해운업계는 2008년 미국발(發) 금융위기의 직격탄을 맞았다. 경제 불황에 따른 운임 하락, 유가 상승 등 이중고에 시달렸다.

3년이 지난 현재도 상황은 녹록하지 않다. 최근에는 미국 유럽 등의 경제가 다시 불안해면서 불황 장기화에 대한 우려가 커지고 있다.

어려운 상황 속에서도 해운 업체들은 불황 타계를 위해 비용절감 등 다양한 자구책을 모색하고 있다. 그러나 근본적인 자금 유동성 부족의 문제는 해운 업체들만의 노력으로는 한계가 있다. 따라서 세계 주요 해운 강국들처럼 정부의 적극적인 지원을 통해 자생력을 높여야 한다는 목소리가 높아지고 있다.

정부가 해운산업을 지원해야 하는 이유는 분명하다.

첫째, 국내 수출입 물동량의 99% 이상을 해상 운송으로 처리하고 있으며, 대한민국 국민총생산(GDP)의 약 53%가 수출에서 발생하는 수익이다. 해운산업은 한국 기업들의 '발'인 셈이다.

둘째, 해운산업은 한국 기업의 글로벌화에 따른 해외 생산지와 소비지의 연결고리 역할을 수행하고 있다.

셋째, 높은 외화 획득 기여도다. 실제로 지난해 해운산업 외화 가득(可得)액은 302억7,000만 달러로 전체 서비스 분야 수출의 40%를 차지했다. 해운산업은 반도체 휴대폰 등과 함께 6대 수출 품목 중의 하나이다.

뿐만 아니라 해운산업은 철강, 조선 등 다른 국가 기간산업은 물론, 국내 기업들의 안정적인 수출입 업무에도 필수적인 동반 산업이다.

이런 이유로 해운 강국들은 정부 차원에서 지원을 아끼지 않고 있다. 인도의 경우 해운업계를 대상으로 21억 달러의 신용대출을 실시했으며, 중국은 코스코(COSCO)와 차이나쉬핌에 각각 150억 달러와 7억 달러의 신용대출을 제공했다. 또 덴마크도 자국 주요 업체에 62억 달러에 이르는 금융차입을 지원했다.

우리 정부도 이제 어려움에 처한 해운업계에 대한 지원을 아끼지 말아야 한다는 목소리에 귀를 기울일 시점이다.

▶ 검찰, SK 최태원 정조준… 다른 대기업도 '덜덜덜'
▶ 말도 많은 한미 FTA… 한국에 유리한 것이 있나?
▶ 말도 많던 재보선 그후…박근혜 vs 안철수 '맞장'?
▶ MB 측근 줄줄이 비리 의혹… 이제 시작일 뿐?



주간한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