식민지 이후를 사유하다젠더연구 관점서 식민지 이후 한국인의 권력 작용 분석권명아 지음/ 책세상 펴냄/ 2만 2000원

'한국사회에서 노인은 기본적으로 계급적 개념이다. 지식인이나 정치인, 재벌 등 사회적 지위가 높은 사람은 아무리 나이가 들어도 노인이라고 불리지 않으며, 그들도 스스로를 노인으로 정체화하지 않는다.

우리는 서민에게만 노인의 칭호를 붙인다. 이것은 나이 듦이 모든 사람에게 똑같이 적용되는 생물학적 현상이 아니라는 반증이다. 늙음은 나이 듦에 대한 사회적 시선이다.'

여성학자 정희진 씨는 칼럼 '늙음과 나이 듦'에서 이렇게 말한 바 있다. 노인, 게이부터 최근 유행하는 동안(童顔)이란 단어까지, 우리가 아무렇지 않게 내뱉는 언어들은 사실 위계화 된 계급적 질서에서 작동되는 일련의 권력 작용이다.

사회과학 연구의 한 축인 젠더 연구는 이처럼 사회 보편적 이념이 다양한 권력 작용의 과정에서 만들어진다는 것을 토대로 진행된다.

신간 '식민지 이후를 사유하다'는 이 젠더 연구 관점에서 식민지 이후 한국인의 권력 작용 과정을 파헤친다. 저자인 권명아 동아대 교수는 이 책의 서두에서 "국민이 된다는 것은 성적 차이와 가족적 상징 체제가 복합적으로 작용하는 과정이다"라고 밝히고 있다.

책은 총 3부로 구성된다.

1부 '세계화와 차이의 정치학, 그 딜레마'에서는 정치적 소수자의 자기 해방 기획이 세계화 시대에 접어들면서 새로운 마케팅 논리에 직면하게 되는 문제를 다룬다. 이를 테면, 해방후 맞게 되는 '재식민화' 과정인 셈이다.

저자는 한국의 민족주의가 '우리는 식민 지배를 당해왔고, 전쟁과 분단으로 박해받은 민족이다'라는 자기 서사 반복을 수행하는 과정에서 만들어 졌다고 지적한다.

이런 반복을 통해 우리는 스스로 '수난 받은 민족'이라고 규정해 왔다는 것이다. 해방을 갈망하는 기획들은 국가, 제도, 자본 등 권력에 흡수되거나 이용돼 왔다.

2부 '식민지 이후를 사유함'에서는 식민지 경험을 통한 우리 민족의 '자기 기술의 방식'을 살핀다. 구체적으로 역사 기술, 문학, 영화, 드라마와 작가 분석이다.

저자는 우리가 식민성(정신적 노예 상태)과 식민지 이후에 대한 본격적인 사유 없이, 국가 주도의 캠페인과 국민화 교육의 도구로 식민성을 생각해 왔다고 말한다.

3부 '식민지 이후라는 감정과 역사의 교정'에서는 식민 지배의 경험이 국가, 문화 산업, 교육 등 권력을 통해 재생산되는 과정을 설명한다. 한국에서 젠더 연구는 여성 문제 연구 정도로 이해하지만, 실제 이 분야는 계급과 연령, 지역 등 다양한 차이를 지닌 존재를 연구하는 과정이다.

젠더 연구로 식민성을 파헤치는 이 책은 따라서 3장에서는 해방 이후부터 1990년대까지 역사 교과서, 문학 작품과 박정희 정권 하의 문예 영화 제도 등 권력 기관이 '민족 정체성'을 구성하는 과정을 규명한다.

"내 연구의 주된 관심은 내가 노예 상태에 있다는 것을 자각하면서…스스로를 노예 상태로부터 해방시킬 수 있는 힘으로 전화할 수 있을까 하는 문제다."

저자는 서두에서 이 책을 쓴 이유에 대해 이렇게 밝히고 있다. 오늘 하루 무심코 내뱉은 말이나 생각에도 노예근성이 깃들여 있지 않을까? 책을 통해 당신 안의 식민성을 살펴보자.



이윤주 기자 misslee@hk.co.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