오욕의 역사 간직한 천혜의 요새

최근에 나온 김훈의 소설 <남한산성>이 베스트셀러에 오르면서 경기도 광주의 남한산성은 또 다시 관심을 한 몸에 받고 있다. 세상을 살아가는 사람치고 사연 없는 사람 없듯이 이 땅에 사연 없는 유적도 드물다. 하지만 남한산성처럼 기구한 운명을 지닌 유적도 많지 않을 것이다. 가을빛이 완연한 계절, 단풍이 들기 시작한 남한산성을 거닐며 역사를 되새겨보자.

■ 병자호란 때 인조가 몸을 피했던 남한산성

조선시대에 한양을 지키는 4대 요새는 동쪽의 광주, 서쪽의 강화, 남쪽의 수원, 북쪽의 개성에 있었다. 이중 동쪽의 광주에 있는 남한산성은 한남정맥에서 갈라져 나온 ‘검단지맥’의 검단산 둘레에 쌓은 성이다. 산성의 둘레는 약 8km, 면적은 528,459.47㎡에 이른다.

남한산성 주변에는 백제 전기의 유적이 많이 있어 이곳은 예부터 백제 온조왕 때의 성으로도 알려져 왔다. ‘백제 온조왕 13년에 산성을 쌓고 남한산성이라 부른 것이 처음’이라는 기사가 <고려사> <세종실록 지리지> 등에 나온다.

전문가들은 673년(신라 문무왕 13) 한산주에 쌓았다는 주장성(晝長城, 일명 일장성)도 지금의 남한산성으로 추정하고 있다. 이후 조선시대에 들어와 선조와 광해군 때 몇 차례 개축을 했으나 남한산성이 지금처럼 틀이 잡힌 것은 인조 때 들어서다.

남한산성은 병자호란 때 인조가 피신했던 역사의 현장이다.

인조가 남한산성을 대대적으로 개수하게 된 까닭은 당시 국제적으로는 후금의 위협이 고조되는 상황이었고, 국내적으로는 그해 2월에 이괄의 난을 겪은 인조가 한성을 빼앗기고 충남 공주에 있는 공산성으로 피하는 수모를 겪었기 때문이다.

남한산성은 1624년(인조 2)부터 축성 공사가 시작되어 2년만인 1626년(인조 4)에 완공되었다. 당시 옹성 3개, 문 4개, 암문 16개를 만들었고, 성안에 우물 80개, 샘 45개를 조성했다. 또 유사시 임금이 거처할 행궁(行宮)이 73칸, 하궐(下闕)이 154칸이나 되었다.

축성한 지 10년만인 1636년(인조 14), 유사시를 대비해 수어사(守禦使) 이시백이 처음으로 1만2,700명을 동원하여 기동훈련을 실시하기도 했다.

그 해 12월 병자호란이 일어나자 인조는 남한산성으로 피했다. 원래 강화도로 건너가려 했으나 청군이 이미 김포에서 강화로 이어지는 길을 차단해 버린 뒤라 어쩔 수 없이 남한산성으로 들어갈 수밖에 없었다.

하지만 미처 아무런 준비도 못하고 들어왔던 남한산성의 상황은 처참했다. 인조 행렬을 뒤따라 얼어붙은 한강을 건너온 청군이 남한산성을 완전히 포위했고, 삼남으로 이어지는 모든 도로도 차단해버렸다.

혹독한 추위 속에서 군량이 점점 바닥을 드러냈다. 군사들은 모진 추위에 점점 사기를 잃어갔다. 고대하던 지원군은 오지 않았고 강화도마저 함락되자 결국 인조는 45일만인 1월30일 남한산성 서문을 열고나와 삼전도(三田渡)에서 청 태종에게 항복하고 말았다. 남한산성은 막대한 비용과 노력을 들여서 쌓은 성이었으나 안타깝게도 정작 필요할 때 제구실을 전혀 못했던 것이다.

서문 근처 성벽의 조망. 서울 송파 너머로 북한산도 한눈에 들어온다. (왼쪽) 남한산성을 쌓을 때 만들어진 4개의 장대 중 유일하게 남은 수어장대.(오른쪽)

병자호란 후 영조를 거쳐 순조 때에 이르기까지 성내의 시설 확장은 계속되었으나 1907년 일본군은 화약과 무기가 많다는 이유로 폐허를 만들었다.

현재는 왕의 임시 숙소로 쓰이던 행궁, 지휘관이 올라서서 군대를 지휘하던 수어장대, 백제의 시조 온조왕을 모시는 숭렬전, 남한산성을 쌓을 때 공을 세운 이회를 기리는 청량당, 남한산성을 지키는 군사들이 무술을 연마하던 연무관 등이 복원되어 있다.

또 병자호란 때 끝까지 항전을 주장하다 청나라에 끌려가 목숨을 잃은 윤집·홍익한·오달제 3학사, 그리고 역시 항전을 주장하던 김상헌, 정온을 함께 모신 현절사도 남아 있다.

■ 역사 흔적 짚으며 성곽 따라 걷는 산책길

남한산성 성벽은 능선과 계곡을 따라 자연스런 흐름으로 병풍을 치듯 부드럽게 굴곡이 져있다. 길은 성벽을 따라 널찍하게 나있고, 작은 오솔길들도 거미줄처럼 얽혀있어 목적에 따라 다양하게 코스를 잡을 수 있다.

가장 일반적인 코스는 성곽의 큰길을 따르는 산성로터리의 산성종로~(0.4km)~북문~(1.1km)~서문~(0.6km)~수어장대~(0.3km)~영춘정~(0.7km)~남문~( 0.7km)~산성종로 회귀 코스로 총 1시간 정도 걸린다.

하지만 이는 운동만 할 요량으로 계속 걷기만 했을 경우다. 문화유산이 많은 산성 길을 거닐면서 이곳저곳 꼼꼼히 살펴보려면 보통 2~3시간 정도 잡는 게 좋다. 길은 유치원생들도 혼자서 걸을 수 있을 만큼 무난하다.

남문 수문장들의 임무교대 장면.

또 남한산성을 온전히 한 바퀴 도는 관리사무소~(0.6km)~동문~(1.1km)~동장대터~(1.6km)~북문~(1.1km)~서문~(0.6km)~수어장대~(0.3km)~영춘정~(0.7km)~남문~(1.7km)~동문 코스는 총 7.7km로 걷는 데만 2시간이 걸린다. 역시 문화유산을 둘러보려면 3~4시간 정도 잡는 게 좋다. 입장료는 없고, 주차료는 승용차 1,000원. 관리사무소 전화 031-743-6610

■ 교통

잠실→복정 사거리→약진로→남문→산성

로터리 / 경부고속도로 양재 나들목→헌인릉 앞→세곡동→복정사거리→약진로→남문→산성 로터리 / 중부고속도로 경안 나들목→43번 국도→광지원→동문→산성 로터리

■ 숙식

남한산성 안팎으로 식당이 아주 많다. 밀원별장(031-743-6613), 용마루(031-762-2025), 청와정(031-743-6557), 석산정(031-764-1810), 태전(031-743-6613), 백제장(031-768-7777~9), 한마당식당(031-743-6602), 남문관(031-743-6560), 산성오복식당(031-767-7355~8)은 닭·오리요리, 상아궁(031-744-0607)은 한식을 차린다. 산성 주변에 모텔급 숙박시설도 많다.

<저작권자 ⓒ 한국아이닷컴,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


글·사진=민병준 여행작가 sanmin@empal.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