우리 역사상 가장 불운하고 원통한 삶을 산 군왕을 꼽으라면 단연 단종이다. 17세의 나이에 다른 사람도 아닌 삼촌 세조에 의해 제거됐다.

그러나 죽어서 가장 행복한 군왕이 있다면 또한 단종일 듯하다. 그가 누워 있는 영월의 장릉과 마지막 생을 보냈던 청령포는 매년 수십만명의 참배객으로 북적댄다. KBS 드라마 ‘왕과 비’에서 단종의 시해장면이 방영된 후 참배객은 늘고 있다. 그들은 그의 허무한 생을 가여워하고 권력의 무자비함에 분노한다.

청령포는 그 역설의 드라마를 닮았다. 칼처럼 서슬 퍼런 강물이 앞으로 흐르고 옆과 뒤는 천길 낭떠러지이다. 움치고 뛸 수 없는 지형 때문에 사람의 손때를 타지 않았다. 그래서 비극의 유배지가 됐다.

청령포를 초생달처럼 감아도는 강은 서강(西江)이다. 동강(東江)이 영월의 동쪽 땅을 훑고 내려간다면 서강은 영월의 서쪽 언덕을 안고 흐른다. 두 강은 영월 남쪽에서 만나 남한강으로 불리운다.

서강의 아름다움은 동강 못지 않다. 강원도 땅을 흐르는 물길답게 구절양장으로 굽이치며 곳곳에 절경을 만들었다. 1급수의 물에 수달, 비오리, 어름치가 뛰노는 건강한 생태계를 간직하고 있다. 강을 따라 잘 포장된 도로가 상류까지 이어진다. 영월을 스쳐가면서 강을 바라보면 몸도 마음도 푸른 물 빛에 젖는다.

서강 여행의 압권은 선돌이다. 선사시대 돌무덤이 아니라 날카롭게 우뚝 서있는 아름다운 바위다. 영월읍으로 들어가는 소나기재 중턱에 있다. 길에서는 보이지 않는다. 간이 주차장에 차를 세우고 50여㎙ 오솔길을 걸어 들어가면 거대한 두 개의 바위가 나타난다.

한 개의 바위를 전기톱으로 정교하게 자른 모습이다. 바위 사이로 크게 굽이치는 서강이 내려다 보인다. 단종은 이곳에서 유배지가 가까와졌음을 알았다. 그래서 단종은 굳이 넋을 놓아버렸고 이 후 한동안을 쉬었다.

서강의 물은 마셔도 좋을 만큼 깨끗한 물이다. 강 주변 괴골마을, 선암마을의 주민은 여전히 이 강물을 식수로 이용한다. 그러나 이 깨끗함이 유지될 날도 얼마 남지 않은 듯하다.

영월군은 지난해 8월 서강의 지류인 덕상천 상류지역(덕상리 거리실 일대)에 하루 32톤의 생활쓰레기를 매립, 소각할 수 있는 시설을 만들겠다고 발표했다. 침출수로 인한 덕상천과 서강의 오염을 염려한 주민이 즉각 반대에 나섰다.

주민들은 처리장 건설 예정지에 컨테이너 박스로 만든 감시소를 설치하고 조를 짜 영월군의 측량 작업을 막고 있다.

주민들의 가장 큰 ‘불가(不可)’ 이유는 영월군이 행정편의적 사고방식으로 이곳을 선정했다는 것. 터의 80% 이상이 현대시멘트 영월공장 소유지로 땅 구입이 쉬웠기 때문이라는 설명이다. 그래서 인근의 취수장 유무, 주민거주 여부 등 각종 관련자료를 왜곡해가면서까지 장소를 선정했다고 주장한다.

영월군은 주민들의 반대에 부딪혀 잠시 작업을 중단하고 있지만 계획을 백지화할 뜻은 없는 듯 하다. 군의 한 관계자는 “모든 상황을 종합적으로 평가해 최적지로 정했다”며 “다시 측량작업에 들어갈 예정”이라고 말했다.

백지화로 기울었던 동강댐 건설의 망령까지 ‘홍수조절댐’으로 다시 살아나고 있다. 영월은 동서로 흐르는 천혜의 보물을 한꺼번에 잃을 수도 있다.

죽은 사람은 말이 없다. 그가 비록 왕이었더라도…. 그러나 죽은 강물은 결코 침묵하지 않는다.

권오현 생활과학부 차장

입력시간 2000/05/19 11:05


주간한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