서민들은 삶이 힘들 때면 누구나 한번쯤 인생역전을 꿈꾼다. 운 좋으면 한 방에 큰 돈을 손에 쥘 수 있기에 복권의 유혹에 쉽게 빠진다. 이는 한국인이나 미국인이나 똑같다. 한탕주의는 어쩌면 인간의 본능일지 모른다.

도박 중독증으로 비화하지 않는다면 적은 돈을 들여 재미삼아 복권을 사보면 색다른 경험이 될 것같다. 최근 편의점에서 근무한 적이 있어 미국의 로또(Lottery)와 즉석식 복권(Scratch)에 대해 많은 것을 알게 됐다.

미국의 복권은 주정부에서 주관한다. 복권을 발행하는 주가 있고 그렇지 않는 주가 있다. 예를 들면 뉴저지주는 복권을 허용하고 알칸소주는 불허한다. 복권 수익의 절반만 당첨금으로 지급된다. 나머지는 로또 운영 경비 등으로 쓰는데 그중의 절반 이상은 주정부의 교육 재정으로 사용된다.

내가 살고 있는 뉴저지주를 기준으로 복권의 종류(주마다 이름이 다를 수 있음)를 알아보면 다음과 같다.

1) Pick 3 (세 자리 숫자 맞히기)

예) 320 (0에서 999 중)

2) Pick 4 (네 자리 숫자 맞히기)

예) 4752 (0에서 9999 중)

3) Cash 5 (숫자 5개 맞히기)

예) 01, 12, 23, 31, 40

4) Pick 6 (숫자 6개 맞히기)

예) 01, 12, 14, 25, 38, 41

5) Mega millions (0에서 56까지 숫자 중 5개와 0부터 46까지 마지막 Mega 숫자 1개 맞히기)

예) 02, 04, 25, 36, 41…13

메가밀리언즈(Mega millions)는 몇 개 주가 연합해 발행하는 복권으로 당첨금이 최소한 1,200만 달러부터 시작한다. 파워볼(Power ball)은 메가밀리언즈에 가입하지 않은 주들이 따로 모여서 만든 복권이다. 예를 들면 뉴저지, 미조리, 텍사스주 등은 메가밀리언즈를 발행하고 펜실베니아주는 파워볼을 발행한다.

숫자 개수가 많은 복권을 맞히는 것이 당첨확률은 낮으나 당첨금은 높다.

‘Pick 3’와 ‘Pick 4’는 한 장 사는데 50센트이고 ‘Cash 5’부터 ‘메가밀리언즈’나 ‘파워볼’까지는 한 장 사는데 1달러다. 주유소나 편의점에서 현찰을 주고 사면 된다. ‘Pick 3’와 ‘Pick 4’는 straight, box, straight/box 등의 종류를 선택해야 한다.

숫자 321 Straight라고 지정하면 당첨번호가 321일 때만 당첨금을 받지만, 321 box를 선택하면 123이든 231, 321이든 세 자리 숫자의 어떤 조합을 맞히더라도 당첨금을 탄다.

보통 당첨금은 straight일 경우 200~300달러, box는 50달러 안팎이다. straight/box를 선택하면 베팅을 두 번하는 셈이라 1달러를 주고 구입한다. straight이든 box든 당첨되면 두 당첨금을 모두 받을 수 있다.

번호는 자신이 선택하거나 로또기계가 즉석에서 뽑아준다. 복권은 매일 추첨하고 당첨금도 지불된다. 따라서 미국에서는 로또나 카지노, 경마, 즉석식 복권 등을 통해 하루에도 몇 명의 백만장자가 탄생하고 있는 셈이다.

당첨금은 600달러까지는 세금을 안 내고 복권을 파는 가게에서 직접 현찰로 받을 수 있다. 그러나 600달러가 넘으면 로또운영기관에 청구해야 한다. 세금(불로소득이라 하여 당첨금의 대략 25% 정도)을 공제하고 수표로 당첨금을 받는다.

즉석식 복권은 말 그대로 1달러에서 10달러 정도까지 형태가 다양하다. 동전으로 긁는다고 해서 스크래치(Scratch)라고 한다. 당첨번호가 나오면 그 번호 밑에 적힌 금액을 상금으로 받는다.

로또 당첨은 오후 8시에 공들이 돌아가는 통에서 번호를 공개적으로 뽑아 발표하며 TV로 생중계된다. 일부 주에서는 하루 두 번씩 오전 12시와 오후 8시에 추첨하기도 한다. 메가밀리언즈는 밤 11시에 당첨자를 발표한다. ‘Cash 5’까지는 매일 당첨자를 내지만 메가밀리언즈는 매주 화요일과 금요일에 두 번 발표한다.

만약 어젯밤 황금돼지꿈을 꾸었다면 10달러 이내의 돈으로 복권을 한번 사보는 것이 어떨까. 누가 아는가. 몇 달러 투자해서 미국에서 백만장자가 될지. 일장춘몽일런가. 그래도 꿈이라도 꾸고 싶다.

염건웅 통신원(미국 뉴저지 거주)


주간한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