지난해 3월 5일 서울광장에서 열린 3.8 여성의 날 여성대회 참석자들이 여성노동자의 노동, 생활, 인권과 평화의 내용을 담은 9개 결의안을 발표했다.
광주와 대구가 전국 16개 시ㆍ도 가운데 성평등지수 1위로 꼽혔다.

여성가족부가 한국여성정책연구원에 의뢰해 2010년 양성 평등 수준을 수치화한 결과 광주와 대구는 400점 만점에서 197.5점으로 공동 1위를 차지했고, 경남은 179.3점을 얻는 데 그쳐 최하위에 머물렀다.

여성가족부는 '2010년 우리나라 16개 시ㆍ도의 성평등 수준을 점수로 매긴다면 과연 몇 점일까?'라는 질문에 대한 답이 성평등지수라고 설명했다. 성평등 지수는 지역별 성평등 수준과 상황을 알기 쉽게 이해할 수 있도록 ▲여성의 대표성 제고 ▲여성의 경제 세력화 ▲여성의 삶의 질 제고 ▲소외여성 사회통합 등 4개 영역 17개 지표를 산출해서 합산한 결과다.

평균점수를 살펴보면 경제 세력화 부문이 61.0점으로 가장 높았고 삶의 질 제고(57.1점), 소외여성 사회통합(52.7점)이 뒤를 이었다. 그러나 17.0점에 그친 여성 대표성 부문은 성평등이 가장 낮은 영역이었다.

여성 대표성 부문은 광역ㆍ기초 자치단체장과 의원 성비, 5급 이상 공무원 성비로 구성됐다. 대표성 부문은 지역별 편차가 컸고 특별ㆍ광역시가 도 지역보다 높은 점수를 받았다. 서울이 1위를 차지했고, 대구, 울산, 광주가 2~4위를 차지했다.

경제 세력화 부문은 지역별 편차가 적었다. 고용률 성비, 임금 격차, 관리직과 전문직 성비를 조사한 결과 대구, 인천, 충남, 광주가 1~4위를 차지했다. 경제 세력화와 여성 대표성 부문에서 1위와 2위에 오른 대구는 종합 점수 197.5점을 기록해 광주와 함께 성평등 수준이 가장 높은 지역이었다.

삶의 질 제고 부문은 대체로 도 지역이 특별ㆍ광역시보다 높은 점수를 받았다. 전남이 1위를 차지했고 충남, 전북, 경남이 2~4위에 올랐다. 반면 광주(14위), 대구(12위), 서울(11위)은 하위권에 속했다. 농촌 지역이 많을수록 삶의 질 제고 부문 점수가 높았지만 도시 지역이 많을수록 삶의 질 제고 부문 점수가 낮은 경향이 눈에 띄었다. 삶의 질 제고 부문은 가사노동 시간 성비, 가족관계 만족도 성비, 육아휴직 사용 성비, 가정폭력 피해자 수 등으로 구성됐다.

소외여성 사회통합 부문 점수는 기초생활보장자 성비, 공적연금 가입자 성비, 노후준비자 성비, 한부모가구 가운데 저소득 가구 비율 성비 등을 종합했다. 제주도가 1위에 올랐고 광주, 강원, 충북이 2~4위를 차지했다.

여성가족부 이기순 여성정책국장은 "지역 성평등지수 측정은 각 지역별로 여성정책 중 어느 영역에 더 힘써야 하는지 정책과제를 제시하고 어떻게 개선되고 있는지 살펴볼 수 있다는 점에서 의미가 크다"고 말했다. 그러나 여성부는 광주, 대구, 서울, 인천이 상위권이라고 발표했지만 종합 점수를 공개하진 않았다. 게다가 민감한 정보가 알려지면 해당 지역이 반발할 수 있다는 이유로 지표별 수치도 밝히지 않았다.

시민단체와 여성 단체 등은 여성 문제를 적극적으로 알려야 할 여성가족부가 여론화에 소극적인 이유가 무엇이냐며 반발했다. 몇몇 지방자치단체는 성평등 지수가 공개되기 전에 단체장이 알고 싶어한다며 여성가족부에 결과를 알려달라고 요청한 것으로 알려졌다. 이에 부담을 느낀 여성가족부는 순위와 구체적인 수치를 공개하지 않았다.

한편 한국은 지난해 세계 각국 성평등 순위를 매긴 세계경제포럼(WEF) 연례 보고서에서 분석 대상 135개국 가운데 107위를 차지했다. 1인당 국민총소득(GNI)에선 41위였지만 성평등을 따지면 100위권으로 밀렸다.



이상준기자 jun@hk.co.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