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환경을 위한 실천 매뉴얼]풀꽃상·웹진·환경책 기획 등 문화예술적 방식으로 환경운동 전개

1-풀꽃평화연구소 사람들
2-거위 '철근'과 '구리'를 보고 있는 풀꽃평화연구소의 정상명 대표(왼쪽)와 최성각 소장
3-풀꽃평화연구소 퇴골연구소

“사람들이 본래 이렇게 무례하지는 않았겠죠?”

환경단체 ‘풀꽃세상을 위한 모임(이하 ‘풀꽃세상’)’의 공동창립자이자 ‘풀꽃평화연구소’ 의 소장인 작가 최성각이 말했다.

단체의 철학이 다 담긴 한 마디였다. 친환경이란 뭔가 새로운 시도를 하는 것이 아니라 인간이 본래 생태계에 지녔던 예의를 회복하는 것이다.

이를테면, 익은 감을 거두면서도 까치의 몫으로 하나 정도는 남겨둘 줄 알았던 윗세대의 마음씀씀이를 되찾는 것. 그것이 풀꽃세상과 풀꽃평화연구소와 가 벌이는 ‘풀꽃운동’의 취지다.

이성과 논리가 득세하기로는 환경운동 영역도 예외가 아니었다. 하지만 풀꽃세상은 달랐다. 마음이 먼저였고 태도가 먼저였다. 동강댐 건설을 둘러싸고 논란이 거셌던 1999년, 다른 환경단체들이 반대 구호를 외치는 동안 풀꽃세상은 동강의 비오리에게 상을 드렸다.

“본래 나그네새였으나 동강의 텃새가 된 그가 너무나 귀엽고 예쁘다”는 이유였다. 그리고 그 내역을 일간지에 광고로 실었다. 형상을 갖추고 온기를 품은 생명체의 터전으로 동강을 바라보자는 감성적 호소였다.

이후 풀꽃세상은 매년 비오리를 잇는 ‘풀꽃상’ 수상자를 발표하고 있다. 지금까지 보길도의 갯돌, 가을 억새, 인사동 골목길, 지렁이, 간이역, 비무장지대 등이 수상자 목록에 올랐다.

새만금간척사업에 반대하는 삼보일배도 풀꽃세상이 시작했다. 자연을 외경하고 생명 가진 것들을 가엾게 여기는 마음의 표현이었다. 머리가 앞섰더라면 도달할 수 없었을 절절한 몸짓이었다.

지난 3일 춘천에서 만난 풀꽃세상의 창립자이면서 풀꽃평화연구소의 대표인 화가 정상명은 “생명에 대한 애정이 모든 환경운동의 기본”이라고 말했다. 그런 감수성을 돌이키는 것이 이 문화예술적 방식의 의의다.

이는 환경문제를 일으킨 이성 중심 문화를 반성한다는 의미이기도 하다. 감수성을 강조함으로써 자연을 자원이자 수단으로만 대한 이성적 문화에 질문을 던진다는 것이다.

“환경을 생각하는 실천들이 활발하고, 제각기 중요하지만 정작 그것을 왜 해야 하는지에 대한 질문은 부족한 것 같아요. 그런 질문이 결국 자연과 생명을 대하는 기본적 태도와 연결되는 것인데요. 존경하고 연민을 느끼고 공감하는 마음이 중요합니다.”

이런 마음을 퍼뜨리기 위해 풀꽃세상과 풀꽃평화연구소는 다양한 문화예술적 방법을 시도하고 있다. 풀꽃상 시상식을 여는 것은 물론, 웹진을 발행하고 환경책을 기획한다. 책 읽기 운동을 펼치고, 홈페이지에 헌책방을 열었다. 화가인 정상명 대표와 작가 최성각 소장은 각각 환경 관련 그림을 그리고 글을 쓴다.

이 운동의 모태이기도 한, 춘천시 서면 서상리에 위치한 퇴골 연구소를 가꾸는 것도 중요한 일이다. 자연과 접한 삶 없이 풀꽃운동의 마음과 태도, 감수성을 지킬 수는 없기 때문이다.

“저 아래 자두나무집에 손바닥만한 새가 부딪혀 죽었더라고요. 폭풍이 불면 작은 새들은 제 몸을 가눌 수가 없어요. 올해 들어 세 번이나 묻어줬어요. 그러면서 새들을 한참 들여다 봤어요. 사람들은 새를 모릅니다. 들여다 볼 시간도 없이 그 아름다움이 얼마나 완벽한지 알 리가 있겠어요. 어디 새뿐일까요. 개미, 지렁이, 곤충, 길가의 풀까지 목숨 가진 것들은 다 완벽하게 아름다워요.”

정상명 대표가 말했다. 그리 마땅한 것을 모르는 세상이 안타깝다는 듯이.

정상명 대표 '꽃짐', 최성각 소장 '거위, 맞다와 무답이' 출간

풀꽃운동의 맥락과 내용을 담은 책 두 권이 최근 출간되었다. 정상명 대표의 산문집 '꽃짐'과 최성각 소장의 생태소설 '거위, 맞다와 무답이'다.

'꽃짐'에는 화가 정상명이 첫째 딸 초영을 사고로 잃은 후 그 고통을 환경운동으로 승화시킨 내력이 담겨 있다. 풀꽃세상이라는 단체의 이름도 '천 송이의 풀꽃'이라는 뜻을 지닌 딸의 이름을 따서 지은 것이다. 정상명 대표가 '파부인'이라 부르는 수선화로부터 위로를 받은 사연에서 자연에 대한 그의 마음을 짐작할 수 있다.

큰 딸이 세상을 떠난 후 파부인에게 부탁했습니다. "부디 꽃 한 송이만 피워주렴. 많이도 아니고 딱 한 송이만."

솔직히 말한다면 식물들은 사람이 결코 엿볼 수 없는 다른 세계와 깊이 연결되어 있다는데 만약 파부인이 꽃을 피워준다면 그것은 그리워 애가 타는 제 부름에 대한 큰 딸의 대답일 것이라고 생각했습니다. 그런데 참으로 거짓말 같은 놀라운 일이 일어났지요. 파부인이 길고 긴 침묵에서 벗어나 아름다운 꽃을 피워준 것입니다. 딱 한 송이였습니다. 오랜만에 저는 꽃을 다시 보았고, 말할 수 없이 깊은 위로를 받았습니다.('파부인' 중)

'거위, 맞다와 무답이'는 최성각 소장이 퇴골 연구소에서 2년여 동안 기른 한 쌍의 거위를 추모하는 소설이다. 그들은 지난해 4월 수리 부엉이에게 습격을 당해 세상을 떠났다. 최성각 소장은 따뜻한 문장으로 그들의 생사와 그들과의 관계를 기록했다.

달도 없는 깊은 밤, 마당 끄트머리 거위집의 구멍이 숭숭한 철망 안으로 맞다와 무답이의 하얗고 긴 모가지 두 개가 길게 솟아 있는 모습은 눈이 부시도록 아름다웠습니다. 달빛이 좋은 밤에는 맞다, 무답이도 달빛에 겨워서 하얀 모가지를 더욱 높이 치켜들고 천천히 춤추듯이 몸을 움직이곤 했습니다. 그 모습은 마치 부드럽고 고요한 물결에 하얀 수초가 흔들리는 것 같았습니다.(중략)

맞다는 수시로 내 등을 쪼며 놀았습니다. 내 널찍한 등이 마치 자신의 놀이터인 양 톡톡, 쪼면서 즐거워했습니다. 나는 내 몸에 닿은 물체 중에서 맞다의 부리보다 더 감미롭고 황홀한 촉감을 느껴본 적이 없었습니다. 맞다가 내 등을 가볍게 쪼면, 나는 일시에 모든 동작을 멈추고 맞다의 부리를 온몸으로 더 온전하게 느끼기 위해 숨을 죽이곤 했습니다. 그런 순간이 비록 짧았지만, 내 생애에 그보다 더 감미롭고 기분 좋은 순간이 언제 또 있었던가 싶었습니다.





박우진 기자 panorama@hk.co.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