세계문화유산인 왕릉 길을 걷다

걷기 여행을 탐한다면, 구리 동구릉은 꼭 가볼만한 곳이다. 능과 능을 연결하는 흙길은 호젓하고 단아하다. 세계문화유산 사이를 걷는다는 품격 높은 의미가 길섶에 배어 있다.

동구릉은 조선시대 왕릉 아홉 개가 옹기종기 모인 곳이다. 42개의 조선 왕릉 중 40개가 남한에 있고 그중 아홉 개의 능이 구리 동구릉에 속해 있다. 조선 왕릉 중 국내 최대 규모로 유네스코 등재 세계문화유산이라는 큼지막한 타이틀을 달고 있다. 동구릉 산책이 가치를 더하는 것은 울창한 숲과 자연 때문이다. 이끼 가득한 땅 위에서 자라난 나무들은 흉내 내지 못할 최고의 산책로를 만들어 냈다.

동구릉에 들어서면 오랜 세월 왕릉을 지켜냈을 고목들이 허리를 구부린 채 산책길에 도열해 있다. 나무사이로는 한줌 볕이 들고 길가에는 가녀리게 정적을 깨듯 시냇물이 흐른다.

사연이 다른 아홉 개의 능

동구릉에 속한 아홉 개의 왕릉의 면면을 살펴보면 예사롭지 않다. 조선 초대왕인 태조의 건원릉, 문종의 현릉, 선조의 목릉, 영조의 원릉, 현종과 명성황후의 숭릉 외에도 경종의 혜릉, 헌종의 경릉, 인조의 계비 장렬왕후의 휘릉, 추존 문조의 수릉 등 열거하기도 버겁다. 조선시대 초기부터 말기까지의 왕과 왕후들이 역사 교과서를 펼치듯 나란히 누워 계시다.

능 하나하나를 찾아 알현하는 재미는 남다르다. 9개의 능은 언뜻 비슷한 모습을 지닌 듯해도 각기 개성과 사연이 다르다. 흔히 스쳐 지났던 능은 흐르는 냇물 하나, 놓인 돌 하나에도 의미가 담겨 있다. 왕릉 순환로를 도는데 소요되는 시간은 2시간 정도. 사연을 짚어가며 구경하면 발걸음마다 흥미로 채워진다.

풍광이 아름다운 곳은 선조의 목릉이다. 입구에는 서어나무 군락지가 자리 잡았으며 왕과 왕후의 능이 자리한 위치와 높이도 정자각을 기준으로 부채꼴 모양으로 넓게 배열돼 있다. 경치는 탁 트인 게 보기 좋지만 사후의 왕이 왕후를 그리워할 법도 하다. 그에 반해 헌종의 경릉은 왕과 왕후의 봉분 3개가 하나의 곡장(담벽) 안에 사이좋게 들어서 있다. 조선왕릉 중 유일한 삼연릉이다.

문종 현릉의 문무인석은 얼굴 표정이 익살스럽다. 왕릉 옆에 도열한 조각상들을 보면 말, 양, 호랑이 외에도 신하들이 서 있다. 안쪽이 문인석, 바깥쪽이 무인석인데 현릉의 문무인석은 표정이 또렷하고 재미있다.

조선왕조와 수백년을 함께한 숲

태조의 건원릉에는 색다르게 억새가 자란다. 녹색풀이 어울릴 법도 한데 봉분 위에는 어색하게도 억새가 심어져 있다. 태조는 말년에 평소 그리워했던 고향에 묻히기를 원했기에 고향 영흥 땅의 흙과 억새를 가져다 봉분에 심었다는 얘기가 전해온다. 문조 수릉옆의 시냇물은 물살이생물의 서식지로 생태적 가치가 높다. 이 모든 것들이 동구릉 관람의 포인트들이다.

능에 대한 궁금증을 되새기고 나서면 또 다른 숲이 펼쳐진다. 숲과 길은 스쳐 지난 왕릉을 대화를 나누며 다시 한번 더듬어보는 사색과 소통의 공간이다. 나무와 꽃에는 팻말이 붙어 있어 숲에 대한 궁금증을 덜어 준다. 왕릉을 방문한 외지인들은 초입 시냇가에 돗자리를 펴고 앉아 마냥 숲의 상쾌한 향기에 심취하기도 한다. 굳이 왕의 업적을 들먹이지 않더라도 성은은 그늘이 되어 세인들의 땀을 식혀준다.

글ㆍ사진=서 진(여행칼럼니스트)

여행메모

▲가는길=외곽순환도로 구리IC에서 구리시내 방향으로 빠져나온 뒤 곧바로 동구릉길로 접어든다. 구리IC에서 500m 거리. 경의중앙선 전철 구리역에서 마을버스 2, 6번이 다닌다.

▲관람방법=왕릉 앞에는 작은 냇물이 흐르고 돌이 덧씌워져 있는데 속세와 성역의 경계역할을 하는 금천교로 불린다. 왕릉 앞 홍살문에서 정자각까지 이어지는 돌길인 ‘참도’를 기준으로 왼쪽은 신이 다니는 ‘신도’이고 오른쪽은 임금이 다니는 ‘어도’다. 좀 더 깊숙한 동구릉의 숲을 즐기려면 원릉과 경릉 사이의 자연학습장 가는 길을 택해도 좋다.

▲상세정보=개장시간은 2월~5월, 9월~10월은 오전 6시~오후 6시. 6월~8월은 오전 6시~오후 6시 30분. 매표는 폐장 1시간전에 마감된다. 문화해설사의 설명을 들을 수도 있다. 관람요금은 어른 1000원, 청소년은 무료. 매주 월요일은 문을 닫는다.



주간한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