까마귀 홀리는 매혹적인 꽃

[이유미의 우리풀 우리나무] 시로미
까마귀 홀리는 매혹적인 꽃

봄인 듯 하지만 아직은 겨울이 채 물러나지 않았다. 마음엔 연두빛 신록이 가득한데 계절이 아직 이를 따르지 못하여 더욱 쓸쓸하게 느껴지는 이즈음, 언제나 푸른 그런 나무가 좋다. 상록수라고 하면 소나무, 전나무 같은 크고 늠름한 나무들이 먼저 떠오르지만 한라산 자락엔 숱한 해를 넘기도록 한 뼘도 크지 못하면서 살고 있는 귀한 상록수가 있는데 바로 시로미이다.

시로미는 아주 특별한 식물이다. 시로미과에는 오직 시로미 한 종만이 포함된 1과 1속 1종으로 구성된 식물가계를 이루고 있다. 1911년 일본인 식물학자 나까이에 의해서 한라산에 보고되었으며, 그 후에 백두산이나 관모봉에 자라고 있다고 밝혀졌으니 우리나라로는 제일 남쪽과 제일 북쪽에만 있는 셈이다.

보통 키가 10cm 남짓하니 나무치고는 아주 작다. 작은 줄기에 1cm보다 작은 비늘잎들이 촘촘히 달리며 줄기가 옆으로 뻗으며 지면을, 혹은 바위를 덮는다. 시로미의 꽃은 이른 봄에 핀다. 워낙 일찍 피는데다가 워낙 작은 꽃이 달려서 식물에 여간한 관심이 없고서는 꽃을 보고서도 꽃인 줄 모르기도 한다. 겨울을 이겨낸 진초록색의 잎새와 그 끝에 달리는 짙은 빨간색의 꽃은 강렬하게 조화되어 무척 아름답다,

시로미의 열매는 가을에 익는다. 콩알보다도 더 작은 열매가 가지 사이에 동글 동글 맺히며 검게 익어 가는 모습이 무척 귀엽다. 한자로 시로미를 오리(烏李)라고 하는데 이는 까마귀의 오얏이라는 뜻이고, 영어 이름 역시 크로우베리(Crowberry) 즉 까마귀의 열매다. 본디 동서양은 정서가 달라 한 식물의 이름을 전혀 다르게 붙이는 경우가 많은데 우연히 마음이 통했는가 보다. 정말로 한라산에 가을이 오고 시로미가 익어 가면 암벽 틈에 까마귀가 모여 든다고도 한다. 서양에서도 시로미의 열매를 먹는데 열매로 잼을 만들기도 하지만 불로초라는 일부 사람들과의 생각과는 반대로 많이 먹으면 취해서 두통이 온다고 피하기도 한다.

시로미는 재배가 아주 어려운 식물로 알려져 있다. 워낙 독특한 고산환경에 살고 있는 나무이므로 함부로 손을 되면 법적인 제재를 받을 뿐 아니라 잘 살리지도 못하고 백발백중 죽이는 경우가 대부분이므로 절대 욕심내지 말자.

사람말고도 시로미에게 위협이 되는 존재들이 있다. 최근 창궐하여 여러 식물들을 덮어 자라는 제주조릿대 때문에 시로미의 개체수는 급격히 감소하고, 적정수용능력을 넘은 한라산의 노루가 겨울동안 먹을 것이 부족하니 파란 잎을 가진 시로미를 뜯어먹기도 한다. 한라산 생태계에서 노루와 시로미의 입장과 지위를 심각하게 생각해볼 일이다.

젊음과 생명이 영원하기를 바라는 마음이 워낙 대단한 만큼 어느 시대, 어느 곳에서든 불로초에 온갖 대한 이야기가 있는데, 아직까지 불로초를 구하여 영원히 살았다는 사람의 이야기는 듣지 못했다. 제주도 사람들은 이 시로미를 불로초라고 도 한다. 그렇지만 따지고 보면 시로미보다 좋은 약재는 얼마든지 많다. 괜한 욕심에 이 땅에 그리 많이 남아 있지 않은 시로미를 고생시키느니 이 소중한 식물이 편안히 자라도록 애쓰는 게 어떨까. 좋은 자연이 유지되도록 하는 것이 진정 다 함께 오랫동안 건강하게 사는 방법이 아닐까 싶다.

입력시간 : 2004-02-26 13:12


주간한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