미국 연방준비제도(Fed) 청사( 사진=연합뉴스 )
[주간한국 박병우 기자] 세계 경제 대통령으로, 또는 거장을 의미하는 ‘마에스트로’로 대접받는 제롬 파월 미국 연방준비제도(Fed,연준)의 첫 번째 임기가 끝나간다. 월가는 내년 2월에 그의 임기가 끝나는 만큼 서서히 후임자를 놓고 다양한 추측이 오가고 있다.

그에 앞서 은행 규제 담당인 랜들 퀼스 연준 부의장의 임기도 오는 10월에 끝난다. 리처드 클라리다 부의장은 내년 1월에 임기를 마친다. 따라서 연준 이사진 7명중 공석 1명을 포함하면 의장을 제외한 세 자리가 인사 사정권에 들어와 있다. 파월 의장까지 포함하면 연준의 '레짐 체인지’가 나타날 수 있다.

시장의 관심은 통화정책의 변화 여부에 초점이 맞춰져 있다.

이에 대해, 중앙은행 분석가들은 “민주주의 성지인 미국도 중앙은행의 완전한 정치적 독립이 이뤄지지 않았다”고 판단하고 있다. 조 바이든 대통령의 의중에 연준 이사진 3자리의 색깔이 달려 있는 것이다.

바이든 대통령과 도날드 트럼트 전 대통령은 연준에 대한 출발선이 달랐다. 경기사이클 초반에 취임한 바이든은 연준의 유연평균목표제라는 초완화정책를 누리고 있다. 반면 경기사이클 중반에 취임한 트럼프는 연준의 금리 인상을 놓고 계속 투덜거렸다.

시장에서는 바이든 대통령이 장기간 저금리를 지속시키기 위해 파월 의장을 교체할 가능성에 대해 주목하고 있다.

반면 파월 의장이 초완화정책을 흔들림 없이 끌고갈 것이라는 신뢰를 준다면 그의 임기는 연장될 것으로 시장에서는 판단하고 있다. 그렇지 않다면 바이든 대통령은 더 완화적인 정책을 펼칠 새로운 연준 의장을 구할 것이다.

중앙은행 분석가들은 투자자들이 완화적 정책에 승부수를 던져야 할 3가지 근거를 제시하고 있다.

먼저 연준은 스스로 밝힌 것처럼 물가 과열을 용인하는 정책 구도를 유지할 것으로 예상했다. 두 번째, 파월 의장의 임기 욕심이 초완화정책을 흐뜨러트리지 않을 것으로 추정했다. 마지막으로 바이든 대통령이 파월을 교체한다면 더 열렬한 완화정책 옹호론자를 앉힐 가능성이 높다는 점을 지적했다. 어느 경우든 당분간 증시에 나쁠게 없다는 것이다.



박병우기자 pbw@hankooki.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