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중견건설업계 잘나가는 '호남 3인방'호반·중흥·부영 "올해도 공급 확대"신속한 의사 결정 풍부한 자금력 무기로 업계 판도 변화 주목

호반건설 본사가 자리한 서울 강남구 유니온센터빌딩
주택업계에 호남발 바람이 거세다. 대부분 중견 업체는 물론 일부 대형 건살사도 주택사업을 접다시피 한 상황이지만 호반건설ㆍ중흥건설ㆍ㈜부영 등 호남에 기반을 둔 업체들은 적극적인 사업 확대로 인지도를 높여가는 추세다. 특히 이들 업체는 올해에도 수도권과 지방에서 꾸준히 공급을 확대해나갈 태세여서 금융위기 이후 침체된 중견 주택건설업계 판도에 변화를 몰고 올지 주목된다.

잇따른 사업 성공 눈길

10일 업계에 따르면 ㈜부영ㆍ중흥건설ㆍ호반건설 등 호남 연고 중견 건설사들은 지난 2011년에 이어 지난해에도 분양물량을 대폭 늘린 것으로 나타났다. 이들 업체는 세종시ㆍ광주 등 지방과 화성 동탄2신도시 등에서 아파트 용지를 매입하며 공급물량을 확대하고 있다.

2011년 5,694가구를 공급했던 호반건설은 지난해의 경우 공급물량을 8,020가구까지 늘렸다. 텃밭인 전북과 광주는 물론 분양 열기가 계속되고 있는 세종시에서도 2,129가구를 선보여 수요자들의 관심을 모았다.

광주가 텃밭인 중흥건설도 지난해 8,977가구를 공급해 2011년의 2배가 넘는 사업실적을 거뒀다. 특히 중흥은 세종시에서만 4,213가구를 한꺼번에 쏟아내 대규모 브랜드 타운을 조성 중이다. 민간 임대아파트의 대명사로 불리는 ㈜부영 역시 지난해 5,360가구의 물량을 선보였다.

업계는 풍부한 자금력과 신속한 의사결정을 이들 호남3인방의 약진의 이유로 들고 있다. 잇따른 분양성공으로 택지 확보를 위한 충분한 실탄을 보유하고 있는데다 오너 중심의 중견 건설사 특유의 일사불란한 의사결정 구조로 시장 변화에 발 빠르게 대응할 수 있었다는 것이다.

올해도 공격적 행보 이어갈 듯

업체들은 올해 역시 지난해보다 물량을 줄이기는 했지만 꾸준히 신규분양을 이어갈 계획이다. 중흥건설은 올해 6,020가구, 호반건설은 2,827가구의 분양계획을 세워놓고 있다.

호반건설 관계자는 "2010년에도 3,000가구로 계획했다가 실제 공급물량은 두 배 가까이 늘렸기 때문에 좋은 부지가 있으면 적극적으로 매입해 공급을 늘려갈 방침"이라고 말했다.

부영의 경우 아직 사업계획을 확정하지는 못했지만 화성 동탄2신도시에서만 8개 필지 6,492가구에 달하는 공동주택용지를 확보한 상태다. 부영은 최근 전북을 연고로 프로야구 제10구단 유치에도 적극적으로 나서는 등 공격적 행보를 거듭하고 있다.

무주공산 주택시장 강자될까

업계는 호남3인방이 2008년 금융위기 이후 위축된 중견 주택건설업계의 새로운 리더로 자리잡을 것으로 내다보고 있다.

중견 주택건설업계는 1980년대 말 수도권 1기 신도시 개발을 전후해 ㈜청구ㆍ㈜우방ㆍ㈜건영 등 이른바 대구3인방이 주도하다 1990년대 한국종합건설ㆍ동성종합건설 등이 약진하면서 이 자리를 대체했었다. 1997년 외환위기 이후에는 동문건설ㆍ월드건설ㆍ동일토건 등 수도권을 기반으로 한 업체들이 공격적 경영으로 사세를 확장했지만 워크아웃ㆍ법정관리로 어려움을 겪으면서 몇 년 째 공백 상태를 보여왔다.

업계 관계자는 "올해 주택시장에 다양한 변수가 도사리고 있는 만큼 시장 상황에 얼마나 탄력적으로 대응하느냐 여부에 따라 업계의 판도가 달라질 것"이라고 말했다.

프랜차이즈 권리금 치솟는 이유는…


최인철기자
김희원기자


빵집·편의점 출점 규제 '후폭풍'
정부의 프랜차이즈 출점제한 조치에 따른 후폭풍이 거세지고 있다.

7일 프랜차이즈 업계에 따르면 지난해 4월 공정거래위원회가 제시한 가맹사업 '모범거래기준' 조치로 사실상 신규 출점이 어려워지면서 기존 프랜차이즈 점포의 인수 및 양도 권리금이 치솟고 있다.

공정위 기준에 따르면 제과ㆍ제빵, 커피전문점의 경우 기존 가맹점의 500m 이내에서 신규 출점을 제한하고 있다. 이 같은 규제가 적용되면서 서울 강남 지역을 비롯해 인천ㆍ파주ㆍ대구 등 사실상 신규 출점이 불가능한 상권에서는 정부 규제 전 1억원 미만에 불과하던 점포 권리금이 1년도 채 안 돼 2억~3억원대까지 2~3배 폭등하고 있다.

편의점 업계도 사정은 마찬가지다. 지난해 12월 기존 가맹점 250m(도보거리 기준) 이내 신규 출점을 금지하도록 하는 공정위의 모범거래기준이 시행되면서 조치 이전까지 연간 10% 내외의 신규 점포 개설이 이뤄졌던 편의점 업계는 조치 이후 신규 출점이 사실상 제로 상태다.

편의점 업계의 한 관계자는 "목 좋은 자리를 찾기 힘든데다 기존 점주들의 프리미엄만 올라가 창업비용 역시 상승할 것으로 전망되면서 신규 출점이 얼어붙었다"고 말했다. 또 다른 편의점 관계자는 "최근 2~3년 사이 예비 창업자들의 문의가 늘어 사업설명회를 종전 주 2~3회에서 매일 여는 것으로 변경했는데 지금은 발길이 뚝 끊겼다"고 토로했다.

편의점은 임대료 외 창업비용이 5,000만~6,000만원에 불과하고 이마저 대부분 계약만료시 돌려받는 보증금 형태여서 생계유지형 영세 자영업자들이 주로 선택해온 업종이다. 하지만 편의점 진입장벽이 높아지면서 창업비용도 덩달아 올라 영세 자영업자들의 선택의 여지가 더욱 좁아질 것이라는 목소리도 나오고 있다.

기존 점주들의 불만도 커지고 있다. 250m 내 중복상권에서 점포를 운영 중인 한 점주는 "월 수입이 100만~200만원에 불과해 장사를 그만두려고 해도 신규 예비 창업자가 급감해 사업을 포기하기도 쉽지 않다"고 말했다.

프랜차이즈 업계의 한 관계자는 "권리금 폭등으로 가맹본사들이 골머리를 앓고 있다"면서 "신규 가맹점주의 경우 권리금 회수에 시간이 오래 걸려 인수ㆍ양도를 모두 자제시키는 분위기"라고 설명했다. 프랜차이즈 전문가들은 "정부 정책이 경쟁환경을 조성하는 것이 아니라 영업 자체를 막는 규제여서 부작용이 크다"며 "출점규제로 피해를 당하는 대상도 신규 영세 창업자들이 될 것"이라고 우려했다.



박홍용기자 prodigy@sed.co.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