지주사 체제 전환→유상증자→최근 주가하락에 투자자 불만 폭발

청와대 국민청원 게시판, BGF리테일 인적분할 관련 문제점 다루는 글 올라와

홍석조 회장 등 오너일가의 ‘지배력 강화 목적’ 비난 쏟아져

관건은 실적상승 및 주가하락 바로잡기… 난관은 첩첩산중

홍석조 BGF리테일 회장. (사진=연합)
한민철 기자

BGF리테일의 인적분할 및 홍석조 BGF리테일 회장 등 오너일가의 지배력 상승에 대한 투자자들의 불만이 청와대 국민청원 게시판으로까지 번졌다.

지난달 28일 청와대 국민청원 게시판에는 한 개인 주식투자자의 BGF리테일의 인적분할 및 유상증자에서 의심되는 불공정 행위에 대한 정부 차원에서의 조사를 청하는 글이 게재됐다.

이 게시글은 게재 하루 만에 청원에 동의한다는 건수가 100건이 넘은 것으로 파악됐다.

앞서 BGF리테일은 지난해 6월 지주사 체제 전환 및 지배구조 확립 등을 위해 사업부문을 투자회사와 사업회사로 인적분할을 실시하기로 공시했다.

구체적으로 기존 BGF리테일은 인적분할로 존속 투자회사(지주사)인 BGF와 신설 사업회사인 BGF리테일로 나뉘었다.

당시 BGF리테일 측은 인적분할을 통해 핵심사업의 집중투자와 구조조정의 용이 그리고 지배구조 체제 변경을 통한 기업과 주주 가치 제고를 기대한다고 밝힌 바 있다.

이후 지난 1월에는 모회사 BGF가 무려 1조 916억원 규모의 유상증자 실행 그리고 자회사인 BGF리테일의 주식 518만여주를 공개매수 하기로 결정했다.

이를 통해 BGF는 BGF리테일의 주식을 30%나 보유할 수 있게 됐고, 홍석조 BGF리테일 회장 및 오너일가의 BGF 및 BGF리테일에 대한 지배력이 더 커질 것이라는 관측이 나왔다.

이미 홍석조 회장은 BGF리테일의 지분 31%를 보유 중이었고, 유상증자에 참여함으로써 홍 회장 일가의 BGF 지분율도 당연히 올라가기 때문이다.

이번 청와대 국민청원 게시판의 해당 글에서는 유상증자를 통한 홍석조 회장 등 오너일가의 BGF 지분율을 70%나 확보할 수 있다는 일각의 전망을 인용해 ‘과연 이것이 정상인가’라는 물음이 던져졌다.

이 글의 게시자는 “모회사에서 유상증자 1조원을 통해 사업회사 지분 30%와 교환 사업주는 자기돈 한 푼 들이지 않고 모회사 지분 70%를 확보할 수 있다면 이것이 정상인가”라며 “차후 자식에게 물려준다면 훨씬 적은 돈을 들이고도 회사를 물려줄 수 있다면 이건 정상인가”라고 비판했다.

사실 지난 1월 BGF의 유상증자 실행 발표 이후, BGF리테일의 주식을 추가로 취득하며 지주사업의 원활한 수행을 통해 기업의 투명성 강화와 주주가치를 보다 제고할 것이라는 긍정적인 평가가 나오기도 했다.

그러나 일각에서는 기업 및 주주가치 제고보다 오너일가의 지배력 강화에 지주사 체제 전환을 무리하게 단행하고 있다는 비난의 목소리도 나오고 있다.

심지어 지난 1월 유상증자 발표 이후 BGF와 BGF리테일의 주가가 심각한 수준으로 하락하며, 이런 비난의 불에 기름을 뿌렸다.

실제로 주당 1만 6000원선이 무너진 채 시작한 BGF의 지난달 주가는 계단식 하락세를 거듭하며, 1만 2550원으로 마지막 날 장을 마감했다.

BGF리테일 주가의 하락폭은 더욱 컸다. 주당 22만 1000원선에서 시작한 BGF리테일의 지난달 주가는 큰 폭의 하락세를 거듭한 채 한 때 16만 8000원까지 떨어졌다가, 말일 전날보다 2.35% 오른 17만 4000원에 2월의 거래를 마쳤다.

BGF와 BGF리테일 투자자들은 제대로 된 저점 매수도 해보지 못한 채, 큰 손실을 안으며 유상증자 등에 대한 상당한 반발을 할 수밖에 없었다는 설명이다.

이어 투자자들 사이에서는 BGF리테일의 인적분할 등을 두고 각종 의혹도 쏟아져 나왔다. 국민청원 게시판에 동의한 한 댓글 중에는 “명백히 대주주와 증권사간의 모종의 거래가 있는 불공정 행위” “대주주가 저가에 매수하기 위해 증권사에서 공매도 하도록 주식을 빌려줬을 가능성이 농후함”이라는 내용이 게재돼 있었다.

업계에서는 이런 일각에서의 비난을 잠재우기 위해 향후 BGF와 BGF리테일이 매출증대로 인한 실적확보와 보다 적극적인 주주친화 정책이라는 ‘교과서적인’ 경영 행보로 주가 향상에 주력할 수밖에 없다는 지적이 나오고 있다.

물론 BGF리테일의 주력 사업이자 영업이익의 대부분을 차지하고 있는 편의점 사업부문의 최저임금인상과 각 점포의 상생 협약에 따른 자금 지원 부담 등으로 실적향상에 고전을 면치 못할 것이라는 부정적 전망이 주를 이루고 있다.

특히 우연의 일치인지 해당 청와대 국민청원 게시글이 올라온 지 하루만인 지난 1일, 공정거래위원회는 지주회사가 편법으로 자회사의 수익을 챙기고 지배력을 확대하고 있다는 비판에 따라 국내 62개 지주회사에 대한 수익구조 파악에 나선다고 발표했다.

물론 조사대상인 62개 지주회사 중 BGF와 BGF리테일도 포함될 수 있는 만큼 향후 정부 차원에서의 압박 역시 넘어야 할 큰 난관이라는 의미다.

한민철 기자



주간한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