최순실게이트, ‘국민의당 제보조작’ 사건, 기업‘갑질’ 병폐 타깃

문재인 정부 첫 검찰총장 후보로 문무일(56ㆍ18기) 부산고검장이 지명되고, 검찰이 수뇌부 진용을 갖춰가면서 ‘칼끝’이 어디를 향할지 이목이 집중되고 있다.

검찰은 현안 수사와 함께 새 정부의 ‘적폐청산’ 작업에 본격적으로 나설 것으로 예상된다.

현재 문무일 호(號)가 당면한 수사 과제는 크게 세 갈래다.

첫째는 문 대통령이 직접 지시한 ‘국정농단’ 사태에 대한 추가 수사다. 국정농단 비선실세 최순실(61ㆍ구속기소)씨의 딸 정유라(21)씨에 대한 세 번째 구속영장 청구를 고심하는 검찰은 동시에 박근혜(65ㆍ구속기소) 전 대통령과 이번 사태 관련자들의 추가 혐의 규명에 나설 것으로 보인다.

이에 미르ㆍK스포츠재단와 연루돼 수사를 받았지만, 처벌을 피해간 기업들을 다시 살펴볼 수 있다는 관측이 나온다. 문 대통령이 민정수석실에 이른바 ‘정윤회 문건’ 사건을 자체 재조사하라고 한만큼 관련 사건이 검찰로 넘어올 가능성도 있다.

정치권에 파장을 불러온 ‘국민의당 제보조작’ 사건도 현재 검찰 내에서 중요한 수사로 여겨진다. 수사 대상이 원내 3번째 규모의 국민의당이고, 피해자가 문 대통령과 아들 준용씨인 만큼 민감하고 폭발력 있는 사안이다.

국민의당은 당원 이유미씨의 ‘자작극’이라는 자체 결론을 냈지만, 검찰은 ‘윗선 관여’ 가능성을 배제하지 않는 상황이다. 이에 향후 검찰 수사가 확대될 수 있다는 예측이 조심스럽게 제기된다.

정우현 전 미스터피자 전 회장 사건 등 사회 전반에 퍼져 있는 ‘갑질’ 병폐에 대한 수사도 조만간 전방위로 확대될 수 있다는 관측이 나온다. 특히 김상조 공정위원장이 기업체 불법 승계ㆍ가맹점 불공정 거래 등에 대한 대대적인 적발에 나서면 검찰 고발 사건 역시 늘어날 개연성이 크다.

국정원의 정치 개입 등 문 대통령이 대선 과정과 공약집 등에서 청산 대상으로 지목해온 ‘적폐’ 역시 시차를 두고 검찰의 수사 과제로 주어질 것으로 보인다.

이홍우 기자



주간한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