폐지… 명맥 유지

"웃음이 살아나야 나라도 발전한다."

지난해 10월 영화감독이자 개그맨 심형래는 '제1회 대한민국 희극인의 날' 제정 회견장에서 축사를 하면서도 못내 씁쓸해 했다. 개그 프로그램들의 폐지와 후배들이 설 자리가 사라지는 것에 대한 안타까움을 드러냈다. 그는 "웃음이 살아나야 나라도 발전하고, 웃음이 있어야 경제가 좋아진다"며 개그 프로그램에 대한 부활을 외쳤다.

그로부터 1년 후. 얼마 전 7년간 방송을 탔던 SBS <웃찾사>가 폐지됐고, MBC <꿀단지>도 방송 4개월 만에 문을 닫는다. 희극인의 날을 제정했지만 1년의 발자취는 변화한 것이 없다. 어쩌면 개그맨들의 자리가 점점 줄어들고 있는 느낌마저 든다. 안방극장에서 대놓고 웃을 수 있는 자리를 만들었던 개그 프로그램들의 폐지는 우리에게 쓸쓸한 헛웃음만을 남긴다.

"코미디가 사라진 건 업보다."

2010년 코미디의 위기론이 대두되면서 개그맨을 포함한 업계 관계자들의 한결 같은 반응은 "당연한 결과"라는 것이다. 웃음을 주기 위한 코미디가 시청자, 즉 대중에게 전혀 다가가지 못한 점이 코미디 프로그램이 사라지는 운명을 낳았다는 말이다.

한국방송코미디협회장 엄용수
현재 지상파 방송 3사 중 방영되고 있는 프로그램은 KBS <개그콘서트>와 <개그스타>다. 그나마 MBC는 11월 <꿀단지>를 폐지하고 <개그쇼 난생처음>(가제)을 준비 중이다. 10년을 걸어온 개그 프로그램이 <개그콘서트>에 불과하고, 1년 경력의 <개그스타>, 첫 단추를 매는 <개그쇼 난생처음>은 우리 코미디의 위치를 보여주는 좋은 예다.

"한 방송사의 경영진과 코미디의 활성화에 대해 논의를 한 적이 있다. 개그 프로그램이 연간 25~30억 원을 까먹는다고 한다. 시청률 1~2%대의 개그 프로그램이 (광고 수익 등의) 돈이 안 되고 적자를 보니 없어질 수밖에 없는 건 당연한 수순이다."

씨는 코미디의 위기를 인정하면서도 코미디가 처한 환경에 대해 이같이 말했다. 이제 코미디의 현실은 방송국에서 마다하는 상황까지 야기된 셈이다. 사정이 이렇다 보니 방송사 입장에선 개그 프로그램이 미운 오리가 되어버렸다.

결국 현재의 코미디는 예능 프로그램으로 포함돼 리얼 버라이어티로 양산되며 대체됐다. 리얼 버라이어티는 개그 프로그램과 달리 출연진의 꾸밈없는 일상들이 더해져 있는 '날 것'의 영상이 전파를 탄다. 중견 개그맨들이 말하는 정통 코미디(시사 코미디)가 갖는 의미심장한 내용을 담기란 힘들다.

왜 코미디가 이런 상황으로까지 내몰린 것일까.

1970~80년대는 코미디의 전성기라고 불린다. <유머1번지>, <웃으면 복이 와요>, <쇼! 비디오자키> 등은 정치풍자 코미디를 앞세우며 국민적 인기를 얻었다. 정치적으로 억압됐던 당시에 시사 코미디는 시청자에게 약방의 감초 같은 존재였다.

"현재의 코미디는 일명 '듣보잡'(듣도 보도 못한 잡스러운 것) 코미디다. 시청자들의 수준은 날로 높아져 '조크문화'를 만들고 있는데 그 수준을 코미디가 따라가지 못했다. 최근 세계적인 트렌드는 스탠딩 코미디다. 시사 코미디가 가미된 스탠딩 코미디는 조크문화를 양산하는 우리 대중에 맞는 형식으로, 시청자의 정서와 공감하려면 변화를 꾀해야 할 것이다."

90년대 <주병진쇼>와 <서세원쇼>, <시사터치 코미디파일> 등의 방송작가로 참여했던 SBS ETV 김경남 PD의 말이다. 코미디의 패러다임이 바뀌어야 한다는 것. <개그콘서트>의 '왕비호' 캐릭터 등이 오랫동안 사랑받을 수 있었던 건 리얼한 스탠딩 토크 형식의 개그라는 점이다.

게스트를 앞에 두고 실명을 거론하며 신랄하게 풍자하는 장면이 시청자들에게 어필하고 있다. 신인이 출연하면 "누구?"라고 말하고, 과거의 사건사고에 휘말린 적이 있는 연예인에게 "그때 그랬지?", "이제 그러지 마"라며 촌철살인 같은 말들을 쏟아낸다.

김 PD는 이를 두고 시청자의 높은 기대치를 따라갈 수 있어야 한다며, 각박한 사회에서 조크문화를 만들어가는 대중의 높은 수준을 다시 한 번 꼽았다. 사회, 정치, 경제, 문화 등을 모두 담아내야 하는 코미디 말이다.

<개그콘서트>는 바로 그런 시대정신을 담아내며 대중에게 카타르시스를 제공한다. 그러나 대중은 대놓고 웃을 수 있는 공간인 코미디가 사라지니 맘 놓고 미소조차 지을 수 없게 되어 버렸다.

개그맨 최양락씨도 최근 발행한 웃음의 노하우를 담은 에세이 <두말 할 필요 없이, 인생은 유머러스-최양락의 인생 디자인>에서 시대적으로 변화된 씁쓸한 코미디의 이면을 드러냈다.

"남을 인신공격하면 쉽게 웃길 수 있다. 하지만 당하는 사람까지 웃어야 진짜 개그다"라며 최근 예능 프로그램에서의 '폭로전'과 '막말' 논란에 일침을 가했다. 그러면서 "잠깐 동안 웃음을 주고 내내 불쾌한 감정을 느끼게 할 거라면 차라리 입을 다물고 있는 게 낫다.

날카로운 말끝이 어느 순간 자신을 향하게 되는 것을 바라지 않는다면 말이다"며 "거친 예능이 대세라고 해서 나까지 맞장구 치며 서로에게 칼날을 세우는 말을 할 필요는 없다. 나는 그저 내 나이에 맞는 개그를 하면 된다는 것을 안다"고 언급했다. 일회성 코미디를 지양한다는 의미일 것이다.

엄용수씨도 "시청자가 웃지 않는 코미디는 더 이상 코미디가 아니다"며 대중과의 공감과 더불어 의미를 담은 코미디를 1순위로 꼽았다. 그러면서 정통 코미디의 부활이 시급함을 전했다.

"온 가족이 볼 수 있는 코미디를 만들어야 한다. TV 속에는 젊은 개그맨들만이 출연해 웃음을 전달한다. 하지만 가족 코미디에는 젊은이들만 있는 건 아니다. 중견 개그맨들에서부터 신인 개그맨들이 함께 서는 무대가 진정성 있는 코미디를 낳을 수 있다. 그래야 대중이 웃음을 이어갈 수 있다."


"기획사 시스템 문제… 방송사들 개그맨 포용해야"

엎친 데 덮친 격이라고 했든가. 올해 '희극인의 날' 1주년은 의미 없이 지나갈 판이다. 지난해 성남시청에서 진행됐던 행사는 얼마 전 성남시 비리사태로 빛조차 볼 수 없게 됐다. 말 그대로 '코미디 같은 일'이 벌어진 것이다. 코미디가 기를 펴지 못하니 우리는 더욱 웃을 일이 없어졌다. 어떻게 하면 코미디를 더 활성화할 수 있을까.

코미디의 위기라고 한다. 대체 어떤 점이 문제로 부각됐다고 보는가.
가장 근본적인 이유는 기획사 시스템의 문제다. 개그맨들을 양성하는 게 아니라 영리를 위해 코미디 자체를 하지 못하게 한다. 코미디를 할 수 있는 <개그콘서트> 등에 출연하려면 오랜 시간 아이디어를 구상하고 연습하고 회의해야 한다. 하지만 그렇게 매달려도 방송을 할 수 있다는 보장은 없다. 그러니 기획사에 소속된 개그맨 후배들은 제대로 된 코미디 하나 하지 못하고 이 세계를 떠나게 되는 것이다. 실업자 개그맨들이 많다고 하는데 이런 시스템에서 오는 부작용 때문이다. 개그맨들의 후원이 뒷받침 되어야 하는데 돈을 벌 창구가 없으니 기획사에 소속되는 후배들이 많다. 그러니 그 속에서 진실된 코미디를 한다는 건 어불성설이다.

코미디협회장으로서 코미디를 활성화하기 위한 방안이 있는가.
방송사들이 개그맨들을 포용해야 한다. 사실 1970~80년대 코미디가 한창 인기였을 때 각 방송사는 개그맨들을 소속시켜 끊임없이 그들에게 투자하고 양성했다. 또 개그 프로그램에 합류하지 못한 개그맨들은 코미디 이외에 다른 프로그램에서 일할 수 있는 기회도 주어져 경험을 쌓았고 나름의 수입도 얻을 수 있었다. 그러나 현재는 그렇지 못하다. 그래서 최근 계속 방송사들과 유기적인 협의를 하고 있다. 최소한 각 방송사에서 50여 명의 개그맨들을 보유하고 코미디를 할 수 있는 장을 만들어주어야 한다. 가요나 드라마 등은 해당 프로그램들이 넘쳐나 많은 인재들이 쏟아져 나오는 시스템이 구축돼 있다. 그러나 코미디 시장은 어떤가. 이제는 방송국이 나서야할 때다. 그래야 시답잖은 비호감 코미디가 아닌 감동을 전하는 코미디를 할 수 있다.



강은영 기자 kiss@hk.co.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