아아! 으악새가 슬피우는 계절이 돌아왔다.

여름이 다사다난 할수록 가을 바람은 뼈속까지 상큼해 질만큼 차갑고, 그 찬 바람은 불어 내리는 하늘은 푸르디 푸르다. 그런데 이 가을에 우리풀 이야기를 해야 하는데 무슨 ‘으악새’가 우느냐고 반문할지 모르겠으나 그 새는 바로 억새이다.

가을의 들녁에서 혹은 산정에서 무리지어 자리 잡고서는 튼실한 대를 키우고 꽃을 피워내기 시작하여 온 산에 단풍이 들고 낙엽이 지고 겨울의 문턱에 다다를 때까지 그 허연 머리채를 바람따라 이리저리 흩날이며 그렇게 서있는 가을의 식물, 억새.

흔히 사람들은 억새꽃이 한창 피어 있다고들 한다. 그러나 우리가 바라보는 수염처럼 허연 억새의 꽃은 정확이 말하면 바람따라 날려 보낼 종자에 털을 가득 매어 단 열매이다. 억새는 여름이 갈 무렵 꽃대을 내보낸다.

가지 겨드랑이 사이로 붓처럼 뾰족하고 동그랗게 말린 꽃들이 삐죽이 고개를 내밀기 시작해서는 햇살이 좋은 어느 가을 날, 술처럼 퍼진다. 이 술은 꽃잎도 없는 억새의 꽃들이 암술과 노란 꽃밥을 매어달고 피워낸 꽃차례이다.

이때까지 억새의 색깔은 자주빛과 갈색과 금빛이 어울어진 조금은 진한 빛깔이다. 사람들은 이렇게 한창 꽃을 피운 이때의 억새를 보고 아직 꽃이 덜 피었으니 두고 보라고들 말하 며 꽃이 지고 결실이 되면 비로서 억새의 꽃이 피었다고들 하는 것이다.

가을이 한창일때 억새는 꽃을 아니 열매를 한껏 부풀려 낸다. 다채로운 가을꽃들과 화려한 단풍빛에 눌려 그럭저럭 지내오던 억새는 단풍마져 저버린 늦가을 홀로남아 이 땅의 산과 들을 억새 천국으로 만든다.

가을 산을 바라 보며 혹은 낙엽을 밟으며 산을 오르다 문득 산마루에 올라서면 가을의 그 상큼한 산바람에 이리저리 굽이치는 은백색의 억새 물결, 키를 넘어 서는 억새밭은 헤쳐 지나노라면 속새의 시름을 잊기 마련이다.

억새는 벼과에 속하는 여러해 살이 풀이다. 다 자라면 사람의 키를 훨씬 넘기도 한다. 줄기를 옆으로 뻗으면 퍼져 나가는 억새는 잎의 나비가 손톱길이만큼이고 녹색을 띄나 가운데에 하얀 줄이 나있고 가장자리에 작고 단단한 톱니때문에 자칫 손을 베일 염려도 있다.

보통 벼과 식물가운데 기름쌔, 쌀새, 솔새 처럼 새라는 이름을 가진 식물이 많은데 아마도 억새는 그 날카로운 가시와 튼실한 줄기로 억센 새 즉 억새가 되었나 보다.

지금껏 많은 사람들이 억새를 일컫어 갈대라고 불렀다. 그러나 억새와 갈대는 별개의 식물이다. 억새가 산과 들에 많은 것에 비하여 갈대는 물이 있는 곳에 많이 자란다.

꽃도 억새가 술처럼 밑에서 여러갈래로 갈라지는 반면 갈대는 가지가 위로 올라 가면서 여러번 갈리고 다 익고난 후에도 갈대는 억새처럼 은백색이 아닌 갈색이 돈다. 우리가 흔이 갈대숲이라고 하는 것은 대부분 억새숲이지만 낙동강 하구의 을숙도 주변, 많은 물새들이 둥지를 마련하는 그곳에 자라는 것은 갈대 숲이다.

억새의 물결도 단풍소식처럼 북쪽에서 시작하여 남쪽으로 간다고 한다. 명성산, 취서산, 화왕산, 신불산, 제주의 일출봉이나 산굼부리… 이곳 저곳 억새구경이 한창이다.

하지만 거창한 산행계획을 마련하지 못했더라도 낙심할 필요는 없다. 도심을 조금만 벚어나도 억새는 이 땅에 지천이고 또 그 생명력 또한 왕성하므로 억새다발 한아름 꺾어다가 투박한 옹기에 가득 꽂아 두면 한동안 넉넉한 가을이 가슴에 남아 있을 터이니.

<저작권자 ⓒ 한국아이닷컴,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


이유미 국립수목원 연구관 ymlee99@foa.go.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