계륵이 된 대우건설…내우외환에 속앓이

매각 작업 서두르는 산업은행…김선동 “1조원 손실 불가피”

‘최순실’ 추천 사장 떠나자 채권단 출신 사장이 꿰차

산재 사망·보험금 지급 1위 불명예…현장 관리 소홀 비판도

대우건설이 새 주인을 찾아 나섰다. 지난 13일, 최대주주인 산업은행은 대우건설의 매각공고를 내고 다음 달 13일까지 예비입찰제안서를 받는다고 밝혔다.

하지만 대우건설 매각을 놓고 국회에서 헐값 매각이라는 비판이 나왔다. 최근 진행된 국정감사에서 더불어민주당 전해철 의원 및 자유한국당 김선동 의원 등 여야를 가리지 않고 1조 원대의 손실이 불가피하다고 지적하고 나선 것이다. 이밖에 사장직 낙하산 논란과 함께 산재 사망자 건설사 1위 등 내부 문제에 대한 지적 역시 끊임없이 나오는 상황이다.

각종 악재 속에서도 대우건설은 올 상반기 매출 5조7653억 원, 영업이익은 사상 최대치인 4780억 원을 기록했다. 3분기에도 2조8000억 원대의 매출과 2300억 원대의 영업이익이 예상되는 상황이다. 빠르게 시장 신뢰를 회복하고 있는 대우건설 매각은 순조롭게 이뤄질 수 있을까.

한국당 김선동 “대우건설 매각, 1조 원대 손실 불가피”

지난 13일, 산은은 대우건설 매각공고를 내고 산업은행이 보유하고 있는 지분 50.75%를 공개경쟁입찰 방식으로 전량 매각하겠다고 밝혔다. 앞서 산은은 사모펀드를 조성해 2010년 1주당 1만1123원에 1조원, 2011년 1주당 1만8000원에 2조1785억 원 등 총 3조1785억 원을 투입해 2억 1093만 1209주의 지분을 취득했다. 주당 평균 취득가액은 약 1만5000원선이다.

자유한국당 김선동 의원은 지난 23일 국감 자료를 통해 “산업은행의 대우건설 지분 매각을 시뮬레이션한 결과 1조원대 손실은 불가피하다”고 지적했다.

김 의원은 “매각 주가를 기준으로 시뮬레이션을 해 본 결과, 경영권 프리미엄 25%를 붙여도 1주당 7000원으로 매각하면 1조3323억 원의 손실이 예상된다”고 주장했다. 이어 김 의원은 “1주당 8000원으로 매각이 성사된다고 해도 1조685억 원의 손실이 날 것으로 예상되고, 산은이 희망하는 1만2000원에 매각돼야 1448억 원의 수익이 나는 구조”라고 분석했다.

김 의원은 그러면서 “대우건설 주가는 최근 3개월간 최저 6760원, 최고 8320원 등 7000원대에서 등락을 거듭하고 있다”며 “주가흐름으로는 투자 당시 주가 1만5000원에는 근처에도 못 가고 있고, 산은이 희망하는 1만2000원도 말 그대로 희망사항으로 남을 가능성이 크다”고 지적했다. 1조 원대 매각 손실은 불가피하다는 주장이다.

산은은 “적절한 인수자가 나타나면 장부 가격과 상관없이 시장 가격에 매각할 것”이라며 강한 의지를 보였다. 업계 관계자는 “대우건설의 실적이 향상됐지만 산은 측도 주가 반등 가능성에 대해 낮게 보고 있다는 의미”라며 “투자금 회수보다 신속한 매각이 더 나은 선택이라고 판단하고 있는 것으로 보인다”고 밝혔다.

현재 인수 후보군으로는 국내외 업체 8~9곳이 거론된다. 국내에서는 부영, 호반 등 중견 건설사들이, 해외에서는 사우디아라비아 국영 석유회사인 아람코와 중국 국영 건설사인 중국건축공정총공사, 말레이시아 국영 에너지기업인 페트로나스 등이 유력 후보로 꼽힌다.

하지만 2조~3조 원 가량의 통 큰 베팅이 할 매수자가 나타날지는 미지수다. 국내 주택 부문 비중이 높은 대우건설의 상황도 해외 업체들이 결정을 주저하는 이유 중 하나다. 대우건설 전체 매출에서 해외 비중은 2012년 42%에서 지난해에는 30.5%까지 떨어진 상태다.

매각이 무산된다면 산은이 지분 분할 매각 등을 시도할 것이라는 관측도 나온다. 총 50.75% 지분 중 경영권 지분(33.34%)을 먼저 매각하고 나머지는 시장 상황을 지켜본 후에 매각하는 방식이다. 또 33.34% 지분 전량을 한 번에 매각하지 않고 일부 지분만 먼저 파는 방안도 거론되고 있다.

대우건설 사장 자리는 낙하산 창구?

헐값 매각 논란과 함께 사장 낙하산 의혹도 지속적으로 제기되고 있는 문제다. 송문선 사장은 산업은행 부행장 출신으로 지난 1월 대우건설 부사장에 취임했다. 이후 지난 8월 박창민 전 사장이 중도 사퇴하자 대표 이사에 올랐다.

당시 채권단으로 참여하고 있는 산업은행 출신이 대우건설로 자리를 옮기는 것에 대한 비판이 제기됐다. 앞서 작년 10월 산업은행은 혁신방안을 발표하면서 ‘산업은행이 채권단으로 참여하는 구조조정 기업에 임직원을 재취업시키는 것을 전면 금지하겠다’고 선언했다. 작년 9월에 퇴직해 올 1월에 재취업한 송 사장은 이에 저촉되지 않았다. 대우건설이 구조조정 기업이 아닌 정상기업이라는 이유에서였다.

국회 정무위원회 민주당 이학영 의원은 지난 23일 “산업은행의 퇴직 임직원 재취업 문제는 국감에서 끊임없이 지적되고 있음에도 개선이 이뤄지지 않고 있다”며 “최순실 낙하산 의혹으로 문제의 심각성이 더해진 만큼, 다시 한 번 재취업 규정을 점검해야 한다”고 말했다.

앞서 지난 8월 사퇴한 박창민 전 사장은 ‘최순실 낙하산’ 논란에 휩싸인 바 있다. 박 전 사장 선임에 최순실 씨의 개입 정황이 드러났기 때문이다. 특검팀은 이상화 전 KEB하나은행 본부장의 휴대전화에서 지난해 7월 최 씨와 오고 간 문자메시지를 통해 이 전 본부장이 박 전 사장을 대우건설 사장에 추천한 것으로 봤다. 실제로 문자가 오간 뒤 한 달여 뒤인 지난해 8월 박 전 사장은 대우건설 사장에 취임했다. 이후 지속적으로 최순실 씨와의 연관성이 부각되자 박 전 사장은 취임 1년 만에 회사를 떠났다.

현장관리 소홀 도마에…산재 건수·보험급여 지급 1위

대우건설의 현장 부실관리도 도마에 올랐다. 국회 환경노동위원회 민주당 송옥주 의원이 고용노동부로부터 제출받은 자료에 따르면, 지난 3년간 대우건설 건설현장에서는 사망 20명, 재해 345명 등 국내 건설사 가운데 가장 많은 산재가 발생했다. 뒤이어 2위 현대건설(사망 13명, 재해 267명), 3위 SK건설(사망 11명, 재해 230명) 4위 GS건설(사망 9명, 재해 470명), 5위 롯데건설(사망 9명, 재해 155명) 순이다.

산재보험 급여도 대우건설이 가장 많이 지급했다. 산재보험급여가 많이 지급됐다는 것은 업무상의 이유로 사망 또는 부상이나 질병 등의 재해를 입어서 각종 급여(보험금)지출이 늘었다는 것을 뜻한다.

송 의원에 따르면, 대우건설은 2014년 약 67억 원, 2015년 약 39억 원, 2016년 약 27억 원 등 최근 3년간 총 약 133억 원의 산재보험급여를 지출한 것으로 드러났다. 이어서 GS건설(110억 원), 현대건설(106억 원), 삼성물산(100억 원), SK건설(92억 원), 포스코건설(80억 원), 롯데건설(49억 원)이 뒤를 이었다.

송 의원은 “산재 발생이 높은 사업장에서 사망근로자의 발생비율도 높은 편으로 확인된다”며“현장관리 소홀로 안타깝게 목숨을 잃는 건설근로자가 없어야 한다”고 말했다.

허인회 기자



주간한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