강판권 지음/ 글항아리 발행/ 1만8,000원

이 책은 나무에 관한 내용을 다뤘으되 제목만으로 내쳐 짐작되듯 식물학자가 썼을 법한 자연과학 서적이 아니다. 오히려 역사를 전공한 현직 대학교수의 저작인 까닭에 적이 생뚱맞게 느껴지기도 한다.

역사학자와 나무, 도대체 어떤 고리로 연결됐을까. 저자의 인생 역정을 살펴보면 고개가 끄덕여진다. 저자는 경남 창녕 화왕산 기슭에서 농군의 아들로 태어나 학창시절 내내 농사를 거들며 산 천생 촌사람이다. 대학에서 중국사를 전공한 그는 자신의 학문적 과업에서도 농사일에 대한 타고난 숙명을 떼놓지 못했다. 박사학위도 중국의 농업경제사 연구로 땄다.

농촌적 삶 속에서 일상적으로 맞닥뜨리는 건 자연이다. 그 중에서도 변화무쌍한 사계절과 긴 세월을 초연하게 견뎌내는 나무는 자연의 이치와 섭리를 깨우치는 유력한 매개체가 된다. 때문에 저자가 나무에 대해 깊이 천착해온 것은 나무를 하며 성장기를 보낸 학자로서 아주 별난 일은 아닐 듯 싶다. 벌써 나무와 관련된 저술을 세 권이나 펴낸 바 있다.

저자는 스스로를 ‘모든 것을 나무로 생각하는 환자’, ‘나무 병에 걸린 환자’로 소개한다. 그런 그가 이번 작품에서는 나무로 한자(漢字)를 공부하고, 역사와 고전 등 인문학적 지식을 섭렵하며, 궁극에 가서는 나무 그 자체의 근본을 깨닫는 방법을 제안하고 있다. 참으로 색다른 나무 책이 빛을 볼 수 있었던 건 저자가 정말 나무 환자였기에 가능했던 게 분명하다.

이 책에서 저자가 나무의 메시지를 전달하는 방식은 독특한 점이 많다. 자작나무에 대한 이야기를 풀어놓은 대목(p164~169)을 예로 들어보자.

자작나무를 뜻하는 한자는 화(樺)다. 나무 목(木)과 꽃 화(華ㆍ주된 뜻은 빛날 화)자가 합쳐진 형상문자다. 북쪽 지방에 주로 사는 자작나무는 흰 껍질에 드문드문 검은 반점까지 드러내 아름다움과는 거리가 먼 용모다.

그런데도 옛 중국인들이 꽃이라는 뜻을 담아 이 나무의 이름을 지은 이유가 뭘까. 저자는 그 까닭을 자작나무의 용도에서 찾는다. 자작나무는 겉은 희지만 속은 검다. 그 검은 알맹이는 기름을 잔뜩 머금고 있다. 당연히 오랜 옛날부터 자작나무는 연료용으로 널리 활용됐다.

저자는 자작나무가 활활 탈 때의 불꽃이 불이 귀했던 옛 사람들에게는 꽃만큼이나 아름답지 않았을까 하며 글자의 뜻풀이를 내놓는다. 흔히 남녀간의 혼례를 ‘화촉(華燭)을 밝힌다’고 하는데 이 역시 애초 자작나무로 붉을 밝힌다는 뜻의 화촉(樺燭)에서 비롯된 표현이라는 게 저자의 해석이다.

책에서는 나무에 깃들인 역사와 문학, 설화의 향기도 은은하게 배어나와 읽는 재미를 한층 더한다. 가령 자작나무는 ‘산골집은 대들보도 기둥도 문살도 자작나무다/ 밤이면 캥캥 여우가 우는 산도 자작나무다/ 그 맛있는 메밀국수를 삶는 장작도 자작나무다(중략)/ 산 너머는 평안도 땅도 뵈인다는 이 산골은 온통 자작나무다’라는 평안도 정주 출신 시인 백석(1912~1995)의 시 <백화(白樺)>에 담겨 우리 정감을 자극한다.

이처럼 저자는 하나의 나무에 대해 그 글자의 뜻풀이, 특질, 쓰임새의 소개로부터 인간사와 얽혀 있는 서사(敍事)에 이르기까지 다채로운 방식으로 풀어내고 있다. 책에 소개된 나무는 자작나무 외에도 소나무, 버드나무, 뽕나무, 밤나무 등 우리가 잘 아는 나무로부터 조금은 낯선 회화나무, 팥배나무, 편백 등에 이르기까지 모두 40종이다.

저자는 중국사를 가르치는 교수로서 한자(한문) 때문에 고통받는 학생들에게 ‘약’으로 주기 위해 이 책을 쓰게 됐다고 밝힌다. 중국인들이 글자를 만들 때 가장 많이 본뜬 게 바로 식물이다. 따라서 저자는 한자의 기본 원리를 쉽게 익히는 데 나무만한 소재가 없다고 판단한 것이다.

하지만 책은 당초 목표였던 ‘효과적인 한자 교과서’에서 몇 걸음 더 나아가는 성취를 보여준다. 그것은 ‘나무로 읽는 문화사’라고 평해도 전혀 어색함이 없는 경지다.

<저작권자 ⓒ 한국아이닷컴,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


주간한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