실학 싹튼 강변엔 愛民의 애틋함이 흐르고…

남양주시 조안면 능내리 마현마을은 실학의 대가였던 다산(茶山) 정약용(丁若鏞, 1762~1836) 선생의 고향이다. 선생은 문장과 경학(經學)에 뛰어난 학자로서 그를 아끼던 정조가 세상을 떠나자 1801년(순조 1) 신유사옥 때 전라남도 강진으로 귀양 갔다. 다산은 그곳 다산 기슭에 있는 초당에서 머물며 유배에서 풀려날 때까지 18년간 학문에 몰두해 500여 권에 이르는 방대한 저술로 실학을 집대성했다.

생가 인근엔 기념관·문화관

정약용이 고안한 거중기
능내리 마현마을에 조성된 다산기념관엔 관리들이 백성들을 다스리는 도리를 설명한 <목민심서>를 비롯해 <흠흠신서>, <경세유표> 등 다산의 사상이 담긴 저서와 다산이 직접 그린 서화와 강진유배지의 다산초당 모형, 성을 축조할 때 무거운 물건을 들어 올리는 거중기 모형 등이 전시되어 있다. 그 옆의 다산문화관은 다산을 현대적 시각으로 재조명해보는 공간이다. 다산의 생가인 여유당은 1925년 을축년 대홍수 때 떠내려간 것을 1975년에 복원한 것이다. 여유당 뒤쪽 언덕엔 다산 선생과 부인 풍산 홍씨가 합장되어 있는 묘소가 있다.

다산은 1762년(영조 38) 음력 6월16일 한강의 두물머리(양수리)가 한눈에 보이는 마현마을에서 태어났다. 당시의 행정 구역은 광주군 초부방 마현리. 지금은 남양주시 조안면 능내리다. 능내리(陵內里)라는 지명은 서원부원군 한확(韓確)의 묘 안쪽에 있는 마을이라 그렇게 불린 것이고, 마현(馬峴)은 광주분원으로 넘어가는 길목에 있는 마을로서 말을 타고 넘어가는 일이 많았던 고개가 있어서라 한다.

다산의 기록에 자주 나타나는 마을 이름은 ‘소내(苕川)’고 다음은 ‘열상(洌上)’이다. 한강의 상류이자 마재 앞을 흐르는 강을 소내라고 불렸기에 그것으로 호를 쓴 것이다. 한편, ‘열상’이란 한강의 상류라는 의미인데, 고려 때는 한강을 큰 물줄기가 맑고 밝게 뻗어 내리는 긴 강이란 뜻으로 '열수(洌水)'라고 불렀던 데서 유래한다. 열초(洌樵)라는 또 다른 호는 ‘한강가에서 나무하는 사람’을 일컫는다.

마현마을 앞으로 펼쳐진 그 옛날 강변 풍광은 어땠을까. 다음에 소개하는 ‘환소천거’라는 다산의 시는 18세(1779) 때인 어느 봄날, 화순의 부친 임소에서 고향으로 돌아와 지은 것이다.

서둘러서 고향 마을 도착해보니
문 앞에는 봄 강물이 흐르는구나.
기쁜 듯 약초밭둑에 서고 보니
예전처럼 고깃배가 보이는구나.
꽃이 만발한 숲 사이 초당은 고요하고
소나무 가지 드리운 들길이 그윽하네.
남쪽 천리 밖에서 노닐었지만
어디 간들 이 좋은 언덕 얻을 거냐.

이 시를 보면 다산은 한강이 내려다보이는 강촌인 소내마을을 가슴 깊이 사랑했음을 알 수 있다. 다산은 75년의 일생 중 10여 년의 벼슬살이, 18년의 귀양살이를 제외하고는 50년 가까운 세월을 이곳에 머물렀다.

스스로를 경계하기 위해 지은 당호

여유당(與猶堂)은 다산의 당호다. '더불다'는 뜻의 여(與)와 ‘오히려’라는 뜻으로 많이 쓰이는 유(猶)를 당호로 삼은 까닭은 무엇일까. 이는 다산의 회고록이라 할 수 있는 자찬묘지명(自撰墓誌銘)이나 여유당기(與猶堂記)에 자세히 나와 있다.

여유(與猶)란 말은 노자 도덕경의 ‘여혜약동섭천 유혜약외사린’(與兮若冬涉川 猶兮若畏四隣)에서 따온 것으로서 ‘겨울의 냇물을 건너듯 사방이 두려운 듯, 참으로 부득이한 경우가 아니면 경거망동하지 말라’는 뜻에서 지었다. 여(與)는 의심이 많은 동물, 유(猶)는 겁이 많은 원숭이를 가리키기도 한다. 조선 후기에 역사의 서광이던 실학을 집대성한 대학자가 될 수 있었던 데에는 이렇듯 끝없이 자신을 경계했기 때문이었을 것이다.

다산 묘소에 참배하고 내려와 밤나무 숲을 지나 한적한 호숫가로 나간다. 호숫가 겨울바람에 몸을 뒤척인다. 이 호숫가는 수많은 어려움을 이겨내고 위대한 학문적 성과를 이뤄낸 다산을 만나러 온 이들에게 자연이 덤으로 선사하는 선물이다. 하지만 저 물속에는 다산이 배를 타고 고기 잡아 술잔을 들고 시를 읊던 아름다운 강변이 잠겨 있으리라.

다산유적지 관람시간은 오전 9시부터 오후 6시까지. 공휴일과 토·일요일에는 1시간 연장한다. 관람 종료 1시간 전에 입장하여야 한다. 매주 월요일 휴관이며 주차료와 입장료는 없다. 다산유적지 관리사무소 (031) 590-2481.

다산의 사상과 학문에 대해 좀 더 자세히 알고 싶으면 다산 연구가 박석무 선생이 이사장으로 있는 다산연구소 홈페이지(www.edasan.org)를 참조하면 된다.

▲ 여행정보

숙식 마현마을의 장어구이와 민물고기를 차리는 황토마당집(031-576-8087)을 비롯해 감나무집(031-576-8263), 옛나루터집(031-576-8063) 등 식당이 여럿 있다. 이외에도 한강을 끼고 가는 옛 6번 국도변, 북한강을 끼고 가는 45번 국도변에는 분위기 좋은 카페, 식당, 숙박업소 등이 많다.

교통 △서울→ 6번 국도(양평 방면)→ 정약용유적지

팔당대교를 지나 다산 정약용 유적지 표지를 보고 우회전하면 된다. 능내리 유적지 입구에서 철도 굴다리를 지나자마자 우회전해 들어가는데, 이 부근이 위험하므로 조심해야 한다.


주간한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