올망졸망 섬길 따라 호젓한 하이킹

군산 선유도는 한 박자 더디게 둘러보는 섬이다. ‘신선들이 노닐던 섬’. 선유도의 말뜻에서조차 여유로움이 묻어난다. 갯비린내 나는 골목에 들어서면 포구마을 풍경이 가슴에 내려앉는다.

가족과 연인이 나란히 달리는 그런 풍경이 섬과는 잘 어울린다. 해변길따라 여행자들은 자전거를 타고, 낙조를 벗 삼아 하룻밤을 보내기도 한다.

선유도가 속한 고군산군도는 16개의 유인도와 47개의 무인도로 이뤄진 섬의 군락이다. 그중 맏이로 꼽히는 섬이 선유도다. 선유도로 총칭해서 불리지만 선유도, 장자도, 대장도, 무녀도 등이 다리로 연결되면서 한 묶음이 됐다.

섬을 가르는 길목에서는 작은 섬들과 봉우리들이 나침반과 이정표가 된다. 망주봉, 선유봉, 대봉, 대장봉, 무녀봉 등 섬에 봉긋 솟은 봉우리들은 제법 산세가 웅장하다. 봉우리로 이어지는 솔숲은 계절마다 단아한 자태를 뽐낸다.

포구마을의 낭만이 깃든 섬은 한때는 군사적 요충지였다. 고려와 조선 시대때 수군부대가 들어서 있었고, 임진왜란때 이순신 장군이 명량해전을 끝낸뒤 머물다 간 곳이기도 하다.

절경을 간직한 명사십리 해변

명사십리 해변은 선유도의 대표 절경으로 꼽힌다. 명사십리 해변은 천연 해안사구로 모래가 가늘고 곱다. 모래언덕이 바다와 바다를 가른 형국이라 물은 얕고 잔잔하다. 해변 끝자락에는 쌍둥이처럼 망주봉이 자리잡았다. 섬에서의 하룻밤을 선택한 이방인들에게 이곳 낙조는 훌륭한 선물이다. 대장도와 선유도 남악마을 사이, 작은 섬들과 바다 너머 해는 저문다.

선유봉 아래 남쪽 옥돌 해변은 한가로운 풍경이다. 자그마한 자갈들이 빼곡하게 깔려있는 해변은 물도 한결 맑다. 오전 배가 들어서기 전이나 마지막 배가 떠난 뒤 해변을 찾으면 나홀로 벤치에 앉아 아늑한 해변을 독차지할 수 있다.

선유도에는 봉우리들과 어촌마을들을 둘러보는 구불길도 조성됐다. 남악산 대봉 구간, 선유봉 구간, 명사십리 해수욕장 구간으로 나뉘어져 있는데 구불길을 걷는 데는 서너시간이면 족하다. 특히 선유도에서 가장 높은 봉우리인 대봉에 오르면 북쪽으로는 춘장대 해수욕장, 남쪽으로는 변산반도를 조망할 수 있다.

갯내음 살가운 포구마을 골목

섬들은 각각 개성이 달라 둘러보는 재미가 있다. 선유도에서 장자대교를 넘으면 장자도와 대장도다. 예전 멸치잡이가 성했던 장자도는 고군산열도의 천연 대피항 역할을 했던 곳이다. 밤이면 고기잡이배가 수를 놓았던 섬은 최근에는 어촌체험마을로 지정돼 바다 낚시, 갯벌 체험 등을 즐길 수 있다.

장자도로 넘어서는 길에는 초분 공원이 위치했다. 예전 고군산 군도 일대에서는 풍장을 하는 독특한 풍습이 있었다. 초입에 이정표가 없어 방문객도 뜸하고 입구 계단은 수풀이 솟아있지만 초분공원에 들어서면 초분의 형태와 그 유래를 상세하게 알 수 있다.

대장도의 북쪽 바위섬들은 천연기념물인 가마우지의 서식처다. 대장봉 남쪽 기슭에는 마을의 안녕과 만선을 기원하는 전설이 담긴 할미 바위가 바다를 바라보며 아슬아슬하게 매달려 있다.

선유대교를 건너 무녀도로 들어서면 마을 분위기는 완연히 바뀐다. 무녀도는 오랜동안 섬사람들만의 삶터였고, 예전에는 염전이 성했던 곳이다. 뭍과 연결되는 길이 새롭게 뚫리면서 한적했던 무녀도에도 변화의 바람이 불고 있다.

신시도와 무녀도 사이에 다리가 놓이고. 신시도까지 새만금방조제가 이어지며 선유도는 ‘섬 아닌 섬’의 반열에 동참했다. 섬이 뭍과 연결된 후에도 섬 사람들은 자동차가 난무하지 않는 친환경적인 섬으로 남기를 기원하고 있다.

글ㆍ사진=서 진(여행칼럼니스트)

여행메모

▲가는길=다리 개통 이후 무녀도까지 차량으로 이동한뒤, 셔틀 버스나 마을 주민의 차를 타고 섬에 들어설 수 있다. 군산 여객선 터미널에서 쾌속선을 타도 50분이면 섬에 도착한다.

▲숙소=섬 안에 민박집이 다수 있다. 명사십리 송림 인근에서 캠핑도 가능하다. 민박집 등에서 무녀도 주차장까지 픽업 서비스를 대행해주기도 한다.

▲기타정보=섬을 둘러보려면 자전거를 빌리는 게 가장 편리한 방법이다. 선유도 선착장 인근에서 대여가 가능하다. 고깃배를 빌려 우럭 낚시 등을 즐길 수도 있다.



주간한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