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신동의보감] 땀은 건강의 바로미터

연일 불볕더위가 계속되고 있다. 가만히 앉아 있어도 땀이 얼굴과 목, 등줄기를 타고 흘러내리는가 하면 옷이 금새 축축해진다. 심지어는 냉방장치가 잘 돼 있는 실내에서조차 진땀을 흘리거나 별다른 활동을 하지 않는데도 줄줄 흐르는 땀 때문에 고생하는 사람도 있다.

소설가 파인 김동인은 “여름은 땀을 많이 흘려야 비로소 맛볼 수 있는 계절”이라고 여름을 예찬하기도 했지만 비오듯 땀을 흘리는 여름은 아무래도 괴로운 계절임에 틀림없다.

여름철이 무덥고 습한 것은 어쩔 수 없는 계절적 특성이지만 문제는 이로 인해 비오듯 흘리게 되는 땀이다. 물론 몹시 더운 날 힘든 작업을 하거나 뜨거운 음식을 먹을 때 땀을 흘리는 것은 자연스런 생리현상으로 사실 문제가 되지 않으며 또 적당히 땀을 흘려야만 건강을 유지할 수 있다.

그러나 이러한 조건과 상관없이 비정상적으로 땀을 많이 흘리는, 소위 다한증의 경우 문제가 심각해진다.

잘 알려진 대로 땀은 체온조절을 통해 우리 몸의 열을 내려 건강을 지켜주는 냉방장치인 동시에 몸 속의 좋지 않은 노폐물을 배출해주며 몸의 이상을 사전에 경고해주는 건강의 신호등이기 때문이다. 실례로 갑상선 기능항진증 또는 당뇨병, 갱년기증후군 등 내분비 호르몬의 대사이상이나 자율신경실조증, 결핵 등 자신이 깨닫지 못하는 질병이 있을 경우 땀을 많이 흘리게 된다.

그러나 설사 이러한 질병이 없다손 치더라도 특별한 이유 없이 비정상적으로 땀을 많이 흘리거나 예전에 비해 땀의 양이 많아질 경우 문제가 발생하게 된다. 한의학에서는 땀을 인체에 꼭 필요한 영양소와 같은 개념으로 진액이라고 하는데 땀으로 이 진액이 모두 빠져나가기 때문이다.

필요 이상으로 진액이 빠져나가면 당장 몸의 균형상태가 무너지면서 질병에 대한 저항력이 떨어지고 몸의 여기저기서 불편한 증상들이 나타나게 된다.

한방에서는 땀에 대해 ‘비습과 심열이 상박한 것’으로 정의하는데 이는 곧 마치 솥에 쌀을 넣고 물을 부어 밥을 지을 때 한꺼번에 열을 가하면 끓어오르면서 밥물이 솥뚜껑을 밀치고 넘쳐 나오는 이치와도 같다고 할 수 있다.

땀이 나는 부위와 상태를 관찰하여 질병의 원인을 진단하기도 하는데 주로 낮에 활동하는 시간에 나는 땀인 자한(自汗)과 밤에 많이 흐르는 도한(盜汗), 머리와 얼굴에서 나는 두한(頭汗), 손발에서 나는 수족한(手足汗), 겨드랑이에서 나는 심한(心汗), 갑자기 놀라거나 원기가 부족할 때 나는 냉한(冷汗) 등으로 분류한다.

자한의 경우는 양기가 부족하거나 과로 등에 의해 체력이 급격하게 떨어진 것이 원인이며 두한은 생체에너지가 되는 기운의 부족, 수족한은 기혈부족 또는 위장기능 저하가 원인이 되며 심한은 심장기능의 저하가 원인이 되어 나타나는 경우가 대부분이다.

이중 문제가 되는 것은 주로 잠자리에서 자기도 모르게 흘리게 되는 도한으로서 이는 한방의 폐주피모(肺主皮毛)이론에 따라 폐 또는 기관지의 기능이 저하됐다는 신호로 볼 수 있기 때문이다.

한방에서는 땀이 흐르는 상태와 부위에 따라 질병의 원인을 달리 파악하는 만큼 치료에 있어서도 각기 증상에 따라 다르게 시행한다. 치료는 주로 약물요법이 이용되는데 도한증의 경우에는 당귀육황탕류, 자한증의 경우에는 방기황기탕류가 대표적인 처방으로 사용되고 있으며 수족한증에는 황기방풍탕 등을 처방하면 치료에 효과가 있다.

다만 질병이 의심될 만큼 증상이 심각하지 않을 경우 민간요법을 이용하기도 하는데 닭 속에 한약재인 황기를 넣어 삶은 물을 마시면 증상을 개선하는데 효과가 있다.

흔히 대부분 사람이 여름철에 더우니까 땀이 나오는 것이라고 별스럽지 않게 생각하는 경향이 많은데 땀이야말로 우리 몸의 건강상태를 가늠할 수 있는 바로미터의 역할을 한다. 따라서 특별한 이유없이 지나치게 땀이 날 경우 일단 전문의를 찾아 정확한 진단을 받아보는 것이 혹시라도 발생할 수 있는 각종 질병의 사전예방을 위해서라도 필요하다.

<서보경 강남동서한의원 원장>

입력시간 2000/08/08 20:47


주간한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