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보이는 음악, 들리는 그림] (6) 스튜어트 데이비스와 조지 거슈인컬러풀·리드 미컬한 그림, 클래식과 접목 통해 조국에 대한 애정 표현

20세기 초, 미국의 예술은 유럽의 예술을 재생하는 수준에 있었다. 이렇다 할 미국고유의 예술작품은 존재하지 않았다.

여러 다른 인종이 모여 하나의 국가를 이루고 있는 다양한 미국의 모습을 표현할 수 있는 미국 고유의 예술은 미술계에서는 스튜아트 데이비스(Stuart Davis, 1892~1964)에 의해, 그리고 음악계에서는 조지 거슈인(George Gershwin, 1898~1937)에 의해 그 출발점을 찾는다. 그리고 이들의 예술 세계에 영향을 준 것은 당시 미국전역에 센세이션을 일으켰던 재즈였다.

재즈에서 탄생한 미국식 예술

거슈인은 맨해튼 빈민가에서 태어나 자연스럽게 흑인들의 생활과 음악을 접했다. 그는 재즈 등 흑인 음악에서 많은 영향을 받았으며, 클래식 역사상 최초로 흑인을 주인공으로 한 오페라 ‘포기와 베스’를 만들었다.

이 작품은 당시 큰 이변을 일으켰고 ‘Summertime’, ‘It Ain’t Necessarily So’ 등 많은 히트 곡을 탄생시켰다. 그는 음악에서 유럽의 클래식과 미국의 재즈를 절묘하게 접목시켰다.

거슈인은 “재즈는 미국에 축적되어있는 에너지의 결과이다. 재즈는 거칠고 서민적인 힘을 지닌 음악이다”라고 말할 만큼 재즈가 당시 미국인의 정서를 대변하고 있다고 믿었다.

거쉬인과 마찬가지로 데이비스 역시 재즈로부터 많은 영향을 받았다. 데이비스는 필라델피아에서 태어나 16세에 뉴욕으로 옮겨 로버트 헨리를 사사했다. 그는 뉴욕에 거주하는 동안 맨해튼의 밤 문화를 접하면서 당시 새로운 음악인 블루스, 스윙 등을 들으며 그림의 주제를 찾았다.

데이비스는 1930년대 스윙이 미국을 강타하며 재즈가 부상했을 당시 대중매체를 통한 재즈의 파급력에 대해 관심을 갖기 시작했는데 1938년 그의 가장 유명한 작품이라고 할 수 있는 ‘스윙 랜드스케이프’는 재즈에 대한 그의 생각을 반영했다. 이 그림은 재즈의 테마와 즉흥 연주처럼 리드미컬함과 다채로움을 표현하고 있다.

동시에 미국 매사추세츠주의 글로체스터의 바다가 보이는 풍경을 추상적인 표현으로 구현해 재즈가 미국 전역에 퍼져있음을 나타냈다. 재즈는 더 이상 흑인들만의 전유물이 아닌 전 미국인의 음악임을 표현하고 있다.

1-스튜어트 데이비스
2-Swing landscape
3-거슈인
4-랩소디안 블루

대중성과 예술성의 결합

거슈인과 데이비스는 재즈에서 영향을 받았다는 점 외에도 대중적인 작품으로 그들의 예술 세계를 시작했다는 점에서도 닮아 있다. 거슈인은 클래식 음악을 작곡하기 전 대중음악을 작곡했다. 그는 뉴욕의 음악 출판사들의 중심지였던 틴판엘리에서 피아니스트와 작곡가로 활동하며 21세에 ‘스와니’를 작곡하면서 대중음악에서 대성공을 거둔다.

그는 스와니로 인해 엄청난 수익을 올리지만 클래식에 대한 열정을 버리지 않았고 1924년 ‘랩소디 인 블루’를 작곡하며 명실공히 미국을 대표하는 예술가로 등극했다. 스트라빈스키를 비롯해 토스카니니, 라흐마니노프 등은 이 작품에 대해 찬사를 아끼지 않았고 그는 하루아침에 대중음악과 클래식 음악계 양쪽에서 명성을 얻게 된다.

그는 이후 클래식을 좀 더 심도 있게 공부하기 위해 라벨, 스트라빈스키에게 레슨을 의뢰했지만 모두 거슈인의 독창적인 음악을 인정, 거절했다는 에피소드가 있다. 거슈인은 일상생활에서 듣고 느끼던 재즈와 팝, 그리고 그가 동경했던 클래식 장르를 적절히 배합시키면서 그만의 독특하면서도 다양성을 지닌 ‘미국적인 음악’을 만들어내는데 성공을 거둔다.

데이비스는 거슈인과는 다르게 정식 미술교육을 받고 자라지만 틀에 박힌 교육에 실증을 느끼게 되고 10대 후반에는 순수미술이 아닌 캐리커처와 만화를 그리는 일을 시작으로 미술계에 진입한다. 데이비스가 21살이 되던 해 그는 가장 어린 나이로 뉴욕 아모리 쇼에 출품을 하게 되고 이때 접한 유럽의 입체파에서 많은 영향을 받게 된다.

하지만 데이비스는 유럽의 입체파를 그대로 받아들이지 않았다. 그는 독창적인 감각을 살려 미국적 특성을 지닌 ‘미국식 입체파’를 만들어냈다. 그는 미국인의 모습을 잘 나타낼 수 있는 미국의 상징적인 도시 뉴욕, 자동차, 상업적 로고 등 일상생활에 녹아있는 주제를 그림 안에 그리며 미국식 예술을 창조했다.

그의 컬러풀한 색채의 사용, 일상에서 찾는 주제, 포스터 느낌을 살린 특유의 기법, 글자의 사용 등은 이후 팝 아트의 선구자 역할을 한다. 1928-29년 파리에 있는 동안 그는 미국인의 눈으로 바라본 파리의 풍경을 그린다. 간판에 새긴 글씨, 건물크기의 소다 병, 칼라풀한 색채, 포스터 느낌의 그림 등은 그만의 독창적인 그림 기법을 나타낸다.

이 시기는 우연히도 거슈인이 ‘파리의 미국인’을 작곡한 시기와도 정확하게 맞아 떨어진다. 1928년에 작곡한 ‘파리의 미국인’은 미국 여행객이 파리에서 느끼는 파리의 인상을 음악으로 표현한 작품이다. 이후 그는 이 곡을 기반으로 동명의 뮤지컬 영화가 만들어졌고 대히트를 기록한다.

거슈인의 ‘파리의 미국인’과 데이비스의 1928~1929년도 파리의 풍경을 그린 작품들은 파리라는 유럽 예술의 중심지를 미국인의 시각으로 재구성하고 표현했다는 점에서 공통점을 지닌다.

미국의 예술가

거슈윈인 데이비스, 이 둘은 일상에 녹아있는 주제들을 예술로 승화시켜 미국 고유의 예술을 만들어냈다. 그들은 그들의 작품을 통해 미국인의 삶과 애환을 표현하며 미국인의 마음을 읽어주었다.

미국 특유의 다양한 문화의 공존을 거슈인은 팝과 재즈와 클래식이라는 장르를 접목시킴으로써, 데이비스는 유럽의 입체파를 미국의 정서에 맞게 변형시켜 일상에서의 주제와 재즈를 접목시켜 예술로 승화했다. 그들의 말과 작품 속에서 우리는 두 예술가의 조국, 미국에 대한 있는 애정을 느낄 수 있다.

“I paint what I see in America, in other words I paint the American Scene (나는 내 눈으로 바라본 미국을 그린다. 다시 말해 미국의 풍경을 그리는 것이다).”-스튜아트 데이비스

“True music must repeat the thoughts and inspirations of the people and the time. My people are Americans and my time is now (진정한 음악은 이 시대의 사람들의 생각과 영감을 (음악을 통해) 다시 경험하도록 해야 한다. 나의 사람들은 미국인이고 나의 시간은 지금이다).”-조지 거슈인



노엘라 / 바이올리니스트 겸 음악 칼럼니스트 violinoella@hotmail.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