사치스런 소비행태 등 개인주의적 행복추구로 이웃과 단절친환경적이고 합리적인 생활패턴으로 함께 누리는 행복이어야

[웰빙열풍] '더불어 웰빙'에 참 행복이 있다
사치스런 소비행태 등 개인주의적 행복추구로 이웃과 단절
친환경적이고 합리적인 생활패턴으로 함께 누리는 행복이어야


서울시내 한 백화점에서 열린 웰빙상품행사에서 고객들이 자수정 등의 건강돌을 밟으며 명상체험을 하고 있다. /김동호 기자

'물질적 가치나 명예를 얻기 위해 달려가는 삶보다는 신체와 정신이 건강한 삶을 행복의 척도로 삼는 사람들.' 포털 사이트의 백과사전에서 웰빙족(well-being족ㆍ族)에 대해 내리는 설명이다. 복지, 안녕, 행복 등을 일컫는 'well-being(웰빙)'에서 출발한 단어인 만큼 그 의미 전달에는 큰 무리가 없다.

그렇다면 웰빙족(wellbeing족)이란 말은 어디서 유래한 것일까. 1980년대 유럽에서 시작된 슬로우 푸드(slow food) 운동, 1990년대 초 느리게 살자는 기치를 내걸고 등장한 슬로비족(slow but better working people), 부르주아의 물질적 풍요와 보헤미안의 정신적 풍요를 동시에 추구하는 보보스(bobos) 정도가 어렴풋이 그 기원으로 언급됐을 뿐, 그 어디에도 정확한 출생 정보는 없다. 그러나 국내에 회자되기 시작한 시점은 2003년 8월 중순. 한 일간지가 '웰빙족과 관련 상품이 인기'라는 기사를 내면서 부터다.


- 웰빙 마케팅 전략 확산

이를 기점으로 다른 매체(거의 모든 매체)서도 연일 경쟁적으로 웰빙을 써 댔고, 기존 소비 시장이 포화된 상태에서 새로운 사업 모델을 찾고 있던 기업들은 이에 착안해 이른바 '웰빙 마케팅 전략'을 전투적으로 펼치기 시작했다. 이에 육체적 정신적 스트레스에 짓눌려 살던 소비자들의 폭발적인 호응으로 웰빙(문화)이 확산된 것이다.

웰빙 식품ㆍ의류ㆍ건강ㆍ여행 등 각종 상품에 이어 잡지까지 등장하고, 인터넷에도 많은 웰빙 관련 동호회가 생기게 됐다. 급기야 '사이버 분신'인 아바타에 까지 웰빙 바람이 불어 '웰빙 아바타'가 나타나기 시작했다. "웰빙만 갖다 붙이면 돈 된다"는 기이한 현상까지 나타난 것이다.

웰빙족, 이들이 공통적으로 보이는 소비와 생활 행태를 보자. △고기 대신 생선과 유기농산물을 즐기고 △단전호흡ㆍ요가ㆍ암벽등반 등 마음을 안정시킬 수 있는 운동을 하며 △외식보다는 가정에서 만든 슬로푸드를 즐겨 먹고 △여행ㆍ등산ㆍ독서 등 취미 생활을 즐기는 것으로 요약된다.

웬만한 유행이 한 철을 넘기지 못하는데 반해 건강과 행복을 최우선으로 삼는 웰빙 바람은 주 5일제 근무 실시와 함께 더욱 순항중이다. 아예 하나의 시대적 코드로 자리매김 한 상태다. 과거 먹고 살기 위해 아등바등 하던 시절에서 벗어나 삶의 질을 따지며 살아갈 여유가 생겨 잘 먹고 잘 살자는데 반대할 사람 누가 있겠는가.

그러나 웰빙 도는 웰빙 문화에 대한 비판이 만만치 않은 게 사실. 몸과 마음, 일과 휴식, 가정과 사회, 자신과 공동체 등 모든 것이 조화를 이루어 어느 한 쪽으로 치우치지 않은 상태가 웰빙이라는 기본 취지가 변질 돼 지나치게 개인주의적인 행복 추구로 흐르면서 공동체적 삶과 유리되는 경향을 보이고 있다는 것이다. 실제로 웰빙이 고소득층의 '구별짓기' 방편이나 사치스런 소비 행태로 변질 되는 경우도 있다.


- 건강·지속성장 추구 '로하스 족'

비타민을 붙인 옷을 입은 모델들이 건강미를 뽐내며 웰빙상품을 선전하고 있다. /류종상 기자

웰빙 바람이 이기적인 라이프 스타일로 굳어지고 있다는 비판이 대두되자, 개인만이 아니라 사회와 환경까지 생각한 '로하스(LOHAS)족'이 출현하게 됐다. '로하스'는 미국의 내추럴마케팅연구소가 2000년에 처음으로 사용한 것으로, '건강과 지속 성장성을 추구하는 라이프스타일(Lifestyle of Health and Sustainability)'의 약자. 즉, 친환경적이고 합리적인 소비 패턴, 또는 이를 지향하는 사람들까지 포함된다.

건강과 행복을 추구한다는 점에서 웰빙족과 로하스족은 겉보기에는 비슷하지만 다르다. 가령 자기 집의 실내 공綬?깨끗하게 하기 위해 웰빙족이 공기 청정기를 구입한다면, 로하스족은 재생 가능한 원료를 사용했는지 또는 환경 파괴 성분을 배출하지 않는지 등의 여부를 고려해 제품을 구입한다.

즉, '사회적 웰빙'의 원칙에서 소비하는 생활 패턴을 보이는 것이 이들의 특징이다. 일회용품 줄이기, 장바구니 사용하기, 천기저귀나 대안생리대 쓰기, 프린트 카트리지 재활용 캠페인 등이 '로하스'의 대표적인 활동으로 이들은 이미 동호회 홈페이지까지 만들어 놓고 있다 (http://cafe.daum.net/lohaslife).

고려대 사회학과 김철규 교수는 "웰빙도 좋지만, 끝모르고 개인주의로 치닫는 것은 경계 해야 한다"며 우리 사회 웰빙족들의 소비 행태에 일침을 가한다. "우리 사회에서 적어도 절대 빈곤으로 굶주리거나, 영양 실조로 고통 받는 사람은 없도록 해야 한다"는 것. 김 교수의 일침. "모든 사람들이 최소한의 먹을거리를 확보할 수 있고, 그래서 더불어 먹을 때, 내가 먹는 음식이 몸에 좋은 것 아닐까?"

族…族…族…

경제, 사회상황의 변화는 새로운 인간 유형을 낳기 마련이다. 웰빙족과 비교되는 ‘XX족’에는 어떤 것들이 있을까.


▲ 보보스(Bobos)족 : 부르주아(bourgeois)의 물질적 실리와 보헤미안(bohemian)의 정신적 풍요를 동시에 추구하는 미국의 새로운 상류계급을 가리키는 용어. 경제적으로 많은 소득을 올리면서도 과거의 여피들처럼 자신을 드러내기 위해 사치를 부리지 않고, 보헤미안처럼 자유로운 정신을 유지하면서 예술적 고상함을 향유하는 데 힘쓴다.


▲ 여피(Yuppie)족 : 젊고(young) 도시화된(urban) 전문직업인(professional)을 뜻하는 말. 신세대 가운데 고등교육을 받고, 도시 근교에 살며, 전문직에 종사하면서 연 3만 달러 이상의 소득을 올리는 젊은이들을 가리킨다. 개인 취향을 가장 우선시하며, 매사에 여유가 있다. 또 이들의 행동거지에는 거짓이나 꾸밈이 없다.


▲ 슬로비(Slobbie)족 : 천천히 그러나 더 훌륭하게 일하는 사람들(Slow But Better Working People). 어지러울 정도로 빠르게 돌아가는 현대생활의 속도를 늦추고 보다 천천히 그리고 느긋하게 살자고 주장하며 물질보다는 마음, 그리고 출세보다는 자녀를 중시한다.


▲ 예티족(Yetties) : 젊고(young) 기업가적(enTrepreneurial)이며, 기술에 바탕을 둔(tech-based) 인터넷 엘리트(internet elite)의 머리글자를 딴 말로 신경제가 만들어낸 신세대 인간형. 여유롭고 멋진 삶을 즐기는 여피족과는 달리 20대, 30대인 이들은 외모에는 관심이 없고, 오로지 자신을 하나의 상품으로 팔기 위한 끊임없는 자기 개발에만 신경을 쓴다.


▲ 이피족(Yiffir) : 젊고(young) 개인주의적이며(individualistic) 자유분방하고(free-minded) 이전 세대에 비해 사람 수가 적다(few)는 의미. 1990년대 들어 미국에서 새로이 등장한 신세대 직업인들로, 전후 베이비 붐이 퇴조한 1965년 이후에 태어나 대학을 졸업한 고학력자들이며 레저, 가족관계, 여유있는 생활 등에 주된 관심을 쏟는다.

정민승 인턴 기자


입력시간 : 2004-10-13 15:37


정민승 인턴 기자 prufrock@empal.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