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지식인의 서고] <반 고흐, 영혼의 편지>삶의 여백이 궁금할 때마다 테오가 되어 그의 편지 읽어

어스름한 저녁에 이르는 풍경은 한낮의 풍경과는 분명히 다른 이야기를 끌고서 집안으로 불쑥 찾아온다는 것을 나는 고흐의 '감자먹는 사람들'로부터 희미하게 봤는지도 모른다.

빛과 어둠이 교차하면서 엮어지는 그림들은 생각보다 오래 생각을 집중해서 들여다봐야 했다.

그 속에서 펼쳐지는 빛의 산란이 내 시선을 붙잡았던 시간들이 있었다. 그래서 겨우 그 속의 한 무늬가 아주 조금씩 우리들 삶의 무늬로 직조되는 한 현상을 목도할 수가 있었다.

나는 지난 시간 속에서 고흐 자신이 먼 훗날에 자신의 이름으로 책을 출간하는 일을 과연 허락했을까 싶은 <반 고흐, 영혼의 편지>를 통해서 그야말로 절실히 어두운 풍경의 깊이를 헤아렸다.

왜 그토록 꺼질 듯 말 듯 이 책의 문장을 읽었는지 모른다. 그리고 그 기묘한 책장이 펼쳐져 있는 시간에는 적어도 머리보다는 손과 발이 더 가치있는 여백을 가져야 한다고 믿고 있었다.

나는 고흐의 어느 그림에서 창이 있는 집으로 다가오는 일견 불안의 후광이라고도 부를 수 있는 그 빛이 뻥 뚫려 있는 것을 보았다. '베틀 앞에 서 있는 직조공'이 일테면 그러한 포즈에 속한다. 그것은 장차 높은 지붕을 갖게 된 자가 동시에 높다란 네 개의 딱딱한 이질적인 벽면을 갖게 되는 생활을 두려워할 수도 있겠다는 점을 상기시켜주었다. 이 그림 속에서 직조공의 손과 발은 베틀의 일부처럼 움직이다가 잠시 멈춘다. 반면 그의 머리는 환한 창을 배경으로 있다.

고흐는 이 책에서 말한다. 사람을 바보처럼 노려보는 텅 빈 캔버스를 마주할 때면, 그 위에 아무것이든 그려야 한다. 너는 텅 빈 캔버스가 사람을 얼마나 무력하게 만드는지 모를 것이다.

비어 있는 캔버스의 응시. 그것은 화가에게 "넌 아무것도 할 수 없어"라고 말하는 것 같다. 캔버스의 백치 같은 마법에 홀린 화가들은 결국 바보가 되어 버리지. 많은 화가들은 텅 빈 캔버스 앞에 서면 두려움을 느낀다. 반면에 텅 빈 캔버스는 "넌 할 수 없어"라는 마법을 깨부수는 열정적이고 진지한 화가를 두려워한다.

내가 지금껏 어떤 이유로 동경했던 창 밖의 것들은 기실 그들의 입장에서 보자면 조연이 아닌 주연의 삶이었을 것이다. 그러면서도 나는 겁 없이 창 밖의 많은 풍경을 동경해 왔다. 그리고 그 풍경에 관여하고 싶어했다. 그러나 그것이 너무도 일방적이었을 때 나는 너무도 그 환경이 뜨끔하였다.

일찍이 순조롭지 않은 나날을 예고하며 살았던 한 예술가는 권총으로 자신의 이성을 겨누는 순간까지도 주연으로서의 삶을 끝까지 포기하지 않겠다는 결기를 품었다. 그 결기는 캔버스를 뛰쳐나온 글에서도 충분히 느껴진다.

이 책은 그의 붉은 영혼에서 흘러나오는 핏방울을 펜 끝에 적신 기록이며 그의 붉은 심장박동 소리를 부르르 떨면서 껴안은 문장들이다. 나는 가끔 지금 삶의 여백이 궁금할 때마다 테오가 되어 그의 편지를 뜯어본다.



이기인 시인