1596~1597년경, 캔버스에 유채, 99?131, 파리 루브르 박물관 소장인물 강조위해 극단적 명암법 활용… 통속적 주제를 사실적으로 그린 첫 작품

21세기 첨단 과학으로도 알 수 없는 것이 미래다. 요즘처럼 직장인들의 미래가 불투명하고 또한 미래를 준비하는 젊은 세대에게 미래에 대한 불안과 초조는 숱하게 잠 못드는 날을 보내게 한다.

미래에 대한 궁금증으로 많은 사람들이 점쟁이를 찾곤 한다. 미래 예견 사업이 2조원 대를 넘어서는 것도 불안한 미래를 조금이라도 알고 돌발상황에 대처하기 위해서다.

하지만 점쟁이라도 불투명한 미래를 확실하게 보여주지 않는다. 소문난 점쟁이일수록 눈치가 9단이다. 복채를 올리기 위해 점 보러 오는 사람의 호기심을 적당히 맞추어 줄 뿐이다. 맞으면 그만 안 맞아도 그만이다.

일찍이 미래 예언 사업의 사기성을 알아챈 화가가 카라바조(1571~1610)다. 그는 점쟁이를 처음으로 그림에 등장시켰다.

카라바조의 <점쟁이>는 여자 점쟁이에게 젊은 남자가 손금을 보고 있는 장면을 표현한 작품이다. 이 작품은 통속적인 주제를 사실적으로 그려내고 있는데 그 이전에는 이런 주제를 그린 화가가 없었다.

이 작품에서 집시 여인은 젊은 남자의 눈치를 보면서 그의 손을 잡고 있다. 젊은 남자는 여인에게 손을 맞긴 채 호기심에 가득한 눈빛으로 바라보고 있다. 하지만 여인은 손금을 보는 것이 아니라 능숙한 손놀림으로 남자의 반지를 빼고 있다.

젊은 남자는 궁금증 때문에 반지를 빼는 여인의 손길을 느끼지 못한다.

이 작품에서 여인이 집시라는 것을 알 수 있는 것은 치마를 한쪽 어깨에 매달아 입고 있는 것으로 집시라는 것을 알 수 있다. 독특한 차림을 한 집시들이 행인들에게 점을 봐주고 돈을 받았다. 그 당시 이런 차림의 여자들은 이집트 여자라고 불렀다.

깃털 달린 모자와 화려한 옷차림한 남자는 귀족의 상징인 칼을 차고 있으며 옷차림은 그가 부유한 귀족임을 나타낸다. 허리에 손을 대고 있는 남자의 모습은 아직 나이가 어리지만 물질적인 부유함으로 인해 세상에 대한 자신감을 암시한다.

이 작품에서 집시 여인은 젊은 남자에게 두 가지를 훔친다. 운명을 점친다는 거짓말로 돈을 훔치고 그것을 미끼로 반지도 훔친다.

카라바조는 이 작품에서 인물을 강조하기 위해 극단적으로 명암을 사용했다. 극적이면서도 사실적으로 묘사한 이 작품은 카라바조가 길을 가다가 집시 여인을 불러서 그녀를 모델로 완성했다. 그가 처음으로 시도한 모델을 현장에서 찾아 그리는 방식은 다른 화가들에게 유행처럼 번졌다.

■ 박희숙 약력

화가, 동덕여대 졸업, 성신여대 조형산업대학원 미술 석사

저서 <그림은 욕망을 숨기지 않는다> <명화속의 삶과 욕망>


박희숙 bluep60@hanmail.ne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