김헌태 한국사회여론연구소 소장 - 우리당·한나라 내부 균열이 제3신당·반朴 보수신당 창당으로 이어질 수도

2002년 대선은 한나라당 대 반한나라당, 보수(수구) 대 개혁-진보(반수구), 지역주의와 세대 대결의 구도로 치러졌다. 당시 여권은 호남+충청 지역 연합+수도권 개혁 진보 진영의 조합, 즉 서부연합을 구축해 승리했다.

그러나 내년 대선은 다른 구도로 전개될 전망이다. 우선 2004년 총선 이후 충청권이 붕괴되고 호남이 와해돼 우리당의 지역연합이 깨지면서 서부연합 구축이 불가능해진 상황이다. 수도권 중산층도 침묵으로 돌아섰다.

정치권이 열린우리당과 한나라당의 양당 체제로 정착되고 3김 시대처럼 인물이 정치의 흐름을 바꾸기에는 한계가 있는 정치구조가 되면서 정치적 구심력이 원심력보다 크게 작용, 정치의 틀을 바꿀 내ㆍ외적 충격이 없는 한 내년 대선은 각 당이 후보를 내세우는 형태를 띨 가능성이 높다.

여당에서 추진하려는 반한나라당세력 구축이나 호남 복원은 그럴 만한 추진 동력이 약한 데다 호남을 잡으려다 영남 민주화세력이 이탈할 가능성도 커서 실패할 경우 ‘호남 고립 구도’에 갇힐 수 있다.

최근 여권에서 제기하는 ‘오픈 프라이머리’(개방형 완전 국민경선제) 역시 초당적 경선을 통해 반한나라당 후보를 단일화하자는 것인데 과연 힘없는 우리당 호에 승선할 선장이 얼마나 될지 의문이다.

그럼에도 정계개편과 이에 따른 대선지형의 변화 가능성은 상존한다. 먼저 한나라당 내부의 물리적 충돌 지점에서 파생하는 균열 가능성이다.

현재 이명박ㆍ박근혜라는 두 주자가 압도적인 지지로 ‘한나라당 대세론’을 형성하면서 힘겨루기를 하고 있는데 지난 지방선거에서 서울시장 후보를 뽑을 때처럼 누가 후보가 돼도 이긴다는 흐름이 있어 오히려 불안정성을 높인다. 양측이 지지도를 극대화하는 과정에서 조그만 균열이 생겨도 대선에서 큰 변화를 야기할 수 있다.

만약 박 전 대표가 영남을 독식하고 국민적 이슈에 보수(수구)적 행보로 당 안팎에 반박(反朴) 전선에 대한 공감대가 형성될 경우, 또한 당심(黨心)과 민심(民心)이 유리돼 이 전 시장이 국민 지지도에서 크게 앞설 경우 이 전 시장의 탈당 가능성도 배제할 수 없다.

그러나 이 경우에도 이 전 시장의 독자 탈당은 없을 것이고 외부에 국민의 지지를 받는 ‘반박 보수신당’이 전제되어야 하기 때문에 실제 이 전 시장의 탈당은 쉽지 않을 전망이다. 일부에서 제기하는 노무현 대통령과 이 전 시장의 제휴는 정치공학적 착각에 불과하다.

한나라당이 추진하는 영호남연대는 여론이 부담이고 이해관계가 걸린 사람들이 너무 많아 가능성이 높지 않다고 본다. 따라서 박 전 대표와 김대중 전 대통령이 손을 잡기는 어려울 것이다. 고건 전 총리도 박 전 대표와 연대할 가능성은 있으나 현실성은 적다.

열린우리당은 내년 6월 한나라당 후보가 결정되는 것을 계기로 범여권ㆍ비한나라당 세력을 통합하는 모멘텀을 거쳐 후보를 단일화하는 과정을 거칠 가능성이 높다. 그 과정에서 ‘친노-비호남’ 대 ‘반노-호남’의 균열 구도가 생길 수도 있다.

여당의 오픈 프라이머리와 관련, 여당 내 준플레이오프를 거쳐 고건 전 총리와의 결선을 치루는 구도가 논의되고 있지만 여당의 동력 및 주자들의 한계 때문에 그보다는 여야 여러 세력이 참여하는 제 3신당이 등장, 이명박 손학규 후보의 영입 가능성도 열어놓는 형태가 현실적이다. ‘외부 선장론’에서 거론되는 정운찬, 박원순 등은 리더십의 한계 등으로 후보 가능성은 낮다고 본다.

남북문제, 경제, 한미 FTA와 같은 개별 이슈도 정계개편을 촉발시킬 수 있고 후보 검증과정에서 과거 행적, 도덕성, 스캔들도 변수가 될 수 있다. 중대선거구제, 개헌론 등도 각 당과 의원들의 이해관계에 따라 대선지형을 바꾸는 변수로 작용할 여지가 있다.


주간한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