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한국에서 인도통(通)이 누구냐고요? 허허… 두 손으로 꼽으면 손가락이 남을 정도죠.”(대학 연구원)

“다들 길어야 1년 정도 근무하죠. 저도 올 2월에 왔어요. 글쎄, 인도전문가라면 우리보다 기업 쪽에 알아봐야겠죠.”(정부 당국자)

정부든 학계든 내로라하는 미국전문가는 발에 채일 정도로 흔하다. 하지만 인도나 아프리카, 남미전문가는? 쉽게 떠오르지 않는다.

세계화가 살 길이라고 외친 지 10여 년. 외교통상부 장관은 유엔 사무총장에까지 도전장을 냈다. 그러나 우리는 세계를 얼마나 알고 있을까. 대답은 부정적이다.

특히 인도나 제3세계에 한국이 축적한 인적 인프라는 예나 지금이나 별반 차이가 없다. 3세계 시장의 가능성을 보고 투자를 하려고 해도 도대체 기본적인 노하우를 컨설팅 받을 곳조차 찾아보기 힘든다.

아직 인도는 명상을 위한 웰빙 여행지나 신문 기사 속의 유망 시장의 수준으로만 존재하고 있는 셈이다. 정부 사이드에서도 막막하기 마찬가지다. 결국 초기 투자실패의 위험을 감당해 낼 수 있는 대기업들만 알아서 투자하라는 식이 된다.

이는 지금까지 한국인의 세계 인식에는 미국과 일본, 중국, 러시아 정도가 있을 뿐 인도나 아프리카, 남미 등 제3세계는 없었던 탓도 크다.

한국만큼 ‘세계화는 곧 미국화’라는 명제에 충실한 나라도 없을 것이란 비아냥도 나올 법하다. ‘냄비 근성’ 탓인지 정부든 대학이든 유행만 쫓아갈 뿐, 선진국으로 가기 위해 미래를 차분히 준비하는 믿음직함이 없다. 마치 ‘벼락치기 공부’하듯 닥치면 시끌벅적 요란을 떤다.

벌써 많은 중소기업인들이 인도 시장에 사전 정보 없이 덤볐다가 낭패를 본 경우 심심찮게 들린다. 결국 정부든 기업이든 ‘무지의 비용’을 지불하고 있는 셈이다.

대사를 지낸 전직 외교관은 “이제라도 정부는 기존의 4대 강국 중심의 인사 시스템을 손 볼 때가 됐다”고 말했다. 정부도 실질적인 대민 봉사를 하려면 지역 전문가를 길러낼 수 있도록 시스템을 정비하라는 지적이다.

거대시장 인도와 협력강화. 말뿐이 아닌 실천을 위한 인적 인프라 구축이 시급하다.


조신 차장 shincho@hk.co.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