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도시농업] 연희문학창작촌서 예술인텃밭 일구는 안현미 시인애정 쏟은 작물 자라는 걸 보는 즐거움… 외로운 현대인에 꼭 필요

하늘로 손바닥을 벌린 듯한 상추, 가장자리가 파마한 것처럼 돌돌 말린 치커리, 조숙한 소녀처럼 작지만 단정한 딸기꽃…. 연희문학창작촌 마당 한쪽에 작물들이 오종종히 심겼다. 봄바람에 흔들리는 어린잎들이 예쁘디예쁘다. 넓지는 않지만 사랑스러운 이 공간은 예술인텃밭. 연희문학창작촌의 숨은 명소다.

"올해에는 작년에 심었다 잘 안 자란 가지와 호박, 오이를 빼고 내버려 두어도 잘 자라는 것들만 골랐어요.(웃음) 아, 여긴 백합을 심었어요."

연희문학창작촌의 살림꾼인 안현미 시인이 흙 틈으로 동그랗게 솟은 구근을 지나치지 못하고 쓰다듬는다. 언뜻 보면 떨어진 솔방울 같은데, 심은 사람 눈에는 벌써 활짝 핀 꽃인가 보다.

보기에만 예쁜 것은 아니다. 입주 작가들에게 먹을거리를 제공하는 엄연한 텃밭이다. 작년 박찬세 시인은 입주 작가들이 연희문학창작촌에 대한 단상을 '연희는 힥다'로 표현하는 '포토 아카이브'에서 "연희는 텃밭이다"라고 고백했다. 그만큼 텃밭 채소들을 쏠쏠히 이용한 모양이다. 물론 그 채소들을 거름 삼아 자신의 시를 길러냈을 테고.

예술인텃밭은 도시의 삶과 농사가 만난 풍경 중 하나다. 이렇게 소박한 만남으로도 이렇게 다양한 이야기가 태어난다는 것을 안현미 시인이 들려주었다.

작물을 선택하신 기준이 있나요?

햇볕이 잘 드는 땅은 아니어서 생명력이 강한 것들로 골랐어요. 상추는 뽑아 먹으면 그 자리에서 또 나고, 고추는 한 그루에도 많이 열리죠.(웃음) 그리고 저와 친한 것들이요.

많이 길러보신 작물이요?

네. 집 옥상에 스티로폼 상자, 페인트 통 등을 놓고 작물을 심었었거든요. 10여 년 전부터 했는데, 지금은 옥상이 없는 집으로 이사를 가서 못하고 있어요.

당시엔 어떻게 시작하셨는데요?

제가 강원도 출신이라 농사짓는 건 많이 보고 자랐어요. 농촌에 살고 싶지 않아서 서울에 왔는데 결국 옥상에나마 작물을 심게 되더라고요. 아마도 뭔가 기르고, 자라는 걸 보고, 에너지를 얻고 싶었던 것 같아요.

동물을 기를 수도 있었을 텐데요?

개도 길러 봤지만 돈도 많이 들고, 손도 많이 가고(웃음) 여행 갈 때는 누군가에게 맡겨야 하니까 제 생활과는 맞지 않더라고요.

기르셨던 작물 중 기억나는 것이 있으세요?

도라지요. 강원도 집 뒤란에서 꽃 핀 게 예뻐서 가져 왔는데 한 해를 넘기지 못했어요. 해바라기를 심은 적도 있었어요. 거제도에 사는 친구가 짚 앞마당에 있던 해바라기의 씨를 보내줬었거든요.

옥상 텃밭에 얽힌 추억도 있을 것 같은데요.

혼자 다 먹을 수 없을 만큼 상추가 많으면 사람들을 불러 고기를 구워 먹곤 했죠.(웃음)

앞으로 길러보고 싶은 작물은 뭔가요?

감자, 고구마, 옥수수요. 강원도에서 하도 많이 먹고 자라서 평소엔 시큰둥한데 감기 걸리면 먹고 싶더라고요.(웃음) 그 이유가 텃밭 가꾸는 이유와 비슷한 것 같아요. 서울이라는 도시에서 살면서 외롭거나 아플 때는 감자와 텃밭이 필요한 거죠. 일종의 예방주사라고나 할까요?(웃음)

예술인텃밭에서 인상 깊었던 순간이 있나요?

작년에 씨 뿌렸을 때 팻말을 안 세워서 어디에 배추가 있고, 어디에 상추가 있는지 몰랐어요. 올라오는 떡잎들을 보면서 이게 뭘까, 저건 뭘까 궁금해 했었죠. 비슷했던 떡잎들이 제 모습으로 자랄 때 신기했던 기억이 나요. 그리고 딸기와 고추, 토마토 등이 첫 열매를 맺었을 때요. 언제 익나, 언제 먹을 수 있나 하는 마음에 매일 들여다봤어요.(웃음)

원래 매일 들여다보면 더 더디게 익는 것 같잖아요.(웃음)

그러게요. 어릴 때 뒤란에 딸기 익는 것만 기다리다가 결국 안 익은 걸 따 먹고 할머니에게 혼났던 기억이 나네요.(웃음)

일상 속에서 작게나마 농사를 시도해보려는 분들에게 응원의 말씀을 해주세요.

농사는 사이버화된 현대사회에서 접촉이 결핍된 외로운 사람들에게 필요한 것 같아요. 애정을 쏟은 만큼 작물이 자라는 모습을 볼 수 있으니까요. 봄에는 싹이 돋고, 가을에는 열매가 열렸다가, 겨울에는 겨울잠을 자는 등 계절에 따른 텃밭의 변화도 자연의 순환을 느끼게 해줍니다.



박우진 기자 panorama@hk.co.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