돈·인기앞에 무너진 작품성획일적인 찍어내기식 제작, 음반시장 황폐화 부르는 주범

[문화 비평] 리메이크 앨범 유감
돈·인기앞에 무너진 작품성
획일적인 찍어내기식 제작, 음반시장 황폐화 부르는 주범


디지털 시대로 접어든 이래 창작자들에게 ‘태양 아래 새로운 것은 없다’라는 말처럼 실감나게 된 속담은 없을 것이다. 1990년대 이후 대중 음악 아티스트들이 가져야 했던 부담은 ‘숱한 자극에 노출된 대중을 만족시키는 방법’을 찾는 것이었다.

어떤 음악을 한다 해도 그것이 이미 기존에 존재하고 있는 것이라는 상황에서 이는 매우 어려운 일이 아닐 수 없었다. 결국 많은 이들이 택한 방법은 기존의 장르들과 그 특징적인 요소들의 융합과 해체, 그리고 재배치였다.

결코 새로운 것이라고는 할 수 없는 퓨전(fusion) 또는 크로스오버(crossover) 경향이 본격적 차원에서 시대의 흐름으로 자리하는 동안 다른 한쪽에서도 그에 필적할만한 움직임이 일고 있었는데, 그것은 다름 아닌 ‘리메이크(remake)’의 붐이다.

언제인가부터 과거의 히트곡을 다시 불러 새로이 차트에 올리는 경우가 눈에 띄게 늘어나기 시작했으며, 탁월한 음악성으로 대중음악의 역사에 굵은 업적을 남기거나 과소평가 되었던 아티스트들에게 바쳐지는 다양한 트리뷰트 앨범들이 쏟아져 나왔다.

이러한 경향은 잊혀진 옛 곡에 대한 새로운 해석이라든지 선배들에 대한 깊은 존경의 표시라는 긍정적인 측면으로 평가되기도 했지만, 뮤지션의 한계에 이른 창작력을 숨기기 위한 수단에 불과하다는 의견 또한 만만치 않았던 것이 사실이다. 대중적으로 그리 알려지지 않은 곡의 경우에는 전자의 평가가, 그리고 익히 알려진 곡의 경우는 후자의 평가가 지배적이었다고 할 수 있을 것이다.


기획자·가수에겐 매력적인 작업

본래 ‘오래된 영화를 다시 영화화하다’라는 의미로 쓰이기 시작한 ‘리메이크’는 사실 새로운 창작이라 할 수 있을 정도로 어려운 작업이다. 하지만 영화와는 달리 음악계에서 대체로 리메이크는 아티스트의 ‘외도’나 ‘과거에 대한 개인적인 향수(鄕愁)’ 또는 ‘장난기 어린 취미’ 정도로 여겨진다.

그래서 그것을 듣는 이 또한 어느 누가 누구의 노래를 리메이크 했다는 사실 자체에 호기심 어린 흥미만을 가질 뿐이다. 그도 그럴 것이 리메이크의 대상이 되는 곡들은 이미 ‘공인된 작품’들인 경우가 대부분이고, 아무리 잘 해봐야 오리지널을 능가하는 경우란 거의 없기 때문이다. 물론 그렇다고 모든 리메이크 음악을 이류나 B급으로 치부해버릴 순 없다.

오히려 머라이어 캐리(Mariah Carey)의 ‘Open Arms’에 익숙한 이들에게는 저니(Journey)의 원곡이 생소할 수도 있고 해리 닐슨(Harry Nilsson)의 ‘Without You’를 좋아하는 이들은 배드핑거(Badfinger)의 원곡을 촌스럽다고 할지도 모르며, 많은 사람들은 김광석의 ‘다시 부르기’ 앨범들에 담긴 여러 곡들을 들으며 깊은 감동을 느껴봤을 것이다.

음악적인 면에서 리메이크의 개념은 크게 두 가지로 나뉜다. 그 하나는 원곡이 가지는 독창성(originality)의 고수(固守)이고 다른 하나는 곡을 연주자의 취향에 맞게 완전히 개조하는 것이다. 어떤 이들은 원곡의 단순한 모방은 아무런 의미가 없으며 음악을 행하는 이 각자의 방식으로 재해석하는 것이 중요하다고 생각하며, 다른 이들은 리메이크의 대상 아티스트의 스타일과 색깔에 할 수 있는 한 가장 가까이 근접하는 것이 옳다고 주장한다.

어느 쪽이 절대적으로 맞는다고 할 수는 없지만, 중요한 사실 하나는 원작보다 뛰어난 리메이크를 만들기란 결코 쉬운 일이 아니라는 사실이다. 때문에 뮤지션의 대중적인 인지도만을 내세운 대다수의 리메이크 앨범들이 수준 이하의 결과물을 드러냈던 예는 어렵지 않게 찾아볼 수 있다.

이러한 분위기 속에서 우리나라의 음악계도 리메이크의 달콤한 유혹에 흠뻑 빠져들어 있는 상태다. 지난 2000년 ‘가시나무’가 수록된 조성모의 리메이크 앨범 ‘Classic’이 엄청난 성공을 거둔 이후 가요계의 리메이크 붐은 본격적으로 시작되었다.

대중의 귀에 친숙한 옛 히트곡들을 다시 부른다는 이 쉽고도 편리한 방법은 제작자들에게 있어서는, 다양한 음악 장르에 대한 기본 인프라가 갖춰지지 않은 우리나라의 음악 시장에서 더할 수 없이 달콤하고 매력적인 일이 아닐 수 없었다. 그들은 갈수록 복잡해지는 세상살이와 힘겨운 생활 속에서 ‘가슴속에 아련하게 자리하고 있는 지난 것에 대한 향수’에 이끌리던 사람들의 감성을 움켜쥐는 데 성공했다.

본격적인 리메이크 앨범들이 등장하기 시작했고, 여러 신곡들 가운데 한두 곡의 옛 노래들이 끼어 있는 패턴이 정규 앨범의 일반화된 양식처럼 자리하기 시작했다. 리메이크 앨범들은 대부분 음반사와의 계약을 채우기 위해서 또는 가수의 공백기를 메우는 징검다리의 역할을 위해 기획되는 상품들이다. 게다가 웬만하면 상업적인 성과 또한 보장해 주니 기획자나 가수에게 있어 리메이크 앨범은 톡톡히 효자 노릇을 하는 상품으로서 충분한 가치를 지니게 되었다.


음악적 완성도는 뒷전

이수영은 리메이크 앨범 Classic으로 30만장 이상의 판매고를 올렸다. / 홍기복 인턴기자
하지만 거의 모든 리메이크 작품들에서 진정성(뮤지션쉽)이나 음악적인 완성도는 늘 뒷전으로 밀려 있는 상태였다. 그럼에도 일부 뜻있는 이들의 우려를 비웃기라도 하듯 리메이크 앨범들의 판매고는 늘 차트의 상위를 차지해 왔다. 어느 때보다도 어려워진 올해, 국내의 음악 시장에서 몇몇 가수들의 숨통을 틔워줬던 작품들이 리메이크 앨범이었다는 사실은 씁쓸한 여운을 남겨 준다.

30만 장 이상의 판매고를 올리며 2004년 초반 음반 시장을 휩쓸었던 이수영의 ‘Classic’을 필두로 성시경의 ‘제주도의 푸른 밤’(11만 장), 김동욱의 ‘Memories In Heaven’(5만 장), 서영은의 ‘Romantic 1’(9만 장) 등의 리메이크 앨범들이 불황인 가요 시장에서 눈에 띄는 성과를 거둔 것이다. 뒤집어 보면, 올 한 해 동안 20만 장 이상 팔린 가요 앨범이 5~6장에 불과한 시장 상황에서 이러한 결과는 리메이크 앨범이 양산될 수밖에 없는 우리 음악 시장의 환경이 적나라하게 드러난다. 조만간 발매될 신화나 이승철의 리메이크 앨범이 지니는 의도 역시 이러한 경향의 연장선상에 위치한다고 볼 수 있다.

문제는 앞서 언급했듯 위 작품들의 음악성이다. 여기 거론된 앨범들 중 음악적으로 주목할 만한 결과물을 담은 작품은 아쉽게도 단 한 장도 없다. 이전에 조성모의 앨범이 그러했듯 위의 앨범들 역시 값싼 제작비로 어떠한 열정도 성의도 없이 그저 기계적으로 노래한 목소리, 평범하기 짝이 없는 연주와 조금이라도 튀지 않도록 애쓴 듯한 편곡 등 획일적인 ‘찍어내기’ 식의 음악들로 가득 차 있다. 극단적으로 표현하자면, 마치 ‘노래방 기계의 반주 맞춰 한 번 쭉 부른 듯한’ 노래를 담은 음반들이라 해도 과언이 아닌 것이다.


음악시장의 제살깍기 행태
유행도 좋고 상업성도 좋고 돈도 좋지만 그들이 음악인이고 대중들에게 알려진 ‘스타’라면 일말의 수치심이라도 가져야 한다. 더욱 안 된 사실은 이미 대중들이 음악을 가려들을 수 있는 능력을 잃어 버리게 되었다는 점이다. TV에 많이 나오거나 여기저기서 자주 들리거나 이미지 메이킹이 잘 된 가수라면 그의 앨범은 ‘좋은 음악’이 되어 버린다. “이수영의 ‘Classic’이 김광석의 ‘다시 부르기’만큼이나 좋은 리메이크 앨범”이라는 말이 자연스럽게 나오게 된 이 시장의 미래는 더욱 불안하기만 하다.

리메이크 앨범들이 보여 주는 현상은 한국의 음악 시장이 처한 총체적인 위기의 한 단면만을 보여줄 뿐이다. 코 앞의 이득을 위해 얄팍한 기획만을 일삼는 제작자와 변별력을 잃어버린 방송 매체, 그들의 번지르르한 환영(幻影)을 맹목적으로 좇는 대중, 그리고 어떠한 가치관도 가지고 있지 않은(차라리, ‘아무 생각 없는) 정부 관련 부서 등 4박자가 완벽하게 어우러진 우리나라의 음악 시장.

일체의 꿈과 희망을 상실한 채 하루 하루 황폐화되어 가고만 있을 뿐이다.

김경진 음악평론가


입력시간 : 2004-12-08 18:45


김경진 음악평론가 arzachel100@hanmail.ne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