골프는 철저한 친밀도의 게임(Game of Familiarness)이다.

골프와 관련되는 모든 것에 얼마나 친밀한가, 즉 얼마나 낯설지 않은가에 따라 성공 여부가 판가름 난다.

낯선 골프장에 가서 좋은 스코어를 내기란 쉽지 않다. 코스 자체에 대해 아는 것이 없는데다 그린의 특성이나 지형적 특징, 캐디의 수준 등 자신이 갖고 있는 정보가 빈약하기 때문이다. 일찍 도착해 그린에서 연습을 했다고 해도 그것은 잠시일 뿐 머리나 근육에 입력된 정보가 없기 때문에 실전에선 별로 도움이 안 된다.

홀마다 코스 그림이 있고 캐디가 홀의 특성을 일러주고 위험지역을 알려주지만 여전히 경험해보지 않은 코스라 낯설고 겁을 먹게 되고 평소의 샷을 발휘하는데 주저하게 된다. 적어도 서너 라운드는 돌아봐야 한 골프코스의 특징이 어떻고 대응을 어떻게 해야 하는가 감을 잡을 수 있다.

자신의 베스트 스코어가 나왔던 골프장의 기억을 상기해보자. 낯선 골프장이 아닌 자주 가는, 그래서 코스의 모든 것을 손바닥 들여다보듯 훤한 골프장일 경우가 대부분이다.

그렇다면 처음 가보는 골프장에서는 좋은 스코어를 낼 수 없다는 말인가.

그렇지 않다. 낯선 골프장에서 낯섦을 떨어버리고 친밀해질 수 있는 비결이 있다. 일단 미리 인터넷을 통해 골프장의 코스배치를 면밀히 검토하고 인쇄해둔다. 인터넷을 통해서일망정 한 번 눈여겨 본 코스이기 때문에 난생 처음 만나는 골프장처럼 낯설지는 않다.

다음에는 남보다 일찍 골프장에 도착해 개인적으로 골프장과 친숙해지는 노력을 기울이는 것이다. 두어 시간 전에 도착해 전체 코스를 조망해보고 남들이 플레이하는 것을 보며 코스를 눈에 익힌다. 특히 그린에서 많은 시간을 보내야 한다. 낯선 골프장에서 가장 애먹는 것은 그린이다. 한 시간 정도 퍼트를 해보면 그린의 빠르기 등 특성을 감지할 수 있다. 바람도 느껴 보고 공기도 깊은 산속 옹달샘 물을 마시듯 음미하며 들이킨다.

한두 시간의 관계이지만 헐레벌떡 도착해 어디가 어딘지도 모르고 부랴부랴 식사하고 1번 홀로 달려가 캐디가 시키는 대로 샷 하는 것 하고는 다를 수밖에 없다.

골프채와 얼마나 친밀한가도 골프실력에 결정적인 영향을 미친다. 잘 안 맞는 클럽은 친밀도가 낮은 것이고 잘 맞는 골프채는 친밀도가 높은 것이다. 안 맞는다고 겁나서 클럽을 외면하면 점점 더 그 클럽 잡기가 겁나고 친밀도도 떨어진다. 쉽게 칠 수 있는 채를 선택하게 되고 자연히 몇몇 클럽에 대해서만 친밀도가 높아진다. 골고루 잘 칠 수가 없다.

잘 맞던 드라이버라도 연습을 게을리 하면 미스 샷을 할 수밖에 없는데 역시 친밀도가 그만큼 떨어진 탓이다.

친밀도가 떨어지면 다시 부단한 연습으로 그것을 회복해야 하는데 대개는 자꾸 클럽 탓을 하며 새로운 클럽을 머릿속에 그려본다. 쓰던 드라이버는 갈수록 정나미가 떨어지는 것이다. 클럽에 대한 친밀도를 높이는 방법은 자신의 스윙이나 체격에 맞는 감이라는 것도 있지만 연습만한 것이 없다.

트러블 샷에 대해서도 자주 탈출해 버릇을 하면 익숙해서 겁먹지 않고 대응할 수 있는데 그런 환경을 접해보지 못하고 실패한 경험을 갖고 있으면 낭패를 당하기 일쑤다. 이럴 땐 그런 환경에 친숙해지는 길밖에 없다. 즉 벙커 연습을 열심히 해서 벙커샷에 대해서 친숙해지고 러프에서의 샷을 많이 해서 러프와 친해질 필요가 있다. 이때 친해진다는 것은 곧 공포감을 없앤다는 뜻이다.

캐디와도 마찬가지다. 처음 만난 캐디라 해도 친밀한 감정을 갖는 골퍼와 낯선 감을 갖는 골퍼는 캐디가 주는 정보를 흡수하고 소화하는데 엄청난 차이가 난다. 그래서 골프장에서 캐디와 다투는 사람은 가장 어리석은 사람이다. 파트너와도 가능한 한 친밀감을 갖도록 해야 적대감에서 벗어날 수 있고 자신의 페이스대로 플레이할 수 있다.

골프에서 친밀감만큼 효과가 좋은 만병통치약은 없다.

방민준(골프한국 칼럼니스트)

(골프한국 프로골프단 소속 칼럼니스트에게는 주간한국 지면과 골프한국, 한국아이닷컴, 데일리한국, 스포츠한국 등의 매체를 통해 자신의 글을 연재하고 알릴 기회를 제공합니다. 레슨프로, 골프업계 종사자 등 골프칼럼니스트로 활동하고 싶으신 분은 이메일()을 통해 신청 가능합니다.)



주간한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