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신간안내] 문학의 거장들(왕은철 지음/ 현대문학 펴냄/ 1만 8000원 ) 外9편의 인터뷰 속 세계에 대한 냉철한 분석과 인간에 대한 무한 애정

●문학의 거장들
왕은철 지음/ 현대문학 펴냄/ 1만 8000원

나딘 고디머, J.M 쿳시, 할레드 호세이니, 안드레 브링크. 현대문학의 거장이라 불리는 이들의 공통점은 무엇일까? <문학의 거장들: 세계 작가 9인을 만나다>는 이런 질문에서 시작된 책이다.

저자인 왕은철 전북대 교수는 나딘 고디머, J.M 쿳시, 할레드 호세이니 등 작가의 책을 국내 소개한 번역가이자 영문학자. 그는 하진, 찰스 존순, 세나 지커 내스런드, 낸시 롤스와 나타샤 트레서웨이 등 현대문학 거장 9인을 인터뷰했고, 그 결과를 책으로 펴냈다.

아홉 편의 인터뷰는 할레드 호세이니를 제외하고 모두 직접 만나고 전화와 이메일로 보완해가며 완성한 '작품'이다. 고디머와의 인터뷰에서는 남아프리카공화국의 투쟁의 전사 이미지가, 쿳시와의 인터뷰에서는 작가 특유의 시니컬한 분위기가 묻어 있다.

'작가는 사회를 심오하고 깊숙하게 천착함으로써, 샐먼 루시디가 말한 것처럼, 말할 수 없는 것을 말하고 발언할 수 없는 것을 발언하는 자입니다. 이것이 바로 소설가나 시인이 하는 일입니다. 그것이 작가의 진정한 효용성일 것입니다.'(나딘 고디머 인터뷰 중에서)

'문학은 우리에게 인간이 무엇인지를 말해줍니다. 문학에서 중요시되는 감정이입은 기본적인 인간 가치입니다. 문학은 타자를 향한 윤리적 행동이 무엇인지를 우리에게 일깨워줍니다. 적어도 저는 제가 하는 문학이 그러한 것을 지향하는 문학이 되었으면 싶습니다.' (나타샤 트레서웨이 인터뷰 중에서)

저자는 책에는 인터뷰 외에 작가와 작품에 대한 해설도 함께 수록했다. <천 개의 찬란한 태양>으로 아프칸 현대사를 노래한 할레드 호세이니에게는 고난받는 이들에 대한 사랑이 엿보인다. 그의 인터뷰와 함께 이 작품의 스토리텔링에 관한 이야기도 함께 담았다. 단순한 문장으로 미국 문학을 정복한 중국계 작가 하진에게는 고국을 떠난 작가의 복잡한 심경이 읽힌다. 저자는 인터뷰와 평론가 특유의 분석을 통해 하진의 소설과 절제의 미학을 소개한다.

이 책에 실린 아홉 명의 작가들은 모두 세계 주요 문학상을 받은 거장이란 점 외에 모두 어느 정도 주변부 출신의 작가라는 공통점이 있다. 나딘 고디머와 J.M. 쿳시, 안드레 브링크는 모두 제3세계, 정확하게 남아프리카공화국 태생의 작가이면서 동시에 흑인의 땅에 사는 백인 작가다. 반대로 찰스 존슨, 낸시 롤스, 나타샤 트래서웨이, 하진은 모두 미국에 사는 유색인종 작가다. 세계에 대한 명철한 분석과 타자에 대한 무한 애정. 이들 작가들이 인터뷰를 통해 말하는 건 아마도 이것이 아닐까.

●현대 정치철학의 모험
홍태영 외 8인 지음/ 난장 펴냄/ 1만 8000원

클로드 르포르, 알랭 바디우, 자크 랑시에르, 가라타니 고진, 아테엔 발리바르, 조르조 아감벤, 생탈 무페, 악셀 호네트. 최근 국내 지식인 사회에서 회자되는 정치 철학자의 이름이다. 이 책은 그 철학자 8인에 대한 입문서. 이들 철학자의 사상을 요약, 소개하고 정치의 의미를 되묻는다.

●세계사 특강
캔디스 고처 · 린다 월튼 지음/ 황보영조 옮김/ 삼천리 펴냄/ 2만 8000원

거대사에 가려진 '인간 역사'를 파헤친 연구서. 워싱턴주립대학 역사학과 캔디스 고처 교수와 포틀랜드주립대(오리건) 역사학과 린다 월튼의 공저. 두 사람은 오리건공영방송이 30억 원 기금을 마련해 조성한 '교사들을 위한 세계사 멀티미디어 프로젝트'에 참여했고, 그 결과물을 이 책에 담았다. 이주, 기술과 환경, 도시, 종교와 공동체, 가족, 문화와 기억, 젠더 등 11가지 주제를 통해 정치, 경제, 사회, 문화를 소개한다.

●더러운 철학
김진석 지음/ 개마고원 펴냄/ 1만 5000원

인하대 김진석 교수가 일반인을 위해 발간한 철학서. 저자는 순수 담론만이 무성한 국내 철학계에 대해 '더러움을 무릅쓰는' 담론이 필요하다고 주장한다. 저자가 말하는 철학은 폭력과 근본주의 사이를 오가는 사유. 현대 서양철학의 대표적 논쟁거리인 '리좀', '전쟁기계', '노마디즘'을 차례로 불러내 이 용어들의 철학적 쓰임새의 '더러움'을 논한다.



이윤주기자 misslee@hk.co.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