觀年間, 627~649)에 제작. 해서(楷書). 찬자: 우지녕(于志寧), 서자: 구양순(歐陽詢). 높이 268cm, 너비 96cm. 황보탄(皇甫誕)은 수나라 때의 대신으로 정권쟁탈과정에서 죽음을 당했다. 당나라 때에 이르러 그의 아들 황보무일(皇甫無逸)이 구양순에게 글씨를 부탁하여 이 비가 만들어졌다.

『당서(唐書)』「구양순전(歐陽詢傳)」에 ‘구양순은 처음에 왕희지의 글씨를 공부하였는데, 후에 굳세고 힘 참이 이를 능가하여 그 유명한 구양순체를 이룩하였다. 서간문 등이 세상에 전하여 사람들이 이를 법으로 삼았고 고구려의 임금은 사신을 파견하여 이를 구하기도 하였다.’라고도 실려있다. 당시 구양순의 글씨가 국내외를 막론하고 매우 유명하였음을 알 수 있다.

구양순체의 점획(點畫)은 정밀하고 가늘며, 결구(結構)는 단정하고 굳센 것이 특징이다. 당대는 물론 지금까지도 해서를 공부하는 이들의 ‘표준 교본’으로 사용될만큼 유명한 서체다.

■ 안씨가묘비(顔氏家廟碑)

- 당(唐) 건중(建中) 원년(780)에 제작. 해서(楷書). 찬자: 안진경(顔眞卿). 서자: 안진경과 이양빙(李陽冰). 높이 330cm, 너비 130cm. 안진경이 자신의 선친을 위해 세운 가묘비(家廟碑)다. 비문에는 안씨(顔氏)의 선조와 가족, 역임한 관직에서부터 후예의 학문과 사업 등에 관한 내용 등이 기술되어 있다. 안진경이 70여세 때 쓴 것으로, 그 서법이 이미 최고의 경지에 이르렀을 때라 ‘안체(顔體)’의 대표작으로 손꼽히기도 한다.

글씨에는 풍만한 아름다움과 건장한 기운이 넘쳐흘러 역대 중국서법예술 중 가장 뛰어난 작품으로 여겨졌다. 안진경은 《안씨가묘비》에서 ‘집에 종이가 없어 나뭇잎에 글씨를 연습하였다.’라고 기록, 평소 얼마나 열심히 글씨를 연마했는지 대가의 열정을 짐작케한다.


정영주 기자 pinplus@hk.co.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