어여쁜 꽃무리의 억센 생명력 놀라워라

벌개미취는 이즈음 우리 꽃으로 만든 정원이라면 어디든 만날 수 있는 풀이다.

그것도 한 두 송이가 아니라 가장 큰 군락으로. 지치지도 않고 유난스레 울어대는 늦여름 매미 소리를 들으며, 푸른 하늘 아래서 피어나는 연한 남보랏빛 꽃무리들은 가을의 문턱을 넘어선 지금까지 아름답고도 시원하게 피어 있다.

벌개미취는 국화과에 속하는 여러해살이 풀이다. 4월말쯤 돋아나는 새순은 꽃이 피기 전까지는 방석처럼 뿌리 근처에 일을 돌려내어 놓고 낮게 자라다가 8월에서 9월에 걸쳐 쑥쑥 커 나간다.

다 자라면 보통 50~80cm쯤 된다. 꽃이 필 무렵 뿌리 근처에 있던 잎들은 없어지고 줄기에 잎이 달리는데 서로 어긋난다. 꽃은 가지 끝마다 한 송이씩 달리는데 꽃의 지름은 4~5cm정도이고 한 포기에 여러 가지가 달려 대개는 10송이 정도가 한 포기에 달리는데 연보라빛의 설상화여서 참 곱다

지방에 따라서는 벌개미취를 고려쑥부쟁이라고도 부른다.

학명도 한국 특산임을 나타내고 있으며 영어 이름 역시 코리안 데이지(Korean Daisy)이다. 깊은 산골에서나 만날 벌개미취가 전국의 정원에 등장하게 된 동기는 태백으로 향하는 높은 산을 넘어가는 국도변에 외국의 원예종들이 추워 잘 살지 못하자 사람들이 그 지역에서 자라는 꽃 가운데 비교적 꽃송이가 크고 아름다운 벌개미취를 심게 되었기 때문이다.

벌개미취는 당연히 그 지역에 잘 활착하여 매년 이 즈음이면 꽃들이 만발하게 되었고, 누구나 길목에서 벌개미취 무리를 만나 많은 사람들이 일부러 찾아가는 전국적으로 유명한 꽃길이 되었고 전국으로 퍼져가게 되었다.

벌개미취는 한 두 포기가 아닌 군락으로 심어야 멋지다. 보기 좋고 추위에 강한 특징 이외에도, 햇볕만 잘 들게 하고 풀뽑기를 하며 한 두 해 지나면 완전히 퍼져 다른 식물이 침입하지 못하는 순군락을 이루어 관리하기도 아주 좋다.

게다가 지면을 덮은 잎들은 겨울에도 어느 정도 모양을 갖추고 푸릇푸릇 남아 있으니 겨울철에 맨땅이 드러나지 않아서도 좋다.

한번은 도로공사를 하고 생긴 사면에 여러 식물을 심고 나서 큰 비가 내렸는데 경사면에 다른 식물들을 심은 곳은 모두 허물어지며 산사태가 일어난 반면 벌개미취를 심은 곳은 뿌리잎을 타고 물이 흘러 붕괴되는 것을 막으면서 산사태가 나지 않아 그 명성이 더욱 높아졌다.

게다가 벌개미취의 개화기는 8~9월인데, 줄기가 올라왔을 때 한번 잘라주는 이른바 원예 용어로 적심을 하면 꽃대가 두 배로 늘어나면서 키가 낮추어 지고 개화기를 한 달 정도는 늦출 수 있다는 것이다.

정원이나 도로변에 심는 군식 이외에도 절화용으로도 판매되고 있으며 여러 야생식물을 자연과 같이 아름다운 분에 어울려 심어 키우는 분경에도 응용되고 있다.

이밖에 어린순을 나물로 한다. 벌개미취의 뿌리는 자원이라 하며 약용으로 쓰는데 천식, 풍한에 의한 해수와 천식, 소변불통 등에 처방한다고 한다.

벌개미취는 이 땅에는 우리 꽃이 제일 적합하다는 것을 증명해 준 아름답고도 좋은 우리의 꽃이다. 무엇보다도 초가을의 정취가 가득 담겨서 좋다.

<저작권자 ⓒ 한국아이닷컴,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


이유미 국립수목원 연구관 ymlee99@foa.go.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