역사의 진실을 밝히는 반딧불이

최근 개봉작 ‘청연’이 주인공의 친일 행적으로 논란이 된 바 있다. 주인공 최경원은 한국 최초 민간 여류 비행사로 일제시대 때 일본에서 만주로 친선 비행을 갔을 만큼 일본의 호위를 받는 인물로 알려져 있다.

과연 최경원의 개인적 업적과 일제시대라는 역사의 아픔을 어떻게 균형적인 시각으로 보여줄 수 있을지는 감독의 몫이다.

하지만 한 개인의 삶 속에서 역사의 비극적 진실을 날카롭게 잡아내지 못한다면 영화는 의미를 잃어버린 소영웅주의에 불과할 것이다. 이처럼 식민지 시대를 다루는 영화는 진지한 역사의식을 필요로 한다.

특히 역사의 가해자인 일본이 일제 식민지 시대를 그릴 때는 더욱 역사적 진실에 눈을 감아서는 안 된다.

그런 면에서 볼 때 ‘철도원’으로 유명한 후루야타 야쓰오 감독의 영화 ‘호타루(반딧불이)’는 일본인들이 가장 민감해 하는 태평양 전쟁과 가미가제 특공대에 대해서 일본인들의 의미있는 성찰을 보여주고 있어 주목할 만 하다.

‘사요나라, 야스쿠니진자데 아이마쇼(잘 있거라, 야스쿠니신사에서 만나자!)’ 태평양 전쟁 당시 폭탄을 안고 오키나와 해상 미 항공모함에 돌진하는 가미가제 특공대원이 남긴 마지막 육성이다.

나라를 위해 목숨을 버린 이 소년병들에게 어떻게 이렇게 확신에 찬 목소리가 나올 수 있었을까. 영화 ‘후타루’는 역사가 일방적으로 영웅화, 신격화 시킨 이들의 삶 속에서 역사에 희생당한 아픔을 읽어내고 있다.

영화의 주인공은 일본 가고시마의 어촌마을에서 원양어선 어부로 살아가고 있는 야마오카. 그는 신장병을 앓고 있는 사랑하는 아내 토모코와 과거 전쟁의 아픔을 가슴 속에 묻은 채 살아간다.

그런데 천황의 서거 소식에 이어 과거 동료 특공대원 후지에의 자살 소식을 듣는다. 후지에는 1945년 태평양 전쟁 막바지에 출격명령만을 기다리던 중 야마오카의 도움으로 목숨을 건지게 되면서 지금까지 연을 이어오고 있었다.

하지만 이 둘 사이에는 가슴 아픈 비밀이 하나 있다. 오키나와 해상에서 사라져간 이들의 동료 가네야마 소위가 마지막 출격을 앞두고 이들 앞에서 유언을 남겼던 것이다.

‘김선재’로 알려진 조선 출신인 가네야마는 야마오카의 현재 처인 토모코를 애인으로 두고 있었지만 조국땅 조선을 위해 자신을 희생할 수 밖에 없었고 이에 대해서 야마오카는 평생 부채의식을 짊어지고 살아간다.

그런데 김선재의 마지막을 기억하는 또 다른 인물, 가고시마 여관의 여관장이 김선재의 유물을 유족들에게 전달할 것을 야마오카에 부탁하고 야마오카는 한국으로 무거운 발걸음을 옮긴다.

고이즈미 일본 총리는 공공연하게 ‘힘들 때면 가미가제 특공대를 떠올린다’고 말할 정도로 가미가제 특공대에 강한 연민과 존경을 표현한다.

하지만 야스쿠니 신사에 합사된 2만 조선인 가미가제 특공대에 대해서 누가 그들을 위로해줄 수 있을까. 고이즈미가 흘리는 눈물 안에 출격을 앞두고 아리랑을 불러야만 하는 조선인들의 아픔은 담겨있지 않다.

영화 ‘호타루’는 이러한 일본의 한계적 역사인식에 대해 조심스러운 문제제기를 한다.

올해가 ‘한일 우정의 해’였다고 한다. 하지만 이러한 타이틀을 무색하게 고이즈미 총리는 신사참배를 강행했다. 일본의 정치인들이 야스쿠니 신사에 다가가면 갈수록 한일 관계는 계속해서 멀어지기만 한다.

역사적 진실에서 뒷걸음질 치고 있는 일본과 언제 한번 진지한 대화의 장을 마련할 수 있을 것인가. 영화 ‘호타루’는 우리에게 그래도 희망이 있음을 보여주고 있다.


정선영 자유기고가 startvideo@hotmail.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