재즈 역사의 한 획 그은 재즈 보컬리스트처절한 삶을 노래한 영혼의 목소리

[역사 속 여성이야기] 빌리 홀리데이
재즈 역사의 한 획 그은 재즈 보컬리스트
처절한 삶을 노래한 영혼의 목소리


낙엽이 우수수 떨어져 내리고 하늘이 잿빛으로 가라앉는 스산한 늦가을이면 마음을 울리는 노래 한 곡이 아쉽다. 이럴 땐 마음 저 깊숙한 곳에서부터 올라와 온몸을 울리며 노래하는 가수의 목소리에 감동하게 된다.

몇 년 전 한 광고에 노래가 쓰이면서 우리나라에서는 급작스럽게 대중적인 인기를 얻으며 많은 사람들에게 알려지게 된 빌리 홀리데이. 꼭 이맘 때 쯤이면 어디선가에서 그녀의 목소리가 울려 퍼지는 것을 들을 수 있다. 그녀의 목소리는 처절하고 쓸쓸하지만, 그러면서도 따스함을 품고 있다.


영혼을 울리는 노래

우리나라에서야 그녀의 목소리가 대중적으로 소비된 것이 최근의 일이지만 빌리 홀리데이는 엘라 피츠제랄드와 사라본과 함께 재즈 역사에 있어서 한 획을 긋는 뛰어난 보컬리스트이다. 그녀의 목소리는 미성은 아니었지만 사람의 마음을 움직이는 힘이 있었고, 악보에 의존하지 않고 그때 그때 자신의 가슴이 원하는 대로 노래를 불렀다.

그녀의 노래에는 삶이 그대로 녹아 있었고 영혼이 담겨 있었다. 그녀는 영혼을 울리는 노래를 불렀던 가수였다. 그것은 그녀 스스로가 너무나 지독하고 처절한 삶을 살아 왔기에 가능한 일이었을지도 모르겠다.


너무 빨리 삶의 고통을 알아버린 소녀

빌리 홀리데이(1915-1959)는 1900년대 초반 모든 미국 흑인들의 삶이 그러했듯이 가혹한 인종차별과 가난 속에서 태어났고 성장했다. 빌리의 본명은 일리노어 페이건으로 페이건이란 성은 어머니를 따른 것이다. 그녀의 아버지 클라렌스 홀리데이는 일리노어가 태어나기도 전에 그녀의 어머니를 떠났다. 당시 어머니의 나이 13세. 딸을 양육할 능력이 없던 어머니는 일리노어를 친정에 맡겼다.

일리노어는 외가에서 외로움과 학대 속에서 불행한 유년기를 보낸다. 그리고 열 살이 되어 채 여물지도 못한 일손으로 돈벌이를 나서야만 했다. 일리노어는 이때부터 노래듣기를 좋아해서 축음기가 있는 집으로 일 나가는 것을 좋아했다.

그러나 1920년대 미국사회는 열 살의 흑인 소녀가 루이 암스트롱의 노래를 흥얼거리며 잠시나마 삶의 시름을 잊는 것조차 허락하지 않았다. 일리노어는 열 살 나이에 백인남자에게 성폭행을 당했고, 희생자이면서도 감화원에 가야만 했다. 그리고 다시 돌아왔을 때 또다시 다른 남자에게 성폭행을 당하고 삶의 의욕을 완전히 상실하고 만다. 열 네 살 나이에 뉴욕의 슬럼가에서 창녀가 된 일리노어. 하루 벌어 하루를 살며 일리노어는 하루하루 망가지고 있었다.


치자 꽃을 머리에 단 가수

당시 미국은 대공황을 맞고 있었다. 몸을 팔아봤자 일리노어가 벌어들일 수 있는 돈은 푼돈에 불과했다. 입에 풀칠하기도 어려운 나날. 마침내 일리노어는 살던 집에서도 쫓겨나야 할 지경에 이른다.

일리노어는 급박한 심경으로 ‘포즈와 제리즈’라는 나이트 클럽에 댄서로 응모한다. 가난 속에서 제대로 된 교육 한번 받아본 적 없는 일리노어는 당연히 낙방이었다. 그때였다. 힘없이 돌아서던 일리노어에게 피아노 연주자가 노래나 한번 불러보라고 한다.

오디션 장에 울려 퍼진 일리노어의 노래 한 곡. 그 노래는 흑인 창녀 일리노어 페이건을 사람의 마음을 울리는 가수 빌리 홀리데이로 다시 태어나게 했다. 언제나 머리에 새하얀 치자꽃을 달고, 목소리가 아니라 온몸으로 노래하는 가수 빌리 홀리데이는 단번에 재즈 팬들의 마음을 사로잡았다.


무대 위에선 레이디, 무대 아래에선 검둥이

1930년대 빌리 홀리데이는 음반을 취입하고 여러 악단과 공연을 하며 재즈 가수로서의 입지를 다져가고 있었다. 무대 위에 선 그녀의 자태는 품위가 흘러넘쳐 레이디 데이라는 별명까지 얻었다. 그러나 무대 아래로 내려오면 가혹한 인종 차별 속에?빌리 홀리데이는 더러운 검둥이에 지나지 않았다.

함께 연주하던 백인 백 밴드들이 순회공연이 끝나고 따뜻한 호텔방에서 피로를 풀 동안 메인 보컬인 빌리 홀리데이는 흑인을 재울 수 없다는 호텔 방침에 따라 잠자리를 찾아 추운 밤거리를 헤매기가 일쑤였다.

이런 비참한 현실 속에서 빌리 홀리데이는 외로움과 쓸쓸함을 녹여 보려고 성급히 결혼을 한다. 그러나 두 번의 결혼 모두 실패였다. 그 결혼들은 그녀를 고통의 구렁텅이에서 구해주기는 커녕 외로움과 비참함을 더욱 짙게 했으며 그리고 마약이라는 씻을 수 없는 해악을 남겨 주었다.


비참하고 쓸쓸한 죽음

고통스러운 삶을 잊어 보려고 남편을 따라 시작한 마약은 빌리 홀리데이의 건강과 영혼을 잠식해 들어갔다. 카네기 홀에서의 연주, 재즈 비평가상의 수상, 최고의 음반 판매 등 화려한 스포트라이트의 이면에서 빌리 홀리데이는 서서히 죽어 가고 있었다. 직접적인 것은 마약과 알콜이었지만 그녀의 불행은 가혹한 인종 차별과 가난, 그리고 외로움에서 시작된 것이었다.

1959년 빌리 홀리데이는 쓰러져 뉴욕 메트로폴리탄 병원에 입원한다. 마약에 찌들은 중년의 여인을 아무도 빌리 홀리데이라고 알아보지 못했다. 본명 일리노어 페이건이라고 쓰여진 딱딱하고 차디찬 병상에서 빌리 홀리데이는 역시 외로운 마지막을 맞이한다. 진료 기록판에는 ‘병명, 마약 중독 말기 증상, 치료 방법, 없음’이라고 쓰여 있었다고 한다.

빌리 홀리데이의 노래 속에는 그녀의 처절한 삶이 있었다. 그러기에 그녀의 목소리는 누구도 흉내 낼 수 없는 아우라를 얻고 그녀의 노래는 사람의 심금을 울리는 영혼의 노래가 되었다.

김정미 방송ㆍ시나리오 작가


입력시간 : 2003-11-28 09:53


김정미 방송ㆍ시나리오 작가 limpid7@msn.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