과 , 와 비슷한 포맷 눈길

QTV '수미옥'
'서바이벌', '오디션'은 이제 대한민국 방송사에서 역사에 남을 단어가 됐다.

올해만큼 이들 프로그램이 판을 벌인 일도 없을 것이다. 케이블채널 Mnet <슈퍼스타 K>로 촉발된 서바이벌 오디션 프로그램은 고스란히 지상파 방송으로 옮겨와 축포를 터트리고 있다.

MBC가 8월 <위대한 탄생> 시즌2를 방영하기 전 <댄싱 위드 더 스타>까지 선보였고, <일요일 일요일 밤에>의 '나는 가수다'로 서바이벌의 붐을 조성했다. 그러자 KBS는 <톱 밴드>와 <휴먼서바이벌 도전자>로 맞불을 놓았다.

뒤늦게 박차를 가한 SBS는 신인 배우를 육성한다는 포부아래 <기적의 오디션>을 선보였고, 다이어트 서바이벌 <빅토리>와 차세대 K-POP 스타를 발굴한다며 오디션 프로그램 을 방영할 예정이다.

마치 그간 케이블에 밀렸던 것을 보상이라도 받으려는 듯 지상파 방송사의 서바이벌 집중현상은 도를 지나친 형국이다. 더불어 시청자들의 손가락 힘으로 최종 우승자를 선발한다는 방식도 이제는 식상하다.

MBC에브리원의 토크쇼 '청담동 새벽 한시'
지상파 방송의 서바이벌 상차림이 계속되면 될수록 케이블 채널로 시선이 가는 건 어쩔 수 없다. 지상파 방송이 서바이벌에 '목숨을 걸고' 있다면, 케이블 채널은 토크쇼에 도전 중이다. 그런데 케이블 채널의 토크쇼 프로그램이 지상파 방송처럼 비슷한 포맷을 가진 프로그램들로 채워지기 시작했다. 최근 새롭게 진행되는 토크쇼만 봐도 그렇다.

MBC에브리원 <정보석의 청담동 새벽 1시>는 비슷한 포맷을 등에 업고 첫 발을 내민 프로그램이다. '음식 만들어 주기'라는 포맷아래 메인 MC가 요리사를 자청해 게스트에게 밥상을 차려주는 형식이다.

현재 방영 중인 QTV <토크가 있는 요리집 수미옥>(이하 수미옥)과 별만 다르지 않다. <수미옥>도 메인 MC인 배우 김수미가 현장에서 즉석으로 만든 한정식을 대접하며 게스트들의 진솔한 이야기를 끌어내 이어가는 토크쇼다. 음식이 만들어지는 과정과 함께 음식에 담긴 의미를 이야기 하는 등 음식이 중요한 테마다.

<청담동 새벽 1시> 역시 정보석이 요리사로 변신해 식당을 찾아온 손님과 대화를 나누며 진행되는 프로그램이다. 방송 내내 그가 요리를 하며 음식을 만들어지는 과정이 등장하고, 게스트는 그의 요리를 맛보며 이야기를 나누는 컨셉트다.

정보석은 <청담동 새벽 1시>를 "엄마가 해준 밥 같은 토크쇼"라고 말했을 정도로 제대로 된 음식을 대접하는 토크쇼라고 말했다. 그만큼 요리와 음식이 큰 비중을 차지하며 전체 프로그램을 이끄는 장치인 셈이다.

tvN '현장토크쇼 택시'
한창 방영 중인 <수미옥>과 너무도 닮아있다. <수미옥>이 시청률에서 2%에 다다르며 선전하고 있기 때문에 <청담동 새벽 1시>의 신설이 눈에 띄는 이유다.

사실 음식을 주 메인 코스로 등장시킨 토크쇼는 많았다. SBS <이홍렬 쇼>는 '참참참'이라는 코너에서 스타들과 요리 대결을 펼치며 입심을 발휘했다. 거의 처음으로 안방극장에 토크쇼의 무대가 주방이 될 수도 있음을 보여준 사례였다.

이후 2007년 MBC에브리원 <김호진의 쿡&톡>이나 올리브 <다이닝 애비뉴>도 요리와 토크를 접목시킨 토크쇼였다. 뒤이어 2010년에는 SBS ETV <조형기, 박준규의 형님식당>이 문을 열었고, <양희은의 요리쇼 식객>도 전파를 탔다. 음식과 수다는 떼려야 뗄 수 없는 관계임에는 틀림없다.

그러나 비슷한 포맷의 프로그램은 그 안에 아무리 다른 장치들을 설치해도 설득력이 떨어진다. 큰 포맷은 MC가 요리하고 게스트는 이야기를 풀어놓는 것이기 때문이다.

결국 요즘 케이블 채널에서 요리는 토크쇼의 기본 공식이 되고 있다. 이 공식이 사라지지 말란 법은 없지만 지켜져야 할 이유도 없는 것이다. 새로운 것을 찾아 헤매는 건 시청자들의 권리이자 특권이기 때문이다.

SBS ETV '온에어'
지난 6월 파일럿으로 방송됐던 SBS <온에어>도 마찬가지다. 개그맨 최양락과 정찬우가 MC로 직접 택시를 운전하는 토크쇼였다. '택시'라는 말을 듣는 순간 tvN <현장토크쇼 택시>가 떠오를 것이다.

개그우먼 이영자와 배우 공형진이 진행하는 토크쇼로 장장 4년 동안 한 자리를 지켰다. 평균 시청률이 2%대를 유지하는 것만 봐도 장수 프로그램인 이유가 있다. 그러니 <온에어>의 형식이 <현장토크쇼 택시>에서 따왔을 것이란 의견에 동의할 수밖에 없다. 택시를 운전하는 MC도 두 명이고, 택시 안에 카메라를 설치해 녹화한다는 점도 비슷하다.

물론 다른 점도 있다. <온에어>는 게스트가 연예인이 아닌 일반인이고, 단순한 토크쇼가 아닌 퀴즈를 맞히는 형식이라는 점이다. 그럼에도 불구하고 '택시'라는 컨셉트는 두 프로그램을 하나처럼 보이게 만들었다. 하지만 <온에어>는 파일럿 프로그램으로 만들어져 단 한 번의 전파를 탄 후 사라졌다. 과연 택시를 이용한 토크쇼가 또 다시 탄생할 수 있을까.



강은영 기자 kiss@hk.co.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