눈에 눈물이 말라 따가움, 이물감, 뻑뻑함 등 눈의 통증을 호소하는 ‘안구건조증’ 환자가 급증하고 있다.

국민건강보험공단이 최근 발표한 자료에 따르면 안구건조증 전체 진료환자가 2007년 142만6,549명에서 2011년 219만3,224명으로 최근 5년간 53.7% 증가한 것으로 나타났다. 스마트폰 사용이 급격히 증가, 눈을 많이 사용하는 생활 환경이 됐고 라식ㆍ라섹과 같은 눈수술까지 늘어나며 나이를 불문하고 안구건조증과 눈충혈, 눈피로, 결막염 등의 눈질환 환자가 많아진 것이다. 특히 환절기와 황사철로 접어들면서 안구건조증의 주의와 관리가 그 어느 때보다 요구된다.

안구건조증은 눈물이 부족하거나 지나치게 증발해 눈물 구성성분의 균형이 서로 맞지 않게 되는 질환을 의미한다. 안구건조증이 진행되면 안구 표면이 손상되고 눈이 시리며 건조함, 이물감 같은 자극을 느끼게 된다.

일반적으로 안구건조증을 치료하기 위해서는 원인에 따라 인공눈물을 점안하거나 염증치료나 눈물의 배출량을 늘리는 시술 등을 하게 된다. 하지만 눈이 마르고 건조할 때마다 인공눈물을 넣는 것으로 가볍게 대처한다면 안구건조증은 오히려 더욱 악화될 수 있다.

눈치코치한의원 일산점 배성민 원장은 “즉각적으로 효과가 있는 듯 느껴지는 인공눈물은 대부분 일시적인 효과에 그치는 경우가 많고 수시로 사용하다 보면 인체의 자생 능력이 줄어든다”며 “인공눈물에 대한 의존도가 높아질수록 스스로 눈물의 생산량을 줄인다”고 경고했다.

한의학에서는 이 같은 눈질환을 눈의 문제를 포함해서 몸의 장기적인 원인, 특히 간과 신장의 기능과 연관지어 치료하게 된다. 배 원장은 “눈질환은 노화로 오는 경우가 제일 많고 그 이외에는 눈이나 전신을 혹사해서 극도의 피로한 상태, 영양의 불균형, 스트레스 등으로 나타난다”며 “이는 간과 신의 기운이 떨어져 화기가 위로 모이면 눈에 이상이 나타나는 것”이라고 설명했다.

배 원장에 따르면 최근 안구건조증을 한방으로 치료하는 환자가 늘어나고 있다. 한방에서는 침치료, 한약치료, 자락술과 다양한 요법으로 치료를 하고 있다. 한방에서의 안구건조증 치료는 원인을 근본적으로 잡는데 중점을 둔다. 개개인의 오장육부와 근육의 불균형을 바르게 맞춰 주고 눈으로 올라오는 각종 열을 제거해 주는 치료가 주를 이룬다. 열로 인한 안구건조증 치료는 눈 주변 경락을 자극하고 기혈을 촉진시킴으로써 위축되고 마른 눈물샘의 분비능력을 강화시키는 것과 동시에 눈과 관련되어 있는 장기의 기혈을 순환시켜 준다.

한번 발병된 질환은 대부분 치료 후에도 재발의 소지를 항시 안고 있다. 재발을 최소화하기 위해서는 의료적인 치료도 중요하지만 환경, 습관 등을 개선하고 꾸준한 관리 노력도 중요하다.

실내가 건조하지 않게 습도를 유지하고, 장시간의 컴퓨터ㆍ스마트폰 사용을 줄이고, 평소 컴퓨터 모니터를 보며 작업할 때 중간중간 눈을 감고 휴식을 위해 눈의 수분을 유지하는 것이 좋다. 또한 콘택트렌즈를 착용하는 사람은 착용 시간을 줄이는 것도 하나의 방법이다. 평소에 시원한 물로 눈을 세척하고, 눈 주위를 마사지하거나, 약재 중에 결명자를 차처럼 끓여서 마시면 간의 열을 내려주어 일시적으로 눈의 통증을 가라앉혀 줄 수 있다.



김현준기자 realpeace@hk.co.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