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이유미의 우리풀 우리나무] 까마귀쪽나무

까마귀쪽나무를 처음 보았던 때를 더듬어 더듬어 거술러 올라가 보니 아주 아주 오래 전 이맘때였던 것 같다.

식물을 전공하여 제대로 공부하기 시작한 지 얼마 되지 않았을 때인데, 날씨가 추워져 꽃을 찾아 남쪽으로 떠나곤 했는데, 거문도에서 까마귀쪽나무를 처음 보았다.

동백꽃들도 피기 시작할 즈음, 짙푸른 잎새들이 반질거리는 상록의 활엽수들 사이에서 이 나무를 처음 보았고, 그리고 그 틈에서도 개성이 두드러져 돋보였다. "이런 특별하고도 멋진 나무도 있구나"싶었다.

무성하게 달린 잎새들은 길쭉한 타원형에 그 가장자리가 뒤로 말린 듯도 하고 무엇보다도 자루와 뒷면에 갈색의 털들이 빽빽한 특징정도만 눈에 두드러지는데 그런 몇 가지 작은 차이점으로 나무가 혹은 그 숲이 이렇게 강인하면서도 나무들과는 다른 느낌을 줄 수 있다는 게 신기했다.

까마귀쪽나무는 녹나무과에 속하는 상록성 중간키나무이다. 기본 줄기가 뚜렷하게 올라가는 나무인데도 전체적으로는 교목성으로 자라지 않고, 줄기의 아랫부분부터 가지가 갈라져 자라는데다가 여러 그루가 함께 어우러져 있어 전체적으로는 아주 커다란 나무 뭉텅이 같이 보인다. 키는 크지 않아도 가지는 굵고 잎은 물론 가지에까지 갈색털이 붙어 진한 녹색의 잎과 어울린다.

사는 곳은 대부분 남쪽의 바닷가이다. 바다에서 이어지는 야트막한 산 기슭을 눈여겨 보면 이 나무를 만날 수 있다. 까마귀쪽나무라는 이름의 유래는 정확히 알기가 어렵다.

다닥다닥 붙어 오래 익어가는 열매가 까만 색이어서 까마귀란 이름이 붙었을 터인데 그 위에 붙은 "쪽"자의 의미는 아직 모른다. 구롬비나무라고도 하는데, 이 말은 제주도 방언 구롬비낭에서 유래되었다고는 하나 구롬비의 의미 역시 찾아낼 길이 어렵다.

꽃은 여름부터 피어 가을까지 이어진다. 조금은 연한 노란 빛깔의 꽃들은 자루가 아주 짧아 다닥다닥 붙어 있는 듯 느껴지지만 이중으로 된 산형화서에 달려 있다. 꽃색이야 맑지만 꽃차례를 싸고 있는 총포의 겉에는 예의 그 갈색털이 나 있다. 꽃들을 언뜻 보면 회양목 꽃처럼 여러 개의 수술이 두드러지는데 찾아보면 6갈래로 깊이 갈라진 화피도 있다.

꽃이 오래 피듯이 열매도 해를 넘겨 2년에 걸쳐 익어간다. 꽃이 지고 나면 작고 동글동글한 열매들이 커나가기 시작하고 해를 넘겨 봄이 지나고 나면 초록색이던 열매들은 하나둘 자주빛에서 검은빛으로 익어간다.

나무가 흔치 않아 많이 이용되지는 않지만 관상용으로도 적합하다. 잎이 사시사철 달리고 열매며 꽃이며 볼 수 있으니. 특히 남쪽의 바닷가 조경용으로 적합할 듯하다. 울릉도, 제주도와 남쪽바다가 적당하고 동쪽으로는 포항, 서쪽으로는 천리포까지 심어 겨울을 난다고 한다. 제주도에선 가로수로 식재한 곳이 있는데 가로수로는 성공적이지 않은 듯하다.

열매는 먹기도 하며 맛있다고 한다. 이해가 가기 전 남쪽 바다로 여행을 떠날 수 있는 행운이 찾아온다면 이 까마귀쪽나무의 열매맛이나 봐야겠다. 남아 있으려나?



이유미 국립수목원 연구관 ymlee99@foa.go.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