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땅이름] 서울 종로구 운니동(雲泥洞:趙光祖 생가터)

'강호에 봄이 드니 이 몸이 일이하다/ 나는 그물 깁고 아이는 밭을 가니/ 뒷메에 엄기는 약을 언제 캐려하느니.'김굉필(金宏弼)이 무오사화로 희천에서 유배생활을 하며 남긴 시다. 때마침 그곳에 어천찰방(魚川察訪)으로 부임하는 조원강(趙元綱)을 따라간 17세 난 아들이 있었으니 그가 바로 조광조(趙光祖)였다.

여기서 김굉필과 조광조의 만남은 자연스러울 수 밖에 없었다. 조광조는 유배와 있는 김광필 문하에 들어가 소학, 근사욕 등을 토대로 하여 수학에 정진하면서 이를 경전연구에 응용하였다.

조광조는 이때부터 성리학 연구에 몰두, 김종직(金宗直)의 학풍을 이은 사림파(士林派)의 영수가 된다. 때는 사화 직후라 나라안이 뒤숭숭한 터에 사람들은 그가 공부에 득실함을 보고 '미친 사람'(狂人)이라거나 또는 '화태'(禍胎)라 하였을 정도로 비아냥거렸다.

1510년(중종 5년) 사마시에 장원으로 당당히 합격, 진사가 되어 성균관에 들어가 수학하였다.

1506년 중종반정 이후 당시의 시대적인 추세는 정치 분위기를 좀 새롭게 하자는 것이 전반적인 흐름이었다. 이런 가운데 성균관 유생의 천거에 맞춰 이조판서 안당(安塘)의 적극적인 추천으로 조광조는 1515년(중종 10년) 조지서사지(造紙署司紙)라는 관직에 처음 발을 들여놓는다.

그해 가을 증광문과 을과로 급제한 조광조는 전적, 감찰, 예조좌랑을 역임하면서 왕의 두터운 신임을 받게 된다.

조광조는 그때부터 유교로써 정치와 교화의 근본을 삼아야 한다는 지치주의(至治主義)에 입각한 왕도정치의 실현을 역설하였다. 이와 함께 정언이 되어 언관(言官)으로서 그의 이상주의를 펴기 시작하였다. 말하자면 정치개혁이었다.

한편 조광조의 스승이었던 김굉필은 뒷날 연산군 때 갑자사화로 죽고 조광조는 연산군을 몰아내고 중종을 세운 정국공신에게 비참하게 죽는다. 사제간의 죽음이 엇갈리나 그 바탕에는 그때 주고받은 철인군주국 같은 이상주의가 깔려있었다.

중종의 총애를 받으며 개혁에 앞장선 조광조는 "중종반정에 정국공신도 너무 많고 공적 또한 너무 과장돼 있다"며 그 4분의3인 76명의 훈작을 박탈해야 한다고 왕께 주청했다. 훈작 박탈대상자 명단엔 희빈 홍씨의 아버지 홍경주(洪景舟)도 들어있었다. 개혁파와 기득권 세력의 갈등이 표면화한 셈이다.

기득권을 지키려는 정국공신은 궁중의 나무 잎사귀에 과즙으로 '주초위왕'(走肖爲王)'이라는 글씨를 써 벌레가 파먹자 임금께 보였다. '走肖'를 합성하면 '趙 '이니 조광조가 장차 왕이 되려한다는 모함이었다.

중종은 그 말을 믿어서라기보다 스스로 조광조의 개혁에 지쳐 그의 사림파에 메스를 가했다. 그래서 조광조도 능주(陵州:오늘날의 화순)로 유배되어 사약을 받으니 그의 나이 37세로 삶을 마감한다. 개혁의지의 불길은 이렇게 무참히 껴졌다.

그가 태어난 곳이 구름재(雲峴) 기슭. '땅이 질퍽질퍽한 고개'라는 뜻이다. 구름재의 한자 '운현'(雲峴)과 '니동'(泥洞)의 합성어가 오늘날 '운니동'(雲泥洞)'이다. 구름재 기슭에 태어난 개혁의 풍운아가 한점의 구름처럼 사라졌으니 '구름재'(雲峴)란 땅이름을 탓하랴!

뒷날 조광조를 존경한 율곡이 "학문은 이뤄진 뒤에 이론을 실천해야 하나 학문에 이뤄지기도 전에 일선에 나가서."라고 평했다.

그러나 율곡이 '악화가 양화를 구축한다'는 그레샴의 법칙을 모른 것은 실로 안타깝다. 부당한 밥그릇을 빼앗으려면 목숨을 걸어야 하고 여기엔 학문이 이뤄지고도 말고도 없는 것이 세상일이다. 사회 전반에 "개혁! 개혁!"하며 말로만 부르짖는 오늘의 정치판도에 조광조를 음미해봄은 시사하는 바가 있다.

이홍환 한국땅이름학회 이사

입력시간 2001/02/13 16:57


주간한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