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우리시대의 명반·명곡] 다섯손가락 1집 '새벽기차' 1985년 서울음반 달콤한 멜로디와 수려한 가사로 인기사랑과 이별, 추억과 미래의 꿈 솔직한 감정으로 그려내

정치사회적 격변기였던 80년대가 개막되면서 새롭게 제시된 음악 패러다임의 핵심은 다양성이었다. 80년대의 대중은 LP로 음악을 듣기 시작한 아날로그 세대이면서, CD와 뮤직비디오 같은 디지털의 탄생을 경험한 영상 세대이기도 했다.

사회적 변화를 갈망했던 당대 대중에게 다양한 음악 장르의 출몰은 낯선 일이 아니었다. 격변기에 구축된 그 같은 풍요로운 문화적 환경은 아이러니했지만 대중적 인기를 추구하는 엔터테이너와 자신만의 음악색을 펼쳐내는 아티스트의 공존은 가능한 미덕을 발휘했다. 대중적 인기와 음악적 성과를 동시에 획득한 탁월한 뮤지션들의 동시다발적인 등장은 그 결과물일 것이다.

민주화를 부르짖는 시대적 요구로 들끓었던 그 시절 록은 제격이었다. 시대적 분위기와 일치했던 헤비메탈이 시대적 호응을 이끌어낸 것은 당연했다. 록밴드 다섯손가락의 음악은 이점에선 이율배반적이다.

그들은 무겁거나 소란스런 사운드가 아닌 서정성과 감성으로 덧칠 된 말랑한 록발라드를 구사했기 때문이다. 송골매에 의해 제시된 록발라드는 록밴드 다섯손가락과 부활에 의해 하나의 트렌드로 자리매김했다. 그런 면에서 이들은 당대의 사회적 분위기에 지친 젊은 세대들에게 록밴드의 새로운 전형을 제시한 밴드들이었다.

이미 송골매가 캠퍼스밴드의 성공신화를 증명했다면 다섯손가락은 성공신화가 우연한 것이 아님을 재확인시켰다. 여러 대 학생들의 연합 캠퍼스 밴드였던 다섯손가락은 송골매처럼 공중파를 장악했던 드문 록밴드다.

그들이 들려준 '새벽기차','수요일에는 빨간 장미를','풍선','사랑할 순 없는지'등 서정적인 록발라드 곡들은 당대의 대중에게 폭넓은 공감대를 형성시켰다. 또한 20년이 지난 지금 동방신기의 '풍선', 마야의 '새벽기차', 김태영의 '사랑할 순 없는지'등의 리메이크 작업을 통해 시대를 초월한 명곡으로 증명되었다.

1985년 발표한 다섯손가락의 1집은 헤비메탈의 거칠고 드센 기운과 자웅을 겨뤄 록의 지평을 일반 대중에게까지 넓힌 명반 이다. 감미로운 멜로디와 수려한 가사는 진정 들을 만했다. 오리지널 라인업은 리드기타 겸 보컬 이두헌과 쌍두 보컬인 임형순, 키보드 최태완 그리고 드럼 박강영, 베이스 이우빈의 5인조였다.

송골매의 배철수, 구창모의 보컬 시스템과 닮은꼴인 이두헌, 임형순의 쌍두 보컬 체제는 성공을 보장하는 시스템까지 인식되었다. 그 결과, 같은 록밴드 음악이 전혀 다른 질감으로 대중의 이목을 즐겁게 하는 풍성함을 선사했다. 이는 앞서 언급한 80년대의 자유로운 음악적 환경이 빚어낸 일종의 보너스였다.

총 9곡이 수록된 1집의 타이틀 곡 '새벽기차'는 이미 70년대부터 시작된 학생층의 기차여행 붐을 부활시켰던 불후의 명곡이 다. B면 첫 트랙 '수요일에는 빨간 장미를' 또한 지금도 비 오는 수요일에는 어김없이 라디오 전파를 통해 흘러나오는 필청 트랙이다.

당시 젊은 세대의 감성을 자극시킨 이 노래는 수요일마다 빨간 장미를 찾는 젊은이들로 꽃집을 붐비게 했던, 슬프지만 따뜻한 감성이 아름다운 명곡이다.

이처럼 앨범 수록곡들은 달콤한 멜로디와 함께 섬세한 가사가 탁월했다.

사랑하는 사람과의 이별의 쓸쓸함을 놀라운 서정으로 덧칠했던 '새벽기차'를 필두로 사랑을 고백하기 전 누구나 경험 했을 가슴 두근거림을 노래한 '오늘은 정말', 밝고 해맑았던 어린 시절의 기억을 노래한 '작은 기쁨', 이미 언급한 '수요일에는 빨간 장미를'등에서 이들은 사랑과 이별은 물론이고 지나간 추억과 미래의 꿈을 솔직한 감성으로 그려내 폭발적인 반응을 이끌어냈다. 1986년 KBS 가요대상 수상은 그 결과물이다.

'사랑할 순 없는지','풍선'을 담은 2집 또한 탁월한 앨범이다. 하지만 두 보컬을 뺀 멤버들의 라인업 변동은 1987년 임형순의 솔로 독립으로 이후 4기까지 이어지며 1989년 4집으로 방점을 찍었다.

지난 2007년 잠시 재결성되어 기대감을 안겨주기도 했던 다섯손가락의 음악은 언제 들어도 애틋한 여운이 담겨 있는 록밴드 최전성시대의 음악 산물이다.



최규성 대중문화평론가 oopldh@naver.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