클럽·프리마켓 문화는 축출…'원주민'의 한숨만이위기는 기회다?… "청소년기의 성장통" 견해도

[홍대앞·신촌 ‘문화’의 위기]
파티문화에 휘둘린 아, 우리의 ‘홍대앞’!

클럽·프리마켓 문화는 축출…'원주민'의 한숨만이
위기는 기회다?… "청소년기의 성장통" 견해도


홍대, 아니 보다 정확히는 ‘ 홍대앞’엘 가면 돈 냄새만 자욱한 강남과는 다른 문화가 분명 있었다. 그 곳이 요즘 몸살을 앓고 있다는 불길한 소문이 무성하다. 이를테면 대안공간 루프나 쌈지 스페이스, 아트스페이스 휴 같은 예술 공간이 자아내는 영기(靈氣ㆍ아우라)가 휘발해 버렸다는. 1990년대만 해도 인디 문화의 메카로 불린 거기는 대안 문화, 클럽 문화의 산실이었다.

“처음 프리마켓을 시작했을 때가 그리워요. 그때 이 놀이터는 말 그대로 창작에 대한 순수한 열정으로 가득했거든요. 자신이 만든 창작품을 가지고 나와 처음으로 세상에 공개할 때 그 즐거움이란 말로 표현할 수 없어요. 그런데, 어느새 노점상들이 하나 둘 모이면서 창작하는 작가들의 순수한 열정에 물을 흐려 놓았죠.”쥬얼리 디자이너 백지현씨는 요즘 많이 예민해져 있다. 마포구청의 단속과 노점상들의 출현, 놀이터 주변 쓰레기 처리 문제의 화살이 모두 아트 벼룩시장의 작가들에게 돌아왔기 때문이다. 이쁘장한 얼굴이 불안의 그늘을 숨기지 못하는 것은 그 때문일 게다.

노점상과 작가를 구분하기 위해 ‘작가 등록’이란 깐깐한 절차가 생기기도 했다 한다. 아트벼룩 시장의 첫 멤버이면서 프리마켓의 큰 언니벌인 그녀는 6년 전에 미생물학과를 졸업하고 광고회사에서 우연찮게 쥬얼리 디자인 제작을 맡으면서 이 일과 인연을 맺었다 한다. 아트벼룩시장은 백지현씨처럼 전공과는 다르게 순수 창작에의 열정으로 모인 사람들이 대부분이라 한다.

관련기사
비비고 굽는 거리, ‘홍대앞’
‘文化’ 포기한 우리 대학

기따씨라는 별명을 굳이 고집하는 이십대 후반의 작가도 그래픽 프리랜서와 하자센터 프로젝트 강사를 하다 우연히 프리마켓의 인형작가가 되었다 한다. “저는 떠돌아다니는 잡상인”이라며 자신을 표현하는 그는 홍대 96학번 시절부터 현재까지 홍대의 변천사를 몸소 겪은 인물이기도 하다. “프리마켓의 처음 시작은 소박함에서 비롯됐어요. 작가도 그렇고 그것을 구경하는 사람들 모두 같은 맘이었죠. 가족적인 분위기라고 할까요. 노점상들이 작가들을 따라 가판대에서 물건을 팔면서부터 이곳이 상업성을 띤 공간으로 변해갔죠. 그러면서 구청에서는 쓰레기 문제와 놀이터 사용 문제를 거론했고, 작가들은 어느새 불안한 상태에 놓이게 된 거예요.”


- 노점상과 작가 구분 절실해져

또 세상에서 단 하나뿐인 자신만의 창작품을 만들던 시장에 갑자기 학원 수강생들이 개입, 개성 없는 상품이 전시되는 상황이 벌어지는 사건 또한 이들을 불쾌하게 했다. 젊은 작가들의 아이디어가 도용된 사건은 아트벼룩시장 작가들에게 새로운 문제점으로 다가왔다. 작가들의 아이디어와 디자括?베껴 공장제품으로 생산하는 약은 장사치 때문에 작가들의 손해가 이만저만이 아니라고 한다. “비주류 문화가 어설픈 유행에 휩쓸려 사장될까봐 걱정이죠.” .

“ 홍대는 예전의 홍대가 아니예요.” 홍대 마니아라고 자신을 소개하는 장비호씨는 홍대에서 활동한지 올해로 10년이 넘는 클럽 DJ이다. 그는 요즘은 강남에서 파티 플래너를 일을 하지만 마음은 늘 홍대에 있다고 한다.그가 알던 홍대는 지금 홍대 클럽처럼 단순히 술을 마시고 춤을 추기 위한 공간을 넘어선 새로운 장르의 음악을 소개하는 장이었다. 실제로 전위예술이나 언더그라운드 뮤지션이나 아티스트들의 독특하고 이색적인 춤을 선보인 장소가 바로 홍대였다. 하지만 지금 홍대 클럽은 가벼운 댄스풍의 힙합이나 하우스 뮤직이 주를 이룬다. 클럽을 찾는 손님들도 예전과는 많이 변했다 한다. 예전처럼 음악으로 자신의 개성을 표현한다기 보다는 단순히 즉석 만남을 가지거나, 유행하는 스타일을 구경하러 오는 사람들이 대부분이라고 한다.그의 씁쓸한 한마디 “맞아요. 불과 2-3년 전보다 사람들이 배로 불어난 건 사실이죠. 그러니 클럽 업주들에겐 어느 때보다 황금시장이죠. 하지만 그럴수록 홍대가 점점 자신의 색을 잃어가는 것이 아쉬울 뿐이죠.”


- 인디문화 산실… 옛 소리

“오픈한 가게 앞에서 열??춤을 추고 노래해 주는 홍보도우미처럼, 파티에 끌려 다니는 문화”라고 그는 현재 홍대앞의 문화를 규정한다. 파티 문화. 섬짓한 규정이다. 인디 밴드나 언더그라운드 뮤지션들이 열정을 잃어가고, 점점 대중에게 다가가려 하는 것이 긍정적인 방향인지는 섣불리 판단할 수 없기는 하되, 클럽이 속속들이 생성되면서 홍대앞은 유흥에 몸을 내맡겼다. 1970년대 산업화 시대 자연과 더불어 살던 사람들이 어느 날 자기 고장의 산이 깎이고 뛰어 놀던 놀이터에 공장이 들어서자, 적응하지 못하고 하나 둘 떠나가는 모습과 흡사하다. 거기서 난장이는 절망의 몸짓으로 공을 쏘아 올리지 않았던가.

대안 공간 루프의 문희채씨도 홍대 앞에 대한 생각이 별반 다르지 않은 모양이다. 현재 홍대 앞이 문화지구 타당성 조사를 앞두고 있는 시점에서 가장 큰 문제점은 프리마켓이나 희망시장이 상징적으로 말해 준다는 것. 현행법의 잣대로는 불법 행위가 될 수 밖에 없는 문화 행사들이라는 지적이다. 루프와 같은 문화공간은 화랑등록을 마친 상태이기 때문에 법규 단속과의 마찰은 없다고 한다. 하지만 비교적 안정적인 루프도 위기를 맞은 적이 있다. 작년 5월 도로 정비법에 따라 간판이 철거당해 현재는 간이 간판으로 대체를 한 것이다. “홍대거리가 점점 상업화가 되면서 급박하게 상승하는 임대료 때문에 문제가 많아요. 쌈지나 아티누스처럼 자체 건물을 사용하는 경우에는 별다른 문제가 없지만, 요즘 새로 생기는 홍대의 대안공간들은 건물 일부를 임대하여 공간 활용을 한다는 점에서 상당한 부담이 되죠.”


- '홍합'의 절치부심… 홍대앞 문화예술인

대안 공간 루프가 위치한 골목은 지난 한 해 동안 주택가에 가까웠던 상가건물들이 상업 구역으로 변모했고, 재계약시 임대료가 상승할 것은 이미 예견된 사실이다. 이에 대비해 홍대앞 문화예술인 협동조합, 이른바 ‘ 홍합’은 각 공간의 현 계약 상황과 임대료에 관한 실사를 마치고 지가 상승분에 대한 대응책을 마련하고 있다는 것이다. 이 학교 미대를 나온 그녀는 “ 홍대 앞과 홍대는 다르다”며 “ 미대의 성격이 강한 홍대라지만 지리적 이점에도 불구, 학교와는 여타의 전시나 행사에 대한 교류가 미약한 상황 ”이라고 말한다. 상황은 난감하다. 현 미술계에 대안공간이 맡고 있는 역할과 순기능에 대해 문화관광부나 문예진흥원, 서울시 등에서는 지원이 이루어지고 있지만, 정작 마포구 당국에서는 현황 파악 외에는 어떠한 지원도 없다는 것이다.

홍대는 지금 성장의 과도기에 있다. 홍대가 앓고 있는 몸살은 갑작스레 성장기를 맞이한 청소년기의 성장통과 다를 바 없다. 게다가 서서히 사춘기에 접어들어 가치관의 혼란과 아노미 현상을 맞이한 사춘기의 불안한 모습도 보인다. 하지만 말이다. 위기는 기회를 만들고 한계는 선택하게 만드는 법이다.

작가들은 구청과의 마찰로 인해 한층 성숙한 모습을 보였고, 대안공간 큐레이터도 신진작가 발굴 기획전과 국제 교류에 중점을 둔 다양한 사업을 진행시키면서 단단하게 성장하고 있었다. 또한 클럽의 인디 밴드에게는 홍대를 벗어날 기회를 던져주었다. 그들이 활동무대를 넓혀 가면서 대중과 화합하는 기회를 가진다면 그들의 성장에 좀 더 희망적이지 않을까. 어디가나 성장통은 있게 마련이다. 다만, 건강한 성장을 기대할 뿐이다.

유혜성 자유 기고가


墩시간? 2004-06-23 11:43


유혜성 자유 기고가 cometyou@hanmail.ne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