조상운 넝쿨 안산에너지 회장

대한민국도 더이상 지진의 안전지대가 아니다. 다른 나라의 일인줄 알았던 지진은 이제 우리 앞에 현실로 다가왔다.

당장의 지진도 문제지만, 이후의 여진, 그리고 이로 인한 2차 피해는 어쩌면 더 심각할지도 모르겠다. 일례로 가스시설의 문제다.

만약에 가스시설이 지진으로 파괴될 때를 생각해보자. 가스누출로 인한 폭발, 그리고 화재로 인한 인명 및 재산피해가 막심하게 될 것이다. 사실 생각조차도 하기 싫다.

지난해 열린 가스안전 국제세미나서 필자는 충격적인 소식을 접했다. 우리나라의 내진설계 대상 가스배관 47,748km 중 22,777km가 내진설계 의무화 이전에 설치됐다는 것이다.

지금의 가스배관 절반 가까이 다시 검토를 해야 한다는 상황이 믿겨지지가 않았다. 생각보다 너무한 현실을 접하며 참으로 기가 찼다.

그렇다면 다른 나라는 어떻게 대처하고 있을까? 우리나라의 이웃나라로서 지진의 위협에 항상 노출돼있는 일본의 경우를 보자.

도쿄가스의 경우 대규모 지진에 대비, 규칙 정비에 심혈을 기울인다. 지진 방재의 PDCA 사이클을 구축하고, 예방-긴급-복구를 3대 축으로 한 지진 방지 대책을 수립했다.

특히 지진 후 2차 재해 방지를 위한 긴급 대책으로서 초고밀도 리얼타임 지진 방재 시스템 ‘SUPREME’을 도입했다. 이를 통해 초고밀도로 설치한 SI 센서(지진계)에 의한 고정밀도의 피해 파악 및 추정이 이뤄지고 있다.

효과는 대단했다. 2011년 동일본대지진에서 이 시스템이 원활하게 가동됐던 것. 재해 발상 직후, 지진 관측 정보 수집 및 가스 도관의 피해 추정에 의한 빠른 초동 조치에 일조했다.

하지만 그러한 일본도 그때의 대지진을 계기로 피해를 입은 가스시설을 분석해 새로운 지진대책을 마련했다고 한다. 이러한 모습은 정말 본받아야겠다고 생각했다.

국내 가스시설의 지진 안전성 향상에 대한 관심이 고조되고 있는 것은 분명히 좋은 현상이다. 국내외 여러 사례들을 철저하게 분석한 후 재난 위기관리 체계가 하루속히 정착되기를 바란다.



주간한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