유엔(UN)은 6차 기후변화보고서의 세 번째 목차에서 지구의 지역별 기후위험을 평가하고 있다. 그 시사점을 요약하여 정리했다.
첫째, 더위와 추위, 습함과 건조, 바람, 눈과 얼음 등 기후 시스템에 영향을 미치는 자연 자체의 기후위기동인(태양이나 화산활동 등)과 자연 자체의 내부 변동성(엘니뇨-남방진동, 태평양과 대서양의 해류 흐름 등)은 지난 100년간 지구 온난화에 거의 영향을 주지 않았다.
하지만 지역에 따라 일시적으로 인간이 저지른 기후변화를 은폐해주는 조정역할을 하기도 했다. 그렇다고 인간이 저지른 영향이 사라지는 것은 아니기에, 기후변화 예측 시 고려해야 할 요인이다.
태양과 화산 폭발 같은 자연 자체의 변동성은 1998~2012년 사이에 인간이 유발한 지구표면 온난화를 부분적으로 가려주었다. 지역적 계절적으로 그러한 증거가 있다. 그렇지만 인간이 저지른 기후 시스템 가열은 그때나 지금이나 미래에도 계속된다.
자연 자체 변동성은 인간에 의한 기후변화를 단기적으로 약화 혹은 증폭시키고 있어 특정 지역에서 단기 냉각이나 급격한 온도 상승으로 나타나고 있다. 또한 지난 10년~수십년간 많은 육지 지역에서 평균 강수 변화를 증폭하거나 약화하는 데에도 큰 영향을 미쳤다.
지구 전체 및 지역적으로 몬순의 단기 변화도 지배하고 있다. 불행하게도 내부 변동성의 예측 불가 외에도 강수량의 단기 변화도 예측하기 어렵다. 이유는 예측 모델이 부정확하고 자연과 사람에 의한 에어러졸(aerosol) 배출이 불확실하기 때문이다.
고(古) 기후와 역사적 증거에 따르면 21세기에 적어도 한 번은 대규모 폭발적인 화산 폭발이 일어날 가능성이 있다. 화산 폭발은 100년에 평균 두 번 정도 발생, 1~3년 동안 육지의 표면 온도와 강수량을 감소시키고, 몬순 순환 변경, 극심한 강수 현상 조절, 많은 기후 영향 동인을 변경시킨다. 그래서 화산 분출은 인간이 초래한 기후변화를 일시적 부분적으로 가릴 수가 있다.
둘째, 지구 온난화가 심해지면서 기후 영향 동인의 동시다발적 변화를 더 많이 경험하게 되며, 1.5°C 지구 온난화보다 2°C에서는 더 광범위하게 나타난다.
모든 지역에서 고온의 기후 영향 동인이 증가하고, 저온의 동인이 감소할 것으로 보인다. 그래서 영구 동토층, 눈, 빙하 빙상, 호수 얼음과 북극 해빙에서 추가적인 양적 감소가 예상된다. 이러한 변화로 농업 및 건강과 관련된 열 임계치가 자주 초과할 전망이다.
1.5°C 온난화에서 호우와 홍수는 아프리카와 아시아, 북미, 유럽의 대부분 지역에서 강화되고 더 빈번해질 것으로 보인다. 이는 아시아를 제외한 모든 대륙의 일부 지역에서 1900년 이전보다 더 빈번해지고, 특히 농업과 생태계에 심각한 가뭄이 예상된다. 일부 지역에서는 기상학적 가뭄의 증가와 평균 강수량의 증가나 감소가 전망된다.
2°C 온난화 이상에선 1.5°C보다 가뭄, 호우, 평균 강수량 변화의 규모가 더 커진다. 호우와 홍수는 태평양 제도, 북미, 유럽, 오스트랄라시아(오스트레일리아, 뉴질랜드, 뉴기니를 포함한 남태평양 제도)와 중남미 일부 지역에서 강력하고 빈번해진다. 농업과 생태계의 가뭄은 아프리카, 남미, 유럽의 여러 지역, 오스트랄라시아, 북중미, 카리브해에서 빈도와 심각성이 증가한다. 평균 강수량은 양극 지방, 북유럽, 북미 북부, 대부분의 아시아와 남미에서 증가가 예상된다.
1.5°C 온난화보다 2°C 이상에서, 더 많은 지역에 걸쳐 많은 기후변화 동인이 변하게 된다. 지역별로 열대성 태풍 또는 온대성 폭풍이 강해지고 홍수 증가, 평균 강수량 감소와 건조 기후 증가, 화재 날씨 증가 등이 강화된다.
(사진=유투이미지 제공)
지질적으로 땅이 융기하는 몇몇 지역을 제외하고는 해수면 상승이 21세기 내내 계속된다. 전 세계 해안선의 3분의 2는 세계 평균 증가보다 ±20% 내에서 해수면이 상승하게 된다. 과거 100년에 한 번 발생하던 극심한 해수면 현상이 2100년까지, 바다 높이 측정기가 설치된 해안가의 절반 이상에서 매년 발생할 것으로 보인다. 저지대 해안 범람의 빈도와 심각성은 증가하고 모래 해안의 침식 현상이 생긴다.
도시는 온난화를 배출하는 원인 제공자이면서 더 빈번한 극단의 고온 현상인 열섬현상을 겪게 될 것이다. 신도시 개발 같은 추가적인 도시화는 폭염 강도를 증폭시킨다. 도시화는 바람의 방향을 변화시키고, 폭우 시 빗물 흐르는 속도를 빠르게 한다. 극도의 강우와 강물 속도가 합쳐지면서 발생하는 홍수는 해안 도시에서 빈번한 극도의 해수면 상승, 해일, 바다 민물화 가능성을 더 높이게 된다.
온난화는 많은 지역에서 복합적 기후 이벤트 확률을 더 높일 전망이다. 특히, 폭염과 가뭄의 동시 발생 빈도가 높아진다. 1.5°C 온난화보다 2°C 이상에서는 농업지역을 포함한 여러 지역에서 폭염과 가뭄의 동시다발적 극도의 상황이 더 자주 발생하게 된다.
셋째, 빙상 붕괴, 갑작스러운 해류 순환 변화, 일부 복합적 기상 현상 등에 더하여 위험성을 높게 평가한 미래 온난화보다 더 큰 온난화 발생도 배제할 수 없는 위험이다.
예상한 온실가스 배출 시나리오 범위를 초과하는 지구 온난화가 된다면, 지구 전체와 지역별 기후변화 동인 변화는 예상을 뛰어넘게 된다. 더 강하고 빈번한 폭염과 폭우 잠재력이 확장하면서, 인간과 생태계에 미치는 위험은 더 커진다. 급속하게 남극의 빙하가 녹고 산림 황폐화가 급가속으로 전환되면서 걷잡을 수 없이 상황이 바뀌는 티핑 포인트 상황이 된다. 관측 기록에서 전례 없던 강도, 지속 기간, 공간 범위가 확대하는 기후 이벤트 발생 가능성도 커진다.
멕시코만의 열대 지방 따뜻한 물을 북쪽으로 옮기고, 차가워진 물을 남쪽으로 운반하는 자연 시스템 현상이 모든 배출 시나리오에서 금세기 내에 약해질 가능성이 매우 높다. 이에 따라 열대 우기 벨트의 남쪽 이동 같은 지역 기상과 물 순환 패턴에 급격한 변화가 생긴다. 아프리카와 아시아 몬순이 약해지고, 남반구의 몬순 강화, 유럽의 건조 현상 증가와 극한 겨울, 미국 동부 해수면 상승, 열대성 강우 증가로 농작물 위협 등이 발생한다.
인간이 저지른 기후변화에 더하여, 대규모 화산 폭발 같은 예측 불가능한 자연 현상이 더해진다면 큰 혼란을 초래할 수 있다. 하지만 이러한 자연 내부의 기후 이벤트는 예측 불가로 인해 이번 유엔 보고서에서는 시나리오에 포함하지 않았다. 유엔은 지난 9월 중순 발표에서 2030년에 지구 온도가 산업화 이전보다 2.7°C 오를 확률이 높다고 보고 있다. 실제 상황이 모든 단기 시나리오를 초월하고 있다. 그만큼 온실가스 배출 감축은 절박하다.
최민성 델코리얼리티그룹 회장




최민성 델코리얼리티그룹 회장