3월 28~29일 후보등록과 함께 16대 총선 공식선거전의 막이 올랐다. 투표 하루전인 4월12일까지 전국이 총선 열풍속으로 들어간 것이다.

4·13총선은 중요한 의미가 있다. 우선 새천년 들어 치러지는 첫 선거라는 의미가 결코 가볍지 않다. 정치개혁에 대한 국민적 열망을 수용하고 새천년을 이끌어갈 정치 리더십을 창출할 수 있느냐에 국가적인 명운이 걸려있다고 해도 과언이 아니다.

이번 총선은 헌정사상 첫 수평적 정권교체를 실현한 김대중정부의 집권후반기 정국안정이 걸려있는 선거이기도 하다. 김영삼 정부시절에 구축된 15대 총선 체제 하에서 소수파였던 김대중 정부는 중요한 법안처리때마다 국회의 문턱에 걸려 ‘반쪽 정권교체’라는 자조의 목소리가 여권 내에서 터져나왔던 것이 사실이다. 대통령제 하에서 집권당이 소수일 때 대통령 권력과 의회 권력의 대립은 숙명이기도 하다.

이번 총선은 또 정부·여당이 동의하든 안하든 국민의 정부 2년에 대한 중간평가적 성격을 지닌다. 물론 여당은 이번 총선이 지난 2년간 국난극복에 협조하지 않고 발목만 잡았던 야당에 대한 평가의 의미도 있다고 주장한다.


제1당 놓고‘반집승부’펼칠듯

이런 의미들을 갖고 치러지는 4·13 총선에는 몇가지 관전 포인트가 있다. 첫째, 어느 당이 제1당을 차지할 것이냐다. 현재의 4당구조상 과반수 정당의 출현은 불가능하다. 여론조사 관계자들은 227개 지역구 기준으로 105~110석을 1당의 갈림길로 본다. 2당은 95~100석 정도를 차지할 것으로 내다보고 있다. 후보등록 직전까지 실시한 각종 조사를 종합해볼 때 한나라당이 1당에 보다 더 접근해 있다는 분석이 많다.

그러나 경기지역에서 상승세를 타고있는 민주당의 막판 스퍼트에 따라서는 의석수의 차이가 극히 미세해져 개표가 끝날 때까지 계가가 힘든 ‘반집 승부’가 될 것이라는 견해도 있다.

이번 총선에서 지역대립구도가 얼마나 해소될 수 있을지도 중요한 관전 포인트. 총선 국면 초반부터 정치권의 지역감정 부추기기로 고질적인 지역대립구도가 고스란히 재현되고 있어 별로 기대할 것이 없다는 전망이 지배적이다. 다만 부산의 민주당 노무현 후보와 경북의 민주당 김중권 후보의 당선 여부가 하나의 작은 지표가 될 것으로 보인다. 호남 지역에서는 광주의 강운태 후보와 전남의 박주선 후보가 민주당의 ‘호남싹쓸이 현상’을 저지할 수 있을지가 관심이다.

수도권에서 여야가 경쟁적으로 투입한 386세대가 얼마나 여의도에 입성할지도 주목된다. 일부 386주자들이 정치개혁과 물갈이에 대한 국민의 여망속에 선전중이지만 낮은 지명도와 노회한 중진의원의 선거 테크닉에 밀리는 386주자도 적지 않다. 386주자들은 20~30대 젊은 층에서 지지도가 높아 젊은 층의 투표율이 이들의 약진 여부를 결정하는 요인이 될 것이다.


차기 대권주자들 명운 걸린‘일전’

선거판세가 민주-국민 양당으로 굳어지면서 자민련이 과연 캐스팅보트를 행사할 수 있는 만큼의 의석수를 차지할지의 여부도 관심거리다. 자민련은 각종 여론조사에 나타난 판세로는 충청권과 일부 수도권 이외의 지역에서는 거의 의석을 얻기가 힘든 형편이다. 전통적인 충청지역에서도 민주당 이인제 선대위원장의 대망론이 고개를 들고 있고 민주당 및 한나라당과 치열한 3파전이 벌어지고 있는 곳이 적지 않아 자민련을 우울하게 만들고 있다.

민국당의 생존여부도 관심사다. 현재 판세로는 민국당이 교섭단체 구성요건인 20석을 차지하기는 어려울 것으로 보인다.

이번 총선은 또 한나라당 이회창 총재, 민주당의 이인제 선대위원장, 노무현·김근태 지도위원, 민국당의 이수성 상임고문 등 차기 대권주자의 정치적 명운에도 매우 중대한 영향을 미치게 될 것이다.

시민단체의 낙선운동이 선거결과에 어느 정도 영향을 미칠지의 여부도 놓칠 수 없는 관전 포인트다. 한때 유권자혁명으로까지 불리며 큰 반향을 불러일으켰던 시민단체의 선거운동은 선거전에서 지역대립구도가 선명해지면서 상당부분 빛이 바래고 있는 것이 사실이다.

이계성·정치부차장


주간한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