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더 이상 새누리당에 미래 없다” …친박-비박 갈등 정점에

새 원내대표에 범친박계 정우택 당선되면서 비박계 분당 가속화될 듯

신보수정당 탄생 정치적 주도권 이룰까… ‘제3 연합전선’이 핵심

새누리당 원내대표 경선에서 범친박계 정우택 의원(충북 청주시상당구ㆍ4선)이 지난 16일 당선되면서 새누리당 내 비박계의 분당 움직임이 가속화되는 분위기다.

박근혜 대통령 탄핵 이후 정국 혼란을 수습할 여당 원내사령탑에 친박계 인사가 뽑히면서 비박계 내부에서는 깊은 한숨과 반발이 커지고 있다. 이에 비박계 이탈 등 여당 내 계파 갈등이 심화될 것으로 보인다.

정 의원은 이날 원내대표 경선에서 투표에 참여한 119명 중 62표를 얻어 러닝메이트인 재선의 이현재 의원과 함께 승리했다.

반면 비박계를 대표해 나온 나경원 의원은 55표를 얻어 당권을 쥐는데 실패했다.

정우택 신임 원내대표는 비박계의 반발을 예상하고 “막상 발표가 되니 어깨가 무겁고 앞이 막막함을 느낀다”며 “뭉치면 살고 흩어지면 죽는다. 흩어지지 말고 같이 가자, 사즉생의 마음으로 새누리당을 살리자”며 눈시울을 붉혔다.

정 신임 원내대표는 향후 비박계 탈당 등 분당 위기에 놓인 당을 수습하고, 탄핵 정국에서 거대 야당과 국정 수습책을 논의해야 하지만 비박계의 협력이 미지수다. 이를 모를리 없는 정 신임 원내대표는 의총 직후 기자들과 만나 자신의 공약인 ‘친박 2선 후퇴’와 계파 청산을 강조했다.

또 오는 21일 사퇴하는 이정현 지도부를 대신할 비상대책위원장은 비주류측에서 선택하는 게 합리적이라는 의견도 피력했다.

정 신임 원내대표는 “비주류 추천 인사가 비대위원장이 되는 게 합리적이라고 보고 있다”며 “당내 인사로 할지 여부는 의원 총회를 통해 의견을 수렴하겠다”고 말해 비박이 분당 또는 탈당과 관련해 고민해볼 여지를 남겼다.

새누리당 분당 또는 탈당 도미노

나경원 의원은 패배를 두고 “변화의 결과를 만들지 못해 아쉽다”며 “향후 대응 방안을 고심하겠다”고 밝혀 주목을 끌었다.

나 의원은 의총 직후 기자들과 만나 “당의 변화를 기대했고 의원들이 민심에 따른 선택을 기대했는데 변화의 결과를 못 만들어 아쉽다”고 말했다.

이어 “당내 변화 세력이 예전보다 조금 커진 걸 느낄 수 있었다”며 “변화를 원하는 세력과 앞으로 당의 변화와 개혁을 어떻게 할지 고민하겠다”고 덧붙였다.

박 대통령 탄핵소추안 가결 이후 비박계에 쏠리는 듯했던 당 주도권이 다시 친박계로 넘어가면서 비박계 내에서는 깊은 탄식이 나오고 있다. 당 청산을 주장했던 비박계 일각에서는 “다른 선택지가 없다”며 분당 또는 탈당을 언급하는 목소리가 커지고 있다.

비박 안팎에서는 “비상대책위원회 수립도 친박의 뜻대로 될 가능성이 크다”며 “분당을 해서 새로운 보수를 열어야 한다”는 의견에 힘이 실리고 있다.

‘비박신당’이 탄생할 경우 국민의당과 제3지대 세력의 연합이 유력하게 점쳐진다. 이렇게 될 경우 여권발(發) 정계개편에 상당한 지각변동이 일어날 수도 있다는 관측도 나온다.

정치권 일부에서는 내년 1월 귀국할 예정인 반기문 유엔(UN) 사무총장이 이들과 손을 잡을 수도 있다고 조심스럽게 관측한다. 국정운영 측면에서는 황교안 대통령 권한대행 체제가 힘을 받도록 친박이 지원할 것으로 보인다. 이렇게 되면 정치적 주도 분위기가 보수에 집중될 수 있어 더불어민주당 등 야권 주류가 촉각을 곤두세우고 있다.

이번 원내대표 선출은 여러 면에서 의미심장하다. 박 대통령 탄핵소추안에 찬성표를 던졌던 중립성향 의원 다수가 친박계 쪽으로 돌아선 셈이어서 향후 비박계가 움직일 수 있는 선택지가 줄었다는 것이다.

이런 점을 감안할 때 비박계의 집단 탈당 가능성이 한층 커지고 있다. 비박계 일각에서는 비대위원장 인선 투쟁에 나서자는 이야기도 나오고 있는 상황이다. 그러나 이미 세력의 차이가 드러났기 때문에 취할 수 있는 행동은 순응이냐 집단 탈당 후 신당창당이냐 둘 중 하나뿐이다.

그 외 2차전은 명분도, 실리도 없다는 견해가 적지 않다. 친박계는 이정현 대표의 사퇴 전 전국위원회ㆍ상임전국위원회를 소집한 뒤 자파 성향 비대위원장을 추대, 속전속결로 권력이양에 나설 것으로 전망된다.

정치권 일부에서는 비박을 중심으로 한 신보수 정당과 친박의 새누리당 그리고 야권이 향후 ‘반기문 모시기’에 사활을 걸 수도 있다는 관측이 나온다. 친박, 비박 그리고 야당은 모두 개헌을 전제로 한 재집권을 구상하고 있어서다.

친박계가 충청 출신 정 원내대표 당선자(청주 상당)를 내세운 것도 반 총장 영입과 관련있는 것 아니냐는 말도 나온다. 반면 비박계가 반 총장과 긴밀한 관계인 정진석 전 원내대표를 내세워 분당 후 영입작업에 총력을 기울일 것이란 예상도 제기된다.

비박신당과의 연합세력을 구축할 가능성이 있는 국민의당과 제3지대 세력은 여권발 정계개편의 향방에 촉각을 곤두세우는 분위기다.

국민의당 내에서는 “보수든 진보든 합리적ㆍ개혁적인 세력이라면 누구든 함께한다”는 입장이다. 그것만이 ‘고질적 양당체제’를 깨러 나온 국민의당 창당 정신이라는 것이다.

보수운명 비박 선택에 달려

여권 일부에서는 비주류의 탈당 움직임에 속도가 붙고 있다. 이렇게 되면 사상 초유의 집권여당 분당 사태는 기정사실화 될 것으로 보인다.

여권 관계자들은 전국위원회가 비상대책위원장을 선출하는 21일 전후를 분열의 갈림길로 보고 있다.

전국위는 친박계가 70%가량을 차지하고 있어 비박(비박근혜) 의원들 사이에선 “기대할 내용이 전혀 없다”는 말이 나오고 있다.

비박계 공동대표인 유승민 의원은 경선 결과 발표 직후 “실망스러운 결과”라며 “어떻게 방향을 잡을지 고민해 보겠다”고 밝힌 바 있다. 비박계 잔류파로 분류되는 유 의원의 이같은 발언은 “당장 탈당해 보수 신당을 꾸리자”던 김무성 전 대표에 동참할 가능성을 내비친 것으로 분석된다.

하지만 비박계는 바로 행동에 옮기지 않고 머뭇거리고 있다. 이렇게 뜸을 들이는 이유는 탈당의 명분을 확보하기 위해서인 것으로 보인다. 추후 비대위원장 선출 과정을 지켜보면서 다음 행보를 결정할 가능성이 크다.

정 신임 원내대표는 온건 성향의 범친박계로, 중도성향으로 분류돼 비대위원장 선출시 비박계에 힘을 실어줄 가능성도 없지 않다. 하지만 배후의 친박 진영이 당 운영의 주도권을 쥐고 놓지 않을 것이라는 분석도 비박계 내부에서 나온다.

나 의원은 “우리 당이 조금 더 민심에 가까워지기 위해 친박은 2선 후퇴가 맞다는 것이 저의 생각이고, 또 국민의 생각”이라고 말했다.

일단 친박계는 헌법재판소의 박 대통령에 대한 탄핵소추안 심리 종결까지 당의 주도권을 움켜쥐고 지지율 반등을 노릴 것이라는 관측이 지배적이다. 반면 비박계로선 선택지가 없어졌다. 탈당과 신당 창당 외에는 마땅한 ‘출구전략’이 없다는 말이 적지 않게 나오고 있다.

이에 탈당과 창당이 임박했으며 이미 보수신당 창당 의지를 밝힌 김무성 전 대표는 당 로고와 명칭까지 마련해 놓았다는 말도 들린다. “원내대표 선출 결과를 보고 탈당 여부를 결심하겠다”던 유승민 의원도 힘을 보태 공동으로 탈당에 나서면 적어도 30명의 비박 의원들이 동참할 것으로 보인다. 이렇게 되면 이들은 수도권과 부산ㆍ경남(PK)을 근거로 보수정당을 꾸리게 된다.

하지만 일각에서는 “흩어지지 말고 함께 가자”며 호소하던 정 신임 원내대표가 당선 직후 비주류나 중도세력에게 비대위원장 추천권을 줄 경우 탈당 도미노 현상이 일어나지 않을 수도 있다”고 전망한다.

향후 비대위원장 선출을 위한 친박ㆍ비박 간 협상이 이뤄질 가능성도 존재하지만 탈당을 굳히는 분위로 흐르고 있는 비박이 이에 응할지는 미지수다. 더구나 남경필 경기도지사 김용태 의원 등 선(先) 탈당파와 이재오 전 의원 정의화 전 국회의장 등이 비박신당과 힘을 합치면 급격히 세를 불릴 수 있어 그 협상타결 가능성이 크지는 않아 보인다.



윤지환기자 musasi@hankooki.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