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우리시대의 명반·명곡] 현경과 영애 1집 (1974년)답답한 70년대 정화시킨 세레나데

지금도 그렇지만 과거부터 걸 그룹들은 귀엽고 청순한 외모에 달콤한 화음을 구사하는 노래뿐 아니라 섹시한 춤과 의상으로 대중의 눈과 귀를 사로잡아왔다.

그런 점에서 서울대 미대 여대생 2명으로 구성된 <현경과 영애>는 이질적인 걸 그룹이다. 본격적으로 방송활동도 하지 않았고 섹시한 춤과 외모로 승부하지도 않은 단 한 장의 음반을 발표했을 뿐인 이들이 왜 한국 포크역사에서 전설적으로 회자되는 것일까?

1974년에 발표된 <현경과 영애>의 유일한 독집은 상업화 되지 않은 맑고 순수한 1970년 포크의 원형질을 담고 있는 결정체다. 이미 상업포크가 대중음악계를 지배했던 당시, 아마추어적 풋풋함과 뛰어난 세션이 결합된 놀라운 음악적 성과는 그 유례가 흔치 않다.

1971년 서울대 신입생 환영회 때 미대 신입생 장기자랑 대표를 자원하면서 이들의 짧은 역사는 태동했다. 성격은 판이했지만 두 사람이 빚어낸 맑고 깨끗한 화음은 7년 간 단짝으로 붙어 다니게 만들만큼 아름다웠다.

당시 스타 포크가수들이 TV, 라디오, 생음악 살롱, 각종 공연무대를 종횡무진 점령했을 때, 현경과 영애는 음악 동료들의 공연과 라디오 방송에 찬조 출연 그리고 대학 축제무대로 활동반경을 스스로 제한했다.

명품 포크음반으로 평가받는 이들의 독집은 데뷔작이면서 대학 시절의 음악 활동을 정리하는 일종의 은퇴기념음반이다. 이 음반은 70년대의 포크 걸작들을 무수하게 생산해낸 오리엔트 나현구 대표의 기획 작품이다.

처음 '현경과 영애'는 평소처럼 아름다운 화음으로 포크질감이 물씬 배어나는 노래를 부르고 싶었지만 '단순한 화음이 맑고 긴 생명력을 지닌다'는 나사장의 제안으로 음반은 음악적으로 변화되었다. 그래서 두 사람은 화음 구사 창법을 버리고 때로는 번갈아 노래하고, 때로는 같이 호흡하는 방식으로 노래했다.

녹음 때도 포크의 질감을 살리는 클래식 기타 세션을 원했던 두 사람의 생각과는 달리 강근식이 주도한 록밴드 '동방의 빛'이 세션을 맡았다. 이 지점에서 현경과 영애의 음반에 대한 음악적 평가는 청자에 따라 엇갈리게 된다.

편곡과 연주를 맡은 '동방의 빛'의 세션으로 음반이 나왔던 당시, 포크 애호가들은 '현경과 영애의 노래를 망쳤다'는 혹독한 비판이 제기되었다. 하지만 세월이 흐른 최근에는 "자칫 평이하게 드릴지도 모를 곡들은 다채로운 편곡과 구성으로 아기자기하게 변모했다."는 찬사로 엇갈린다.

분명한 것은 당대에 무그 음악으로 새 지평을 열었던 '동방의 빛' 세션은 음악성과 상업성을 포괄하는 나름 의미 있는 시도였다는 점은 분명해 보인다.

타이틀인 김민기 곡 '아름다운 사람'은 1절은 이현경이, 2절은 박영애가, 3절은 둘이 함께 부르는 형식으로 진행된다. 노래를 만든 김민기조차 '그 누구도 따라갈 수 없는 최고의 노래'라고 감탄했다.

이 노래는 아름다운 가사와 더불어 느린 템포에 쉬운 코드로 진행되어 누구나 쉽게 통기타를 퉁기며 화음을 넣어 부를 수 있는 명곡이다. '세노야'의 작곡가로 유명한 서울음대생 김광희 곡 '나 돌아가리라' 역시 양희은이 노래한 '가난한 마음'으로도 널리 알려진 한국 포크의 명곡이다.

원곡을 넘어 현경과 영애만의 질감으로 재탄생되어 대중적 파급력을 보였던 '그리워라'는 스페인 보컬그룹 Mocedades의 'Adios Amor'가 원곡이고 페기 리의 캐롤 'O Ring Those Christmas Bells'이 원곡인 "종소리"는 폴카 리듬의 흥겨운 곡이다.

다채로운 화음과 코러스가 더해지면서 점점 템포가 빨라지는 밝고 경쾌한 '참 예쁘네요' 역시 피터 폴 앤 메리의 'Oh, Rock My Soul'을 번안한 곡으로 당대 청소년층의 사랑을 듬뿍 받았던 곡이다. 이현경의 자작곡 '님의 마음'과 '바다에서', 그리고 이장희가 작곡한 '눈송이'도 맑고 깨끗한 느낌의 좋은 노래들이다.

너무도 순수하고 티 없이 맑았던 여대생 포크듀엣 <현경과 영애>의 노래들은 70년대의 답답한 사회분위기를 정화시켰던 세레나데였다. 단순한 노래였지만 암울했던 당시 젊은이들의 영혼을 달래준 현경과 영애의 노래는 언제 들어도 감동이다.



최규성 대중문화평론가 oopldh@naver.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