미국 워싱턴 D.C.에 있는 연방준비제도 청사( 사진=연합뉴스 )
[주간한국 박병우 기자] 미국의 인플레이션에 대해 아직 불안감을 느낄 수준은 아니라고 빌 더들리 전 뉴욕 연방준비은행(연은) 총재가 평가했다. 그러나 연방준비제도(Fed,연준)의 뒷북 대응 위험을 배제할 수 없다고 지적했다.

더들리 전 총재는 최근 블룸버그 칼럼에서 연준의 우선 지표인 근원개인소비지출(PCE) 가격의 4월 상승률이 전년대비 3.1%를 기록하며 장기 목표치 2%를 크게 웃돌며 불안감을 낳고 있다고 진단했다. 근원PCE는 PCE 가격지수에서 변동성이 큰 식품·에너지를 제외한 물가 지표이다.

연준은 지난해 낮았던 기준치에 따른 기저효과의 일시적 상승탓으로 평가하는 것 같다고 더들리는 분석했다. 또한 수요는 회복되는데 가전·자동차의 물류 차질에 따른 공급 제한도 작용한 것으로 풀이했다.

더들리는 지속적 물가 상승으로 연결되려면 △ 기업의 대규모 채용 △ 생산성을 상회하는 임금 인상 △ 소비자의 기대인플레이션 상승 등이 출현해야 한다고 지적했다. 기대인플레이션은 경제 주체들이 예상하는 미래의 물가 상승률로, 국채수익률에서 동일 만기 물가연동국채 수익률을 빼 산출한다.

이와 관련 신규 고용시장은 지난해 2월의 정점을 여전히 밑돌고 있으며 1분기 고용원가지수도 전년대비 3% 상승에 그치고 있다고 설명했다. 아직까지는 걱정할 수준의 임금인상이 아닌 것으로 평가했다.

더들리는 또 “2026년 중반부터 향후 5년의 기대인플레이션이 2%선으로 연준의 물가 목표치(2%)를 벗어나지 않고 있다”고 지적했다. 이는 공급 관련 병목 현상 등이 해결되면 내년이후 물가 상승률이 진정될 것임을 시사하는 것으로 볼 수 있다.

그러나 조 바이든 행정부의 인프라 투자 법안 등 확장적 재정 정책이 입법화되면 완화적 통화정책과 맞물려 물가 불안 요소로 작용할 수 있다고 평가했다. 또한 높은 수준의 가계 저축은 언제든 소비로 풀리면서 물가를 자극할 수 있다.

이에 따라 연준 스스로 밝힌 정책대로 통화정책을 끌고 갈 경우 자칫 경기과열에 뒷북 대응하는 실수를 저지를 수 있다고 우려했다. 아직까지는 인플레이션 불안감이 크지 않지만 위험은 높은 수준에 머물러 있다고 더들리는 진단했다.



박병우 기자 pbw@hankooki.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