일본의 한국 수출규제로 소재 산업 중요성이 다시 부각되고 있다. 묵묵히 소재 산업에 집중해온 효성이 재계 다크호스로 급부상하고 있다. 일본 의존도가 상대적으로 낮은 기업인 효성의 비결은 끊임없는'기술'개발에 있다. 기술개발 성패는 경영진의 추진력과 지원에 달려있는 만큼 효성은 창업주 조홍제 회장에서부터 조석래 명예회장, 조현준 회장에 이르기까지 3대에 걸쳐 원천기술 확보에 대한 집념을 갖고 기술경영을 이어왔다.

조홍제 회장은 1971년 국내 기업 최초로 부설연구소인 효성기술원을 설립했다. 조 회장은 "몸에 지닌 작은 기술이 천만금의 재산보다 낫다"며 향후 신기술 도입과 공장증설에 제약을 받지 않으려면 독자기술로 공장과 설비를 설계·제작할 수 있어야 한다고 생각했다.

이어 조석래 회장은 선대 회장을 뜻을 이어받아 기술에 대한 투자 지원을 이어갔다. 조석래 회장은 화섬섬유 분야 연구개발 중심의 효성기술원에 1978년 중공업 연구소, 1983년 전자연구소, 1986년 강선연구소를 추가로 설립해 연구분야를 전문화시켰다.또 조 회장은 효성을 스판덱스, 타이어코드 등 글로벌 No.1 제품과 탄소섬유, TAC필름 등 독자적 기술을 바탕으로 개발한 제품을 다수 보유한 기업으로 만들었다.

조현준 회장 역시 취임사를 통해 "기술이 자부심인 회사를 만들겠다" 고 밝히며 지난 7월 생산기술센터를 설립했다. 생산기술센터는 섬유, 첨단소재, 화학 부문의 핵심 공정과 설비기술 운영을 총괄하는 조직이다. 주요 공장과 효성기술원의 핵심 기술인력이 협업을 통해 신규 공정을 자체적으로 설계하고 기존 생산 공정도 개선시켜 기술 고도화를 이루기 위한 조직이다.

이종혜 기자



주간한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