신흥 6개국 금리인상..다음 후보로 칠레,한국

브라질,올해 기준금리 3회 인상, 호베르투 캄푸스 네투 중앙은행 총재 ( 사진=연합뉴스 )
[주간한국 박병우 기자] 신흥국 중앙은행들이 식품 가격 상승에 잔뜩 긴장하고 있다. 선진국과 다른 인플레이션 역학 구조로 인해 일시적 물가 상승에 그치지 않을 수 있다는 우려감이 높은 것으로 분석됐다.

블룸버그에 따르면 지난달 24일(현지 시각) 멕시코 중앙은행은 가뭄에 따른 농산물 가격 상승을 우려해 전격적으로 기준금리를 4.25%로 종전대비 0.25%포인트 인상했다. 올해 들어 남미의 최대 경제 대국 브라질은 세 차례나 금리를 인상했다. 이로써 러시아, 터키, 체코, 헝가리 등 6개 신흥국이 긴축에 나선 것이다.

블룸버그는 “제롬 파월 미국 연방준비제도(Fed,연준) 의장이 기후 변화가 통화 정책의 주된 요인이 아니라고 주장했으나 남미 상황에서 전혀 맞지 않는다”고 지적했다. 이미 브라질은 최악의 물(水) 위기로 5월 소비자물가 상승률이 8%를 돌파하며 5년 내 최고치까지 치솟고 있다.

멕시코의 가뭄도 북서부 시날로아의 토마토 생산을 위협하고 있다. 축산 농가 지역인 잘리스코에서도 농산물 가격이 폭등하고 있다.

지난달 초 연간 기준 농산물 상승률이 6%를 기록하며 비용 인플레이션 조짐이 일자 멕시코 중앙은행이 서둘러 금리를 올린 것이다. 6월 초 발생한 토마토등 신선식품 급등은 블룸버그가 중앙은행 회의 전 23명의 분석가를 대상으로 벌인 조사에서 누구도 예상하지 못했다.

이와 관련해, 월가 등 분석가들은 신흥국의 인플레이션 반응 함수를 주목해야 한다고 지적했다. 올해 들어 5월까지 세계 식품 가격 상승률은 40%를 넘었다. 신흥국 중앙은행들은 선진국처럼 식품 가격 상승을 ‘일시적’ 인플레이션 현상으로만 치부할 수 없다.

통상 선진국은 변동성이 큰 식료품·에너지를 제외한 근원 물가를 주시한다. 식료품의 높은 변동성 탓도 있으나, 선진국의 전체 물가 바구니 내 식료품 비중이 신흥국 보다 높지 않다.

그러나 엥겔 계수가 높은 신흥국의 물가 바구니 내 식품 비중은 상대적으로 높다. 엥겔 계수는 가계 소비지출 총액에서 식료품비가 차지하는 비율을 의미한다. 소득이 낮을수록 엥겔 계수가 높다. 따라서 신흥국은 식품 가격이 상승하면 근원 물가는 물론 전체 물가 지표도 덩달아 뛰어오르는 경향이 있다.

두 번째, 신흥국 가계는 식품 물가에 대한 민감도가 높다. 저소득층이 많은 신흥국 가계는 식품·연료비 인플레이션에 대한 심리 반응이 즉각적이라는 뜻이다. 또한 신흥국에서는 식품 가격 상승이 가계 소득을 상승시킬 수 있다. 그러면 다른 제품의 가격 상승을 자극할 수 있다. 이는 농업에 종사하는 국민의 비중이 높기 때문이다. 농산물 가격 상승은 시골 노동자의 임금을 상승, 국가 전체적인 비용 인플레이션으로 번질 수 있다.

신흥국의 또 다른 특징은 국가별로 처한 상황이 달라 적절한 정책 조합을 선택하는 능력이 필요하다는 점이다. 가령 소비 비중은 높으나 농업의 고용 기여가 낮은 국가에서 식품 가격 상승은 먹고 사는 문제를 건드린다. 이는 정치 문제로 비화할 수 있다. 반대로 농업 종사자가 많은 국가의 경우 자칫 식품 가격 상승은 물가 통제권을 벗어날 위험이 크다.

한편 지난 2008년과 2011년 세계 식료품 가격이 40% 이상 상승할 때 신흥국 중 75% 이상이 긴축을 시행했다. 올해도 비슷한 식품 가격 인플레이션 조짐이 나타나고 있다. 따라서 브라질 등 6개국이 이미 기준금리를 인상했다. 칠레와 한국이 뒤이어 인상할 것이라는 분석이 나오고 있다.

그러나 월가에서는 과거와 달리 신흥국 중앙은행들이 인플레이션 목표제를 꾸준히 실시하면서 물가 불안 심리를 상당 부분 잘 통제하고 있는 것으로 평가하고 있다. 이에 따라 긴축에 참여하는 신흥국이 이전만큼 많지 않으리라고 관측했다. 인도는 다른 국가와 달리 양적완화를 더 펼치는 등 성장에 주력하며 반대의 통화정책을 실시하고 있다.



박병우 기자 pbw@hankooki.com